$\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용어에 대한 '포털 사전', '표준국어대사전', '과학교과서' 설명의 비교 분석
Comparison of the Explanation Texts for Science Terminology in Portal Dictionary, Pyojun Korean Dictionary and Science Textbook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7 no.1, 2017년, pp.1 - 8  

윤은정 (경북대학교) ,  박윤배 (경북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학생들의 과학 학습 및 일반 대중의 과학적 소양 함양 측면에서 과학용어에 대한 이해도는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 교육을 통한 과학용어 교육 이외에 학생들이나 일반 대중이 직접 과학용어의 의미를 찾아보고 학습할 수 있는 보조 자료가 필요하다는 전제에서 출발하여, 학생이나 일반인들이 스스로 과학용어를 학습하기 위한 보조 자료들인 포털사전, 표준국어대사전, 과학교과서에서 과학용어를 설명하는 글의 텍스트적 특성이 학생들이 읽고 이해하기에 얼마나 용이한지, 그리고 실제 학생들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포털사전이나 표준국어대사전에 비해 과학교과서가 상대적으로 학생들이 읽고 이해하기에 쉬운 자료로 나타나기는 했으나, 세 자료 모두 학생들의 수준에 비해 이독성이 낮은 편에 속하며 이독성을 높이기 위해 개선해야 할 사항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erms of science learning for students and of scientific literacy for the general public, understanding science terminology is very important. Aside from the science language education delivered in schools, we assumed that supplementary materials are necessary to search and study the meaning of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추상적인 개념을 담은 과학용어들을 하나의 단문으로 압축하여 설명하기는 어렵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따라서 문장의 복잡성은 문장당 동사 수의 결과만을 두고 논의하였다. 문장당 동사수를 비교해 봤을 때 문장이 가장 복잡한 것으로 나타난 자료는 과학교과서였다.
  • 이를 위해 학생들이나 일반 대중이 직접 과학용어의 의미를 학습할 수 있는 자료로 포털사전, 표준국어대사전, 과학교과서 세 개의 자료를 선정하여 각 자료들에서 과학용어에 대한 설명 텍스트를 추출한 뒤, 그들의 표면적 요인을 비교 분석한다. 또한 각 텍스트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텍스트 분석 결과와 대조해 보고, 과학 텍스트의 이독성 및 과학용어에 대한 설명 텍스트가 갖추어야 할 조건 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독성을 논의함에 있어 단어 요인과 문장 요인을 중심으로 살펴보되, 한국어의 특성상 단어의 길이요인은 제외하고 과학 텍스트라는 특성을 고려하여 과학용어를 새로운 요인으로 추가하였다. 또한 여러 요인들을 고려하여 만들어진 이독성 공식을 적용해 봄으로써 대상 자료들의 종합적인 이독성 정도를 정량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 요컨대,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을 포함한 일반 대중의 과학용어에 대한 이해를 높여, 과학 학습 성취 및 과학적 소양을 증진시키기 위한 한 가지 방안으로, 과학용어의 의미를 제공하는 자료들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학생들이나 일반 대중이 직접 과학용어의 의미를 학습할 수 있는 자료로 포털사전, 표준국어대사전, 과학교과서 세 개의 자료를 선정하여 각 자료들에서 과학용어에 대한 설명 텍스트를 추출한 뒤, 그들의 표면적 요인을 비교 분석한다.
  • 각 학계에서 발행하는 전문용어 사전의 경우, 주로 전문가들을 독자로 하므로 비전문가들의 접근이 용이하지 않을뿐더러 학생들이나 일반 대중이 이해하기에도 어려울 가능성이 높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과학용어의 의미를 찾아볼 수 있는 대표적인 자료로 포털사전, 표준국어대사전, 과학교과서를 꼽고, 이들 세 자료를 대상으로 학생들이 읽고 충분히 이해할 수 있게 기술되어 있는지, 아니라면 어떤 문제점들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학생이나 일반인들이 스스로 과학용어를 학습하기 위한 보조 자료들인 포털사전, 표준국어대사전, 과학교과서에서 과학용어를 설명하는 글의 텍스트 특성이 학생들이 읽고 이해하기에 얼마나 용이한지, 그리고 실제 학생들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단어 요인에서는 포털사전과 표준국어대사전에서 높은 수준의 어휘 사용이 많았고 과학용어의 사용 비율이 높았으며, 과학교과서가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어휘 사용이 적고 과학용어의 사용 비율이 낮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독성이란? 어떤 텍스트를 독자가 읽고 이해하기에 적합한지, 즉, 독자의 읽기 수준에 맞는 글인지를 확인하는 일은 이독성(易讀性, readability)으로 이야기할 수 있다. 이독성은 글의 읽기 쉬운 정도를 의미하는데, 학생의 수준에 맞는 텍스트를 선정하는 것이 읽기 교육의 효과와 직결되는 중요한 부분임이 입증되면서(O’Connor et al., 2002) 읽기 교육분야의 주된 관심사로 다루어져 왔다(Benjamin, 2012).
모르는 과학용어가 나왔을 때 의미를 찾아볼 수 있는 자료는 무엇이 있는가? 과학 학습을 하거나, 신문이나 뉴스를 보거나, 또는 일상 생활 중에서 모르는 과학용어가 나왔을 때, 그 의미를 찾아볼 수 있는 자료에는 가장 손쉽게 접근할 수 있고 보편화 된 포털 사이트 검색, 국내 유일의 규범 사전인 표준국어대사전, 과학 학습의 가장 주된 텍스트인 과학 교과서를 꼽을 수 있다. 각 학계에서 발행하는 전문용어 사전의 경우, 주로 전문가들을 독자로 하므로 비전문가들의 접근이 용이하지 않을뿐더러 학생들이나 일반 대중이 이해하기에도 어려울 가능성이 높다.
체계적인 과학용어 교육이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과학용어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우선 체계적인 과학용어 교육이 필요하다(Yun & Park, 2013). 그러나 과학 교과서나 과학 교사의 수업 언어에 사용되고 있는 과학용어의 수는 평균 6초마다 하나씩 새로운 과학용어가 사용될 만큼 많으며(Yun & Park, 2015), 중요 개념을 담은 용어 뿐만 아니라 설명을 위해서 훨씬 더 많은 과학용어들이 동원되고 있다(Yun, 2012). 따라서 과학 수업 시간에 사용 되는 모든 과학용어가 수업 시간을 할애하여 의미를 설명하고 용법을 익히도록 할 만큼 교육적 중요도와 필요성을 갖고 있다고 보기 어려우며, 많은 수의 과학용어를 과학 수업 시간에 모두 교육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또한 한 교실에는 과학적 경험과 성취 수준, 어휘력이 서로 다른 30∼40명의 학생들이 있기 때문에 모든 학생들의 과학용어 이해 수준에 맞추기도 어렵다. 따라서 학교 교육을 통해서 교육적 중요도와 필요성이 높은 과학용어들을 체계적으로 교육하되, 이와는 별도로 학생들 혹은 일반인들이 개인별 수준에 맞추어 쉽고 정확하게 과학용어를 익힐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줄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Benjamin, R. G. (2012). Reconstructing readability: Recent developments and recommendations in the analysis of text difficulty.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24(1), 63-88. 

  2. Carlsen W. S. (2007). Language and science learning. In Abell S. K., Lederman N. G. (Eds.),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education. Mahwah, NJ: Lawrence Erlbaum. 

  3. Chall, J. S. (1958). Readability: An appraisal of research and application. Columbus, OH: The Ohio State University Bureau of Educational Research. 

  4. Choi, K., & Hwang D. (2005). Handbook of terminology. Hankook Moonwha Sa. 

  5. Choi, S., Park, U., Nam, J., & Song, Y. (2003). Essays on terminology. Hankook Moonwha Sa. 

  6. Choi S., Mun, G., & Lee, H. (2011). Students and the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tific terms in mass media.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1(1), 367-389. 

  7. Coleman, E. B. (1968). Experimental studies of readability part1. Elementary English, 45(2), 166-178. 

  8. Fang, Z. (2006). The language demands of science reading in middle school.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8(5), 491-520. 

  9. Guthrie, J. T., Wigfield, A., Metsala, J. L., & Cox, K. E. (1999). Motivational and cognitive predictors of text comprehension and reading amount. Scientific Studies of Reading, 3, 231-256. 

  10. Halliday, M. A. K. (2004). The language of science. London: Continuum. 

  11. Harrison, C. (1980). Readability in the classroom.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12. Jo, S. (1985). Readability of textbook sentence. English Teaching, 29-30, 93-114. 

  13. Jo, Y. (2016).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readability formula for matching readers to texts. Doctoral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4. Kant, I. (1781). Critique of pure reason, London: Dent. 

  15. Kim, G. (2003). Vocabularies for Korean education by grade. Seoul: Parkyijeong. 

  16. Kim, H. (2009). A study on the complexity of sentence structure and readability. Journal of Interpretation & Translation Institute, 12(2), 145-159. 

  17. Lee, J. (2009). A study on the readability of Korean reading texts by using the Dale-Chall readability Formula.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18. Lee, S. (2011). A comparative study on read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textbooks.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41, 169-193. 

  19. Miller, G. A. (1991). The science of words. Scientific American Library. 

  20. Miller, J. (2009). Teaching refugee learners with interrupted education in science: vocabulary, literacy and pedagogy.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1(4), 571-592. 

  21. Mesmer, H. A. (2008). Tools for matching readers to texts. New York: The Guilford Press. 

  22.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08). Pyojun Korean Dictionary. Seoul: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3. National Science Board (2006). Science and engineering indicators 2006. Two volumes. Arlington, VA : National Science Foundation. 

  24. Norris, S. P. & Phillips, L. M. (1994). Interpreting pragmatic meaning when reading popular reports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 947-967. 

  25. O’Connor, R. E., Bell, K. M., Harty, K. R., Larkin, L. K., Sackor, S. M., & Zigmond, N. (2002). Teaching reading to poor readers in the intermediate grades: A comparison of text difficulty.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4(3), 474-485. 

  26. Schulz, R. A. (1981). Literate and readability: Bridging the gap in foreign language reading. The Modern Language Reading, 65, 43-53. 

  27. Stolurow, L. M., & Newman, J. R. (1959). A factorial analysis of objectives features of printed language presumably related to reading to reading difficulty.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52, 243-251. 

  28. The Korean Physical Society (2010). Glossary of physics terminology. Seoul: The Korean Physical Society. 

  29. Wilson, M. (1998). Identifying and teaching essential science vocabulary. School Science Review, 80, 63-66. 

  30. Yang, C., Kim, J., Shin, P., We, H., Shin, M., Kang, D., Kim, S., Min, H., Kim, C., & Noh, T. (2011). The patterns of interlanguage in science learn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interlanguage through the change of understanding of science languag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1(5), 745-757. 

  31. Yun, E., (2012). A study of rating the science words in physics section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ience textbooks. Doctoral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32. Yun, E., & Park, Y. (2013). Research on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f teaching science terminolog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3(7), 1343-1353. 

  33. Yun, E., & Park, Y. (2014). Relationship of using science terminology between science curriculum and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in the 2009 national curriculu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4(7), 667-675. 

  34. Yun, E., Kwon, S. & Park, Y. (2015). Analysis of problems of current science textbooks perceived by teachers and students in view of learner-centered classroom.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Research, 39(3), 404-417. 

  35. Yun, E., & Park, Y. (2015). Analysis of the science words used by science teachers in teaching the unit of 'Force and Mo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5(2), 209-2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