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태안에서 서식하는 사구식물 4종의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the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Four Kinds of Sand Dune Plants Living in Taean, Korea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30 no.1, 2017년, pp.8 - 16  

김순석 (단국대학교 생명과학과) ,  차현철 (단국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사구식물인 갯메꽃(Calystegia soldanella), 모래지치(Messerschmidia sibirica), 순비기나무(Vitex rotundifolia), 해당화(Rosa rugosa)의 잎과 줄기의 methanol 추출물에서 측정한 총 폴리페놀 함량은 해당화(110.20 mg/g)가 가장 높았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순비기나무(38.07 mg/g)가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조플라보노이드)을 이용하여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는 DPPH, ABTS, FRAP assay로 항산화능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총 폴리페놀 / 플라보노이드 함량 (TFC/TPC) 비와 항산화능, 두 요인 사이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TFC/TPC 비율이 매우 높았던 순비기 나무의 잎과 줄기는 항산화능 실험에서 대조군인 ascorbic acid 보다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가장 낮았던 해당화 잎이 DPPH, ABTS assay에서 가장 항산화능이 높았고, FRAP assay에서 모래지치 줄기가 가장 뛰어났다. 위 결과에서 항산화활성과 TFC/TPC 간의 상관관계를 통계적으로 유의하다는 점을 확인하여 TFC/TPC의 값이 직접적으로 항산화능에 기여 한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four different species of sand dune plants (Calystegia soldanella, Messerschmidia sibirica, Vitex rotundifolia and Rosa rugosa). In order to valid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se plants, we first determined the total amount of f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러므로 수분스트레스에 저항성을 지닌 일부 식물 종들만이 사구에 적응하여 군락을 이루고 있다(Ranwell, 1972). 이러한 사구식물의 항산화능에 대한 보고가 미약하므로 본 연구는 태안군 서북부에 위치한 신두리 해안사구에서 자생하는 사구식물들(Oh et al., 2005) 중 갯메꽃, 모래지치, 순비기나무, 해당화를 대상으로 항산화물질 함량과 항산화활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안사구의 특징은? 사구식물은 해안사구라는 한정된 지역 내에 자생하고 있어 천연물로써 활용도가 잘 알려지지 않다. 바닷가에서 모래가 바람에 날아와 형성된 해안사구는 강한 태양광으로 인해 건조한 상태에 있으며, 사막같이 지온변화가 상당히 크고 상대적으로 부족한 영양염류를 보유하고 있다(Ko, 2008). 그리고 산림이나 농지에 비해 보수력이 낮은 사구에서 서식하는 식물들은 수분 스트레스에 의한 영향을 받기 쉽다(Park, 1990, 2013).
활성산소종의 특징은? 오늘날 사람들의 평균 수명이 늘어남에 따라 스트레스로 인하여 체내에서는 세포를 손상시키는 활성 산소를 과다생산하게 된다(Im, 2012). 활성산소종 (ROS)은 여러 생체 조직과 분자들과 빠르게 반응하여서 단백질의 변성, 지질 과산화, DNA 손상, 면역력 약화 등을 일으키고 각종 질병의 원인으로 작용한다(Yu et al., 2011, Jang et al.
활성산소종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질병은? , 2016). 또한 노화, 암, 당뇨, 동맥경화증 등 다양한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다(Yoo et al.,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hn, N.R., J.M. Ko and H.C. Cha. 2012. Comparison of flavonoid profiles between leaves and stems of Calystegia soldanella and Calystegia japonica. Am. J. Plant Sci. 3:1073-1076. 

  2. Arrigoni, O. and M.C. De Tulio. 2002. Ascorbic acid: much more than just an antioxidant. Biochem Biophys Acta 1569:1-9. 

  3. Chen, G., S. Chen, Y. Xie, F. Chen, Y. Zhao, C. Luo and Y. Gao. 2015. Total phenolic, flavonoid and antioxidant activity of 23 edible flowers subjected to in vitro digestion. J. Funct Foods 17:243-259. 

  4. Dudonne, S., X. Vitrac, P. Coutiere, M. Woillez and J.M. Merillon. 2009. Comparative study of antioxidant properties and total phenolic content of 30 plant extracts of industrial interest using DPPH, ABTS, FRAP, SOD, and ORAC assays. J. Agr. Food Chem. 57:1768-1774. 

  5. Floegel, A., D.O. Kim, S.J. Chung, S.I. Koo and O.K. Chun. 2011. Comparison of ABTS/DPPH assays to measure antioxidant capacity in popular antioxidant-rich US foods. J Food Compos Anal. 24:1043-1048. 

  6. Hashidoko, Y. 1996. The phytochemistry of Rosa rugosa. Phytochemistry 43(3):535-549. 

  7. Im, K.H. 2012. Physiological activities of the polyphenol compound extracted from Erigeron annuus using the ultrasonification. Department of Life Science, M.S. Thesis, Dankook Univ., Korea. pp. 1-26 (in Korean). 

  8. Jang, T.W., S.H. Nam and J.H. Park. 2016.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ory effect on oxidative DNA damage of ethyl acetate fractions extracted from cone of red pine (Pinus densiflora). Korean J. Plant Res. 29(2):163-170 (in Korean). 

  9. Joo, E.Y., Y.S. Lee and N.W. Kim. 2007. Polyphenol compound cont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in various extracts of the vitex rotundifolia stem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7):813-818 (in Korean). 

  10. Jung, S.J., J.H. Lee, H.N. Song, N.S. Seong, S.E. Lee and N.I. Baek. 2004.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 medicinal extracts. Appl. Biol. Chem. 47(1):135-140 (in Korean). 

  11. Kaneta, M., H. Hikichi, S. Endo and N. Sugiyama. 1979. Identification of flavones in nineteen Rosaceae species. Agr. Biol. Chem. Tokyo. 43(3):657-658. 

  12. Kim, Y., H.Y. Min, H.J. Park, E.J. Lee, E.J. Park, H. J. Hwang, C. Jin, Y. S. Lee and S. K. Lee. 2004. Suppressive effects of nitric oxide production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gene expression by Calystegia soldanella methanol extract on lipopolysaccharide-activated RAW 264.7 cells. Eur. J. Cancer Prev. 13:419-424. 

  13. Ko, J.M. 2008. Identification of flavonoids and plant regeneration of coastal sand dune plants via in vitro culture. Department of Life Science, Ph.D. Thesis, Dankook Univ., Korea. pp. 1-76 (in Korean). 

  14. Lee, Y.M., J.H. Bae, H.Y. Jung, J.H. Kim and D.S. Park. 2011. Antioxidant activity in water and methanol extracts from Korean edible wild pla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1):29-36 (in Korean). 

  15. Lee, J.H. and J.W. Jhoo. 2012. Antioxidant activity of different parts of Lespedeza bicolor and isolation of antioxidant compound. Korean J Food Sci Technol. 44(6):763-771 (in Korean). 

  16. Lee, H.J., Y.A. Kim, J.W. Ahn, H.J. Na, H.M. Kim and Y. Seo. 2006. Screening of Korean marine plants for their inhibitory effect on histamine release from RPMC in vitro. Biotechnol Bioprocess Eng. 11:80-83. 

  17. Lee, S.M., Y.J. Lee, Y.C. Kim, J.S. Kimm, D.G. Kang and H.S. Lee. 2012. Vascular protective role of vitexcarpin isolated from Vitex rotundifolia in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Inflammation 35:584-593. 

  18. Oh, H.K., Y.H. Kim, M.S. Beon and J.M. Park. 2005. A study on flora of the Shindoo-ri coastal dune. J. Korean Inst. For. Recreation 9(1):37-48 (in Korean). 

  19. Olech, M. and R. Nowak. 2012. Influence of different extraction procedures on the antiradical activity and phenolic profile of Rosa rugosa petals. Acta Pol Pharm. 69:501-507. 

  20. Park, B.J. 2008. Isolation of main compone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on the stem and root of Rosa rugosa. Korean J. Plant Res. 21(5):402-407 (in Korean). 

  21. Park, Y.M. 1990. Effects of drought on two grass species with different distribution around coastal sand-dunes. Functional Ecol. 4(6):735-741. 

  22. Park, Y.M. 2013. Characteristic of matter allocation of Calystegia soldanella under water stress. J. Environ. Sci. Int. 22(2):187-193 (in Korean). 

  23. Park, Y.K. and J.H. Kim. 2016. Antioxidant activity, total phenolics, vitamin C and sugar content during fruit ripening of five different jujube cultivars. Korean J. Plant Res. 29(5):539-546 (in Korean). 

  24. Ranwell, D.S. 1972. Ecology of Salt Marshed Dune. Champman and Hall. London, UK. 

  25. Rice-Evans, C.A., N.J. Miller and G. Paganaga. 1996. Structure-antioxidant activity relationships of flavonoids and phenolic acids. Free Radic Biol Med. 20(7):933-956. 

  26. Singleton, V.L. and J.A. Rossi. 1965.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phosphotungstic acid reagents. Am. J. Enol. Viticult. 16(3):144-158. 

  27. Szollosi, R. and I.S. Varga. 2002. Total antioxidant power in some species of Labiatae (Adaptation of FRAP method). Acta Biologica Szegediensis 46(3-4):125-127. 

  28. Thaipong, K., U. Boonprakob, K. Crosby, L. Cisneros-Zevallos and D.H. Byrne. 2006. Comparison of ABTS, DPPH, FRAP and ORAC assays for estimating antioxidant activity from guava fruit extracts. J. Food Compos. Anal. 19:669-675. 

  29. Yoo, B.R., J.M. Kim, J.S. Choi, B.O. Jung and S.J. Chung. 2014. Effect of antioxidant activity of Cornus officinalis flower with chitosan. J. Chitin Chitosan. 19(2):143-149 (in Korean). 

  30. Yoshida, T., K. Mori, T. Hatano, T. Okumura, I. Uehara, K. Komagoe, Y. Fujita and T. Okuda. 1989. Studies on inhibition mechanism of autoxidation by tannins and flavonoids. V. radical scavenging effects of tannins and related polyphenols on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Chem Pharm Bull. 37:1919-1921. 

  31. Yu, M.H., I.G. Chae, Y.T. Jung, Y.S. Jeong, H.I. Kim and I.S. Lee. 2011.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 from Rosmarinus officinalis L. and their fractions. J. Life Sci. 21(3):375-384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