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 시각장애인용 음성도서 서비스 모델 구축 및 평가
Designing and Evaluating an Audiobook Service Model on Android Platform for the Visually-Impaired 원문보기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32 no.2 = no.96, 2015년, pp.221 - 236  

장원홍 (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LG 상남도서관 서비스팀) ,  오삼균 (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LG상남도서관 '책 읽어주는 도서관' 서비스의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 서비스 구축과정과 모델에 대한 기술과 그 서비스의 유용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서베이를 통한 이용자 요구조사, 이용현황통계분석 및 이용자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도출된 중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각장애인이 스마트기기 사용에 높은 관심을 보였고, 스마트기기를 사용해 본 적이 없는 시각장애인도 비용과 접근성만 해결된다면 사용할 의사가 있음을 표명하였으며, 2) 스트리밍보다는 다운로드 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육성과 TTS 음성 차이를 중요하게 생각치 않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4) 희망도서의 종류는 연령별로 각기 다른 선호도를 보였다. 5) 2014년 거의 14만 건의 다운로드가 이루어졌고 - 피처폰에 비해 36.3% 증가, 6) 가장 중요한 기능은 책갈피와 페이지/목차 이동 기능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describes the process and methodology followed in developing the Android-based LG Sangnam Audiobook service and an evaluation of its usefulness to the public. The methods included a survey of user needs, analysis of usage statistics, and user interviews. The study found that visually impa...

주제어

참고문헌 (18)

  1. 김민경, 김은정, 정지윤, 이경희, 이종우 (2010). DAISY 표준을 준수하는 플래시 기반 전자책 설계 및 구현.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524-527. Kim, Minkyung, Kim, Eun Jung, Jung, Ji Yoon, Lee, Gyeonghui, & Lee, Jongwoo (2010).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flash-based DAISY-compliant e-book. Proceedings, 524-527. 

  2. 김태은, 이종우, 임순범 (2011). 데이지 3 표준 모바일 전자책 뷰어 설계 및 구현.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12(3), 291-298. Kim, Tae-Eun, Lee, Jongwoo, & Lim, Soon-Bum (2011).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DAISY3 compliant mobile e-book viewer.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12(3), 291-298. 

  3. 문화체육관광부 (2013). 2013년 국민독서실태조사. 문화체육관광부.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3). 2013 National reading survey. 

  4. 배경재 (2011). 독서장애인을 위한 DAISY 서비스 인터페이스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2(3), 173-188. Bae Kyung-Jae (2011). A study on the DAISY service interface for the print-disabled.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3), 173-188. 

  5. 배경재, 곽승진 (2006). 시각 장애인의 정보접근성 향상을 위한 유비쿼터스 도서관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7(2), 273-290. Bae, Kyung-Jae, & Kwak, Seung-Jin (2006). A study of developing the ubiquitous library for the improvement of information accessability of the blind.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7(2), 273-290. 

  6. 윤희윤 (2010). 주요 국가의 장애인용 대체자료 개발정책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1(1), 29-49. Yoon, Hee-Yoon (2010). Analysis of alternative formats development policy for the disabled persons in the major count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1(1), 29-49. 

  7. 이정연 (2010). 유럽국가의 장애인 도서관서비스 정책에 관한 질적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7(3), 147-168. http://dx.doi.org/10.3743/KOSIM.2010.27.3.147 Lee, Jungyeoun (2010). A qualitative study on the library services policy for the disabled person in European countries. Korea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7(3), 147-168. 

  8. 장보성, 김규환, 이현정 (2009). DAISY 포맷 기반의 디지털음성도서 개발 및 서비스 방안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3), 295-315. Jang, Bo-Seong, Kim, Gyu-Hwan, & Yi, Hyun-Jung (2009). A study on revitalization and development of digital talking book based on the DAISY format.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0(3), 295-315. 

  9. 장보성, 서만덕, 남영준 (2012). 우리나라 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에 관한 분석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2), 87-107. Jang, Bo-Seong, Suh, Mandeok, & Nam, Young-Joon (2012). The analysis research about library service for the disabled in Korea.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3(2), 87-107. 

  10. 차보선 (2014). 데스크톱 PC와 노트북 PC 이용자 특성. 정보통신정책연구원, KISDI STAT Report 14-09-02. Cha, Boseon (2014). Characteristics of desktop PC and notebook PC user.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KISDI STAT Report 14-09-02. 

  11. Huang, P. H., Hwang, S. L., Wang, J. L., & Liao, Y. F. (2012, June). The interface development of Chinese DAISY player operation procedure. In Computer, Consumer and Control (IS3C), 2012 International Symposium on(pp. 313-316). IEEE. 

  12. IDC (2015). Smartphone OS market share, Q1 2015. Retrieved from http://www.idc.com/prodserv/smartphone-os-market-share.jsp 

  13. Lee, K., Kim, T., Lee, J., & Lim, S. B. (2013). A design of mobile e-Book viewer interface for the reading disabled people.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16(1), 100-107. 

  14. Lin, Y. H., Hsu, Y. C., & Kao, Y. Y. (2012, August). A smartphone-based Chinese DAISY digital talking book player for visually impaired. In Proceedings of the 2012 Six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enetic and Evolutionary Computing (pp. 296-299). IEEE Computer Society. 

  15. Meddaugh, J. J. (2012). Bookshare reader 3.7. 0 and darwin reader 1.22: Two android apps provide access to books. 

  16. Preece, A. (2013). Evaluation of the go read app, A Free DAISY and ePUB Reader from Bookshare. 

  17. StatCounter (2015). Top 8 mobile operating systems in South Korea from Oct 2013 to Dec 2014. Retrieved from http://gs.statcounter.com/#mobile_os-KR-monthly-201310-2013-12 

  18. Strobbe, C., Engelen, J., & Spiewak, V. (2010). Generating DAISY books from OpenOffice.org. In Computers Helping People with Special Needs (pp. 5-11). Springer Berlin Heidelberg.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