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직장 기혼 여성의 일-가정 갈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on depression in married working wome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5 no.3, 2017년, pp.267 - 275  

김성국 (고려대학교 대학원 보건과학과 BK21 플러스 인간생명-상호작용 융복합 사업단) ,  박수연 (고려대학교 대학원 보건과학과 BK21 플러스 인간생명-상호작용 융복합 사업단) ,  이현실 (보건과학대학 보건정책관리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우리나라 직장 기혼 여성의 일-가정 갈등 요소가 정신건강의 대표적 지표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갈등 요인들을 개인단위, 조직단위에서 파악하여 어떤 요소들을 중심으로 접근해야 할지 고찰하였다. 여성가족패널조사 5차 년도 자료 중 현재 남편과 동거 중인 기혼 유배우 여성이며 임금근로자인 1,299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모형검증을 실시하였고, 일-가정 갈등 특성이 포함된 4번째 위계 모형에서 설명력은 12.5%(p<0.001)로 일반적 특성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직장 기혼 여성의 일-가정 갈등은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정에서 일에 대한 갈등(${\beta}=.150$, p<0.01)이 우울에 가장 높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 기혼 여성은 성역할 고정관념에서 자유롭지 못하여 가정 내 역할 갈등이 심화되면 이러한 문제가 직장 내 업무수행의 어려움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는 직장 여성의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장기적으로 가정의 건강과 국가 생산력의 손실을 불러일으키는 원인이 되므로 이들의 일-가정 갈등을 덜어줄만한 적절한 사회 정책적 대처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 factors on depression in Korean married women. For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we were used in the 5th year data of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married women who were 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기혼 여성 근로자는 남성보다 직장-가정 갈등과 우울 간 상관이 깊은 것으로 드러난다[15,16,17]. 따라서 본 연구는 대표적인 정신건강의 지표로서 우울을 결과 변인으로 두고 기혼여성의 어떠한 일가정 갈등 요소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직장 기혼 여성들이 직장과 가정 두 영역에서 느끼는 양립 갈등이 이들의 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에 개인 및 가정, 그리고 직장 특성 등 직장 기혼 여성들의 일반적 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직장-가정 갈등과 가정-직장 갈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1단계 위계에서는 개인 특성을, 2단계 위계에서는 가정 특성을, 3단계에서는 직장 특성을, 그리고 마지막으로 4단계 위계에서는 직장-가정 양립 갈등을 투입하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직장 기혼 여성들이 직장과 가정 양쪽의 영역을 오가며 경험하게 되는 양립의 어려움과 갈등이 이들의 정신적 건강이라 할 수 있는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직장 기혼 여성에게 있어서 개인특성 중 가장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주관적 건강 상태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직장 기혼 여성의 직장과 가정생활에서 이중역할로 인한 역할 갈등이 개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이들의 건강과 생활에 대한 권리에 대한 함의를 찾아 여성복지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모형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직장과 가정에서 발생하는 갈등이 여성의 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이후의 연구는 정신적인 영역 뿐 아니라 신체적인 건강에 미치는 영향도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또한 직장 기혼여성의 일과 가정 사이에서 발생하는 갈등요소들을 효과적으로 감소할만한 방안을 직장과 가정에 접목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 대표적으로 직장과 가정에서 기대되는 행동이 다르고 이에 대한 평가가 상충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갈등을 가리킨다[11]. 이 연구는 직장 기혼여성을 둘러싼 개인, 가족, 직장의 다양한 환경적 요소들을 통해 갈등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다양한 요소들에 대해 살펴볼 예정이다.
  • 기혼 여성 근로자들이 겪는 일과 가정의 갈등은 여성 경제활동 인구가 증가하지 못하는 가장 주요한 장벽이라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직장 여성 근로자의 직장과 가정의 양립에 영향을 미치는 갈등 요인들을 개인단위, 조직단위에서 파악하여 어떤 요소들을 중심으로 접근해야 할지 고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가정 갈등 유발상황은 어떤것들이 있는가? 일-가정 갈등(Work-family Conflict)이란 직장에서발생되는 역할 갈등으로 인하여 가정 내 역할 수행을 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것을 의미한다[4]. 직장에서 장시간 근무를 하여 퇴근시간이 늦어지거나, 과도한 업무로 피로가 누적되어 있는 상황, 회사 내의 대인 갈등이 해결되지 않은 채로 귀가한다거나, 가정생활을 하는데 있어서 도움이 되는 회사 내 가족친화제도의 부재 등 다양한 직장 내 갈등 유발상황이 존재한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는 가정 내 개인의 역할 수행을 하는데 있어 부정적 상태를 유발하기 마련이다[5].
일-가정 갈등이란 무엇인가? 일-가정 갈등(Work-family Conflict)이란 직장에서발생되는 역할 갈등으로 인하여 가정 내 역할 수행을 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것을 의미한다[4]. 직장에서 장시간 근무를 하여 퇴근시간이 늦어지거나, 과도한 업무로 피로가 누적되어 있는 상황, 회사 내의 대인 갈등이 해결되지 않은 채로 귀가한다거나, 가정생활을 하는데 있어서 도움이 되는 회사 내 가족친화제도의 부재 등 다양한 직장 내 갈등 유발상황이 존재한다.
시간근거 갈등이란 무엇인가? 시간근거 갈등은 한정된 개인의 시간으로 인해 한 영역의 역할을 수행 하는 시간이 늘어날수록 다른 영역의 역할에 지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갈등이며[9,10], 긴장근거 갈등은 한 영역의 역할 수행에서 발생한 긴장과 스트레스 등이 다른 역할로 옮겨간 상황에서도 지속할 때 발생하는 갈등이다. 행동근거 갈등은 한 영역의 행동에 대한 평가가 다른 영역에서의 평가와 충돌될 때 발생하는 갈등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KOSIS: http://kosis.kr/ 

  2. J. H. Lee, "A Study on the Chronological Change of Work-Family Balance Issue", The Women's Studies, Vol. 86, No. 1, pp. 281-324, 2014. 

  3. J. G. Grzywacz, D. M. Almeida, D. A. McDonald, "Work-family spillover and daily reports of work and family stress in the adult labor force", Family relations, Vol. 51, No. 1, pp. 28-36. 2002. 

  4. B. J. Lee, T. S. Jeong, "An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on Turnover Inten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1, No. 8, pp. 75-93, 2013. 

  5. H. R. Kang, S. Y. Choi, "Antecedents and outcomes of work-family conflict of married working women", The Korean Journal of Women Psychology, Vol. 6, No. 1, pp. 23-42, 2001. 

  6. J. Y. Chang, H. S. Kim, "The Gender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 on the Life Satisfaction and Job Attitudes",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Vol. 9, No. 1, pp. 23-42, 2003. 

  7. E. K. Lee, J. H. Park. "Converged Study of Influencing Factors on Occupational Stress in Worker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7, No. 3, pp. 15-24, 2016. 

  8. J. H. Greenhaus, N. J. Beutell, "Sources of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Roles",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10, No. 1, pp. 76-88, 1985 

  9. C. Leineweber, M. Baltzer, L. L. M. Hanson, H. Westerlund, "Work-family conflict and health in Swedish working women and men: a 2-year prospective analysis (the SLOSH study)", The Europe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 23, No. 4, pp. 710-716. 2013. 

  10. G. S. Yoo, "Work-family balance policies responding to low fertility",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Vol. 18, No. 1, pp. 111-125. 2012. 

  11. J. H. Greenhaus, N. J. Beutell, "Sources of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Roles",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10, No. 1, pp. 76-88, 1985 

  12. J. K. Kim, J. S. Yang,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Work-Family Balance", A Focus on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Vol. 50, No. 4. pp. 251-280, 2012. 

  13. J. H. Shon, K. S. Lee, "Research on Actual Conditions of Unemployed Women in Gangwon Province for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Womanpower",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6, No. 4, pp. 1-11, 2008. 

  14. J. Y. Chang, H. S. Kim, "The Gender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 on the Life Satisfaction and Job Attitudes",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Vol. 9, No. 1, pp. 23-42, 2003. 

  15. M. R. Frone, Russell, M., & Barnes, G. M., "Work-family conflict, gender, and health-related outcomes: A study of employed parents in two community samples",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Vol. 1, No. 1, pp. 57-69. 1996. 

  16. M. R. Frone, M. Russell, M. L. Cooper, "Antecedents and outcomes of work-family conflict: testing a model of the work-family interfa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77, No. 1, pp. 65-78, 1992. 

  17. O. R. Ha, J. H. Kwon, "Mental Health and Role Satisfaction of Working Mothers: Role conflict, Perfectionism, and Family/Spouse Support",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25, No. 3, pp. 675-696, 2006. 

  18. K. R. Kim, G. Y. Cho, Y. Y. Han, J. Y. Kim, "A Study on Female Employees' Work-Life Balance and Health Status: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The Journal of Asian Women. Vol. 53, No. 1, pp. 91-120, 2014. 

  19. R. H. Griep, S. Toivanen, C. Diepen, J. M. Guimaraes, L. V. Camelo, L. L. Juvanhol, M. Estela, D. Chor, "Work-family conflict and self-rated health: the role of gender and educational level. Baseline data from the Brazilian Longitudinal Study of Adult Health (ELSA-Brasil)",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Vol. 23, No. 3, pp. 372-382. 2016. 

  20. S. M. Park, S. H. Han, "Influences of Work and Family on the Married Female Workers' Health",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Vol. 27, No. 2, pp. 155-175, 2004. 

  21. J. H. Lee, E. H. Lee, "The Moderating Effect of Coping Strategies upon Multiple Role Conflicts and Depression within Dual Employed Couple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 5, No. 2, pp. 287-303, 2000. 

  22. Y. J. Son, "The Influencing Factors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HRQOL) in Married Working Women",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 19, No. 3, pp. 422-435, 2007. 

  23. Y. S. An, H. J. Kim, H. J. Lee, Y. J. Ha, "The Factors influencing Mental Health of Married Career Women",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21, Vol.7, No. 1, pp. 157-185, 2016. 

  24. Hye-Jung Choi, Soon-Gi Back. "A Study on Depressive disposition by Convergence approach of Leisure History and Family situation in Elderly Wome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5, pp. 295-302, 2015. 

  25. S. H. Jung, A. J. Son, Y. S. Cha, th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Facilit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1, No. 12, pp. 229-236,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