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 학생 대상 증강현실기반 교육 콘텐츠 연구에 대한 고찰
A Review of Research on Augmented Reality Based Educational Contents for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원문보기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18 no.1, 2017년, pp.35 - 46  

손지영 (대전대학교 중등특수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증강현실기반 교육 콘텐츠 연구들을 고찰해 보면서 연구동향과 시사점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2006년에서 2016년까지 발표된 논문들을 수집한 후, 선정기준에 적합한 12편의 국외 연구들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선행연구들은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한 연구가 많았으며, 연구설계는 단일대상연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도구로는 증강현실을 위한 모바일 기기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측정방법으로는 행동관찰방법을 많이 사용하였다. 증강현실기반 교육콘텐츠 유형은 사물조작형, 자기모델링 관찰조작형, 현장문제해결형, 위치기반 학습안내형으로 구분되었다. 교육적 효과는 사회적 행동, 놀이 및 모방행동, 타인에 대한 감정인식의 향상이 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폐 스펙트럼 장애 학생을 위한 증강현실기반 교육 콘텐츠 개발과 적용을 위한 고려사항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review the recent literature on applying augmented reality based educational contents for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to identify research trends and implications. The search procedures through the Web-database system were implemented to find the prop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SD의 특성에는 무엇이 있는가? 이러한 ASD의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의사소통 기술의 결여는 자기 자신이 다른 사람에게 적절한 상호작용을 시도하는 것 이외에 다른 사람이 자신에게 시도해 오는 신체언어나 얼굴표정 등의 단서들을 이해하고 대처하는 능력에서 제한된다[3]. 둘째, 사회적 상호작용활동이 지극히 수동적이거나 특이한 양상을 보이며, 사회적 능력이 낮을 뿐 아니라또래들과의 사회적 의사소통 기술을 발달시키지 못한다[4]. 셋째, 개념인식과 상상력의 부족으로 가상놀이(pretend play)와 상징놀이(symbolic play)1)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다[2].
증강현실기반 교육콘텐츠에서 콘텐츠 유형은 어떻게 나뉠 수 있는가? 증강현실기반 교육콘텐츠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콘텐츠 유형을 관찰 조작형, 현장 문제해결행, 학습 안내형으로 나누고 있었다[9, 24]. 관찰 조작형 콘텐츠는 증강현실 기법을 활용하여 구체적인 물체나 물리적 대상을 화면에 제공하는 형태이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란 무엇인가? 자폐 스펙트럼 장애 (ASD; Autism Spectrum Disorder)는 사회적 상호작용, 의사소통, 반복적이고 제한된 행동 측면에서 심각한 결함을 가지고 있는 발달 장애에 해당한다[1]. 2013년 5월선보인 새로운 진단기준인 정신장애진단 및 통계편람 (DSM;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 버전에서는 아스퍼거 증후군 (asperger syndrome), 소아기 붕괴성 장애(childhood disintegrative disorder) 등의 진단명을 없애고, 모두이러한 ASD의 범주로 포함시키고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Washington DC: APA Press, 2013. 

  2. S. H. Lee, "Ten questions and answers about autism spectrum disorder in the DSM-5," Korean Journal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Vol. 30, No. 3, pp. 1-33, 2014. 

  3. J. G. Jo, "The effects of computer-based videotaped self-modeling on social communication skills of students with autistic disorder,"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 47, No. 3, pp. 95-115, 2008. 

  4. C. Lord, Early social development in autism, in Preschool Issues in Autism, New York: Plenum Press, pp. 61-94, 1993. 

  5. Y. Cheng, H. Chiang, J. Ye, and L. Cheng, "Enhancing empathy instruction using a collaborative virtual learning environment for children with autistic spectrum conditions," Computers & Education, Vol. 55, pp. 1449-1458, 2010. 

  6. Y. Cheng and J. Ye, "Exploring the social competence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conditions in a collaborative virtual learning environment-The pilot study," Computers & Education, Vol. 54, No.4, pp. 1068-1077, 2010. 

  7. M. Smith, E. Ginger, K. Wright, M. Wright, J. Taylor, L. Humm, D. Olsen, M. Bell, and M. Fleming, "Virtual reality job interview training in adul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Vol. 44, No. 10, pp. 2450-2463, 2014. 

  8. J. Y. Son and M. S. Yeom, "A research review on virtual reality-based intervention for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Vol. 16, No. 4, pp. 433-458, 2015. 

  9. S. H. Jang and B. K. Kye, "Educational application of augmented reality contents,"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Review, Vol. 5, No. 2, pp. 79-85, 2007. 

  10. K. Lim, "Research on developing instructional design models for enhancing smart learning,"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ol. 14, No. 2, pp. 33-45, 2011. 

  11. J. Y. Son, "A research review on usage and effectiveness of smart learn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Korea", Special Education, Vol. 12, No. 3, pp. 79-105, 2013. 

  12. K. S. Yu, "Smart-learning technology based on mixed reality," Journal of Advanced Information Technology and Convergence, Vol. 9, No. 3, pp. 63-73, 2011. 

  13. J. Bacca, S. Baldiris, R. Fabregat, S. Graf, and Kinshuk, "Augmented reality trends in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 of research and applications,"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Vol. 17, No. 4, pp. 133-149, 2014. 

  14. I. Radu, "Augmented reality in education: a meta-review and cross-media analysis," Personal Ubiquitous Computing, Vol. 18, pp. 1533-15432, 2014. 

  15. M. Tentori and G. Hayes, "Designing for interaction immediacy to enhance social skills of children with autism," in Proceedings of the 12th ACM international conference on Ubiquitous Computing, Austin, Texas, USA, pp. 51-60, 2010. 

  16. D. McMahon, D. F. Cihak, and R. Wright, "Augmented reality as a navigation tool to employment opportunities for postsecondary education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autism," Journal of Research on Technology in Education, Vol. 47, No. 3, pp. 157-172, 2015. 

  17. D. D. McMahon, D. F. Cihak, R. E. Wright, and S. M. Bell, "Augmented reality for teaching science vocabulary to postsecondary education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autism," Journal of Research on Technology in Education, Vol. 48, No. 3, pp. 38-56, 2016. 

  18. S. Bhatt, N. De Leon, and A. Al-Jumaily, "Augmented reality game therapy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nternational Journal on Smart Sensing and Intelligent Systems, Vol. 7, No. 2, pp. 519-536, 2014. 

  19. Q. Xu, S. S. Cheung, and N. Soares, "Little Helper: An augmented reality glass application to assist individual with autism in job interview," in Proceedings of Asia-Pacific Sig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Association Annual Summit and Conference, Hong Kong. pp. 16-19, 2015. 

  20. J. Clarkson, "Development of an IOS App Using Situated Learning, Communities of Practice, and Augmented Reality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in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Conference e-Learning, Lisbon, Portugal, 2014. 

  21. Z. Bai, A. Blackwell, and G. Coulouris, "Using augmented reality to elicit pretend play for children with autism," IEEE Transactions on Visualization and Computer Graphics, Vol. 21, No. 5, pp. 598-610, 2015. 

  22. X. Casas, G. Herrera, I. Coma, and M. Fernandez. "A kinect-based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Graphics Theory and Applications, Rome, Italy, pp. 440-446, 2012. 

  23. L. Escobedo, D. Nguyen, L. Boyd, S. Hirano, A. Rangel, D. Garcia-Rosas, M. Tentori, and G. Hayes, "MOSOCO: a mobile assistive tool to support children with autism practicing social skills in real-life situations," in Proceedings of the SIG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Copenhagen, Denmark. pp. 2589-2598, 2012. 

  24. H. J. Park, T. H. Han, J. C. Jeon, and K. H. Kim, "Technical trends in augmented reality based e-learn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Vol. 10, No. 2, pp. 12-22, 2009. 

  25. C. Chen, I. Lee, and L. Lin, "Augmented reality-based video-modeling storybook of nonverbal facial cues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o improve their perceptions and judgments of facial expressions and emotion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 55, pp. 477-485, 2016. 

  26. C. Chen, I. Lee, and L. Lin, "Augmented reality-based self-facial modeling to promote the emotional expression and social skills of adolesc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Research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Vol. 36, pp. 396-403, 2015. 

  27. P. J. Chung, D. L. Vanderbilt, and N. S. Soares, "Social behaviors and active video game play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Games for Health Journal: Research, Development, and Clinical Applications, Vol. 4, No. 3, pp. 225-234, 2015. 

  28. J. Y. Lee and J. S. Kwon, "Touch-based gaming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ol. 15, No. 1, pp. 69-75,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