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용성인비와 비교한 골분의 인산질 비료 효과
Relative Effectiveness of Bone Meal as a Phosphorus Fertilizer Compared with Fused Phosphate 원문보기

한국환경농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v.36 no.1, 2017년, pp.1 - 6  

정종배 (대구대학교 생명환경대학 생명환경학부) ,  정병룡 (대구대학교 생명환경대학 생명환경학부)

초록

유기농업자재로 친환경농업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골분의 적정 시비량을 추정하고자 포트시험으로 골분과 용성인비를 각각 150 및 300 mg $P_2O_5/kg$ 수준으로 처리한 토양에서 옥수수를 4-5주씩 3회 연속 재배하여 골분의 인산 비효를 용성인비와 비교하여 조사하였다. 포트당 옥수수 지상부 총 건물 중은 150 및 300 mg $P_2O_5/kg$ 처리에서 용성인비에 비해 골분 처리에서 각각 6% 및 3% 적었으며, 인산 흡수량 또한 골분 처리에서 7-9% 정도 적었다. 이러한 결과를 보면, 골분을 기존 작물별 표준시비량보다 대략 10% 정도 높여 시용하면 용성인비와 대등한 수준의 비효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비료용 시판 골분에는 직경 1 mm 이상의 굵은 뼈 입자가 18% 이상 함유되어 있다는 점과 이러한 골분을 연용할 경우 잔류효과가 기대되는 점을 고려하여 포장시험을 통해 작물별 적정시비량이나 시용주기 등 보다 상세한 골분 시용방법을 정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Bone meal is commonly used as a phosphorus (P) fertilizer in organic farming. Effectiveness of bone meal was compared with mineral P fertilizer to elucidate the optimum application rates of bone meal in crop production. METHODS AND RESULTS: The effects of bone meal and fused phosphate 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인산 공급용 자재로서 골분의 비효와 적정 시용량을 구명하기 위해 포트시험으로 옥수수의 생장 및 인산 흡수에 대한 골분의 효과를 용성인비와 비교하여 조사하였다.

가설 설정

  • a) Means in the same column with the same letter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DMR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육골분이 반추동물 사료로 금지된 이유는 무엇인가? 도축 부산물인 뼈와 고기를 혼합하여 가공 분쇄한 것을 육 골분 이라고 하며 뼈만을 가공 분쇄한 것을 육골분(meat and bone meal)이라고 하며, 뼈만을 가공 분쇄한 것을 골분(bone meal)이라고 한다. 육골분은 단백질과 무기질 공급원으로 주로 가축 사료로 사용되었으나, 광우병 전파 위험성이 제기되면서 세계적으로 반추동물 사료로 사용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다(Brewer, 1999; Kamphues, 2002). 유럽연합에서는 EC Regulation No.
동물 사료로 국내 골분의 사용량 현황은 어떠한가? 국내에서 유기농업의 확대로 골분의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제주도에서 연간 정도 소비되는 3000-4000 ton정도 소비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골분이 5%에서 많게는 37%까지 함유된 제3종 복합비료가 제주도에서 감귤과 각종 밭작물 재배에 사용 되고 있다(제주비료(주) 자료).
골분과 용성인비를 150, 300mg 처리한 실험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는 골분의 적정 시비량은 얼마인가? 포트당 옥수수 지상부 총 건물 중은 150 및 300 mg P2O5/kg 처리에서 용성인비에 비해 골분 처리에서 각각 6% 및 3% 적었으며, 인산 흡수량 또한 골분 처리에서  7-9% 정도 적었다. 이러한 결과를 보면, 골분을 기존 작물별 표준시비량 보다 대략 10% 정도 높여 시용하면 용성인비와 대등한 수준의 비효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비료용 시판 골분에는 직경 1 mm 이상의 굵은 뼈 입자가 18% 이상 함유되어 있다는 점과 이러한 골분을 연용할 경우 잔류효과가 기대되는 점을 고려하여 포장시험을 통해 작물별 적정시비량이나 시용주기 등 보다 상세한 골분 시용방법을 결정해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aker, A. M., Trimm, J. R., & Sikora, F. R. (1989). Availability of phosphorus in bone meal. Journal-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72(5), 867-869. 

  2. Bekele, T., & Hofner, W. (1993). Effects of different phosphate fertilizers on yield of barley and rape seed on reddish brown soils of the Ethiopian highlands. Nutrient Cycling in Agroecosystems, 34(3), 243-250. 

  3. Brewer, M. S. (1999). Current status of bovine spongiform encephalopathy - A review. Journal of Muscle Foods, 10(1), 97-117. 

  4. Brod, E., Haraldsen, T. K., & Breland, T. A. (2012). Fertilization effects of organic waste resources and bottom wood ash: results from a pot experiment. Agricultural and Food Science, 21(4), 332-347. 

  5. Cox, M. S. (2001). The Lancaster soil test method as an alternative to the Mehlich 3 soil test method. Soil Science, 166(7), 484-489. 

  6. Jeng, A. S., Haraldsen, T. K., Gronlund, A., & Pedersen, P. A. (2006). Meat and bone meal as nitrogen and phosphorus fertilizer to cereals and rye grass. Nutrient Cycling in Agroecosystems, 76, 183-191. 

  7. Kahiluoto, H., & Vestberg, M. (1998). The effect of arbuscular mycorrhiza on biomass production and phosphorus uptake from sparingly soluble sources by leek (Allium porrum L.) in Finnish field soils. Biological Agriculture and Horticulture, 16(1), 65-85. 

  8. Kamphues, J. (2002). Animal feeding and feed legislation after the detection of the first indigenous BSE cases in Germany. Deutsche Tierarztliche Wochenschrift, 109(8), 362-367. 

  9. Kivela, J., Chen, L., Muurinen, S., Kivijarvi, P., Hintikainen, V., & Helenius, J. (2015). Effects of meat bone meal as fertilizer on yield and quality of sugar beet and carrot. Agricultural and Food Science, 24(2), 68-83. 

  10. Klock, K. A., & Taber, H. G. (1996). Comparison of bone products for phosphorus availability. Hort Technology, 6(3), 257-260. 

  11. Miller, W. P., & Miller, D. M. (1987). A micro-pipette method for soil mechanical analysis. Communications in Soil Science and Plant Analysis, 18(1), 1-15. 

  12. Nogalska, A., Czapla, J., Nogalski, Z., Skwierawska, M., & Kaszuba, M. (2012). The effect of increasing doses of meat and bone meal (MBM) on maize (Zea mays L.) grown for grain. Agricultural and Food Science, 21(4), 325-331. 

  13. Nogalska, A., & Zalewska, M. (2013). The effect of meat and bone meal on phosphorus concentrations in soil and crop plants. Plant, Soil and Environment, 59(12), 575-580. 

  14. Nogalska, A., Chen, L., Sienkiewicz, S., & Nogalski, Z. (2014). Meat and bone meal as nitrogen and phosphorus supplier to cereals and oilseed rape. Agricultural and Food Science, 23(1), 19-27. 

  15. Page, A. L. (1982). Methods of soil analysis. Part 2. 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American Society of Agronomy, Madison, Wisconsin, USA. 

  16. Pote D. H., Daniel, T. C., Moore, P. A., Nichols, D. J., Sharpley, A. N., & Edwards, D. R. (1996). Relating extractable soil phosphorus to phosphorus losses in runoff.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Journal, 60(3), 855-859. 

  17. Syers, J. K., Johnston, A. E., & Curtin, D. (2008). Efficiency of soil and fertilizer phosphorus use: reconciling changing concepts of soil phosphorus behaviour with agronomic information. FAO Fertilizer and Plant Nutrition Bulletin 18.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Rome, Italy. 

  18. Valenzuela, H. R., Goo, T., Hamasaki, R. H., & Radovich, T. (2000). The effect of bone meal on the yield of jicama, Pachyrhizus erosus, in Oahu Hawaii. Proceedings of the Florida State Horticultural Society, 113, 222-226. 

  19. Wopenka, B., & Pasteris, J. D. (2005). A mineralogical perspective on the apatite in bone.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C, 25(2), 131-143. 

  20. Ylivainio, K., Uusitalo, R., & Turtola, E. (2008). Meat bone meal and fox manure as P sources for ryegrass (Lolium multiflorum) grown on a limed soil. Nutrient Cycling in Agroecosystems, 81(3), 267-278. 

  21. Zia, M. S., Amin, R., Fazal-e-Qayum, & Aslam, M. (1988). Plant tissue concentration and uptake of phosphorus by maize as affected by levels of fertilization. Pakistan Journal of Agricultural Research, 9(3), 335-3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