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구마 조기재배시 품종별 생육과 괴근비대 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Cultivars according to Growth Period in Early Cultivation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62 no.1, 2017년, pp.51 - 59  

황엄지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연구소) ,  남상식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연구소) ,  이준설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연구소) ,  이형운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연구소) ,  양정욱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연구소)

초록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선호 품종의 변화 및 고구마 조기생산을 위한 삽식 및 수확시기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주요 품종의 삽식 시기에 따른 생육기간별 고구마 생육 특성을 구명하였다. 분질고구마(율미, 진홍미)의 괴근 형성은 삽식 후 50일에 괴근 무게는 각각 4.1, 8.6 g이었으며, 두 품종에서 80일 이후 급격하게 무게가 증가하였고 120일에 괴근 평균 무게는 율미 120.7 g, 진홍미 79.4 g 으로 나타났다. 중간질고구마(풍원미, 호감미)는 삽식 50일 후 괴근 무게가 각각 13.0, 3.3 g이었으며 삽식 후 120일에 괴근 무게는 풍원미 104.2 g, 호감미 68.1 g이었다. 자색고구마(신자미, 단자미)의 괴근형성은 삽식 후 50일에 시작되었으며, 120일에 괴근 무게는 신자미 132.7 g, 단자미 68.0 g이었다. 조기재배 시 율미와 풍원미, 신자미는 삽식 후 120일 전후로 수확이 가능한 조기비대성 품종, 진홍미는 삽식 후 130일, 호감미 단자미는 삽식 후 130일 이상 되어야 수확가능한 만기비대성 품종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obtain basic data on the effects of differences cultivation periods and methods on growth and development of sweet potato tuber. We investigated growth and development of six major cultivars show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such as dry type(Yulmi, YM; Jinhongmi, JHM), intermediate type(Pungwon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구마 재배품종의 다양화, 소비자의 선호품종의 변화 등에 따라 최근에 육성된 고구마 품종을 중심으로 4월중 조기삽식하여 생육일수 경과에 따라 괴근의 형성과 비대특성을 구명하여 주요품종에 대한 적정삽식시기와 재배기간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구마의 최초 재배는 언제, 어디서 됐는가? 고구마(Ipomoea batatas)는 기원전 3,000년경 멕시코에서 처음 재배되었으며(Woolfe et al., 1992), 1763년 일본의 대마도에서 우리나라로 도입되어 재배가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Yeom et al.
우리나라의 전형적인 고구마 재배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 1986). 우리나라의 전형적인 고구마 재배는 5월 중순에 묘를 삽식하여 9~10월에 수확하는 적기재배와 6월 중하순에 삽식 하여 10월에 수확하는 맥류 후작 재배 방법이 있다. 하지만 고품질 햇고구마의 조기 출하를 위해 전열온상을 이용한 조기육묘와 조기재배기술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Hammett et al.
최근 고구마 산업이 크게 성장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인가? , 2008). 최근 고구마의 건강기능식품으로써의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 졌으며 안토시아닌, 폴리페놀, 베타카로틴, 얄라핀, 식이섬유, 칼륨 등 고구마 성분들의 기능성이 알려지기 시작하며 건강기능식품의 소재로서 새롭게 인식되고 있다(Yoshimoto et al., 2001). 또한 소비자들은 기존의 분질고구마에서 점질고구마 그리고 자색 및 주황색을 띄는 유색고구마까지 선호하는 품종이 다양화되는 추세이다. 이로 인해 2000년 16천 ha 까지 감소했던 고구마 재배면적은 최근 20천 ha 수준에서 안정화 추세이고 고구마 산업 또한 크게 성장하였다(KOSIS.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llard, R. W. and Bradghaw, A. D. 1964. Implications of genotype-environment interactions in applied plant breeding. Crop Sci. 4:503-508. 

  2. Ahn, Y. S., Jung, M. N., Jeong, B. C., Lee, J. S., Oh, Y. H., and Min, K. S. 2002, Starch and Sugar Contents of Sweetpotato Storage Root on Harvest Periods from Transplant at Field. Korean J. Crop Sci. 47(2), 109-109. 

  3. Han, S. K., Song, Y. S., Ahn, S. H., Yang, J. W., Lee, H. W., Lee, J. S., Chung, M. N., Nam, S. S., Choi, I. H., and Park, K. H. 2014.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weetpotato (Ipomoea batatas (L.) Lam) Starch Depending on Cultivation Periods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46(6), 750-756. 

  4. Hanson, C. H., Roninson, H. F., and Comstock, R. E. 1956. Biometrical studies of yield in segregating populations of Korean lespedeza. Agron. J. 48:268-272. 

  5. Huett, D. O. 1976. Evaluation of yield, variability and quality of sweetpotato cultivars in sub-tropical Australia. Expt. Agr. 12:9-16. 

  6. Hammett, H. L. 1974. Total carbohydrate and carotenoid content of sweet potatoes as affected by cultivar and area of production. Hort. Sci. 9:467-468. 

  7. Jeong, B. C., Ahn, Y., S., Chung, M. N., Lee, J. S., and Oh, Y. H. 2002, Current Status and Prospect of Quality Evaluation in Sweetpotato. Korean J. Crop Sci. 47:124-134. 

  8. Jung, S. T., Rhim, J. W., and Kang, S. G. 1998. Quality properties and carotenoid pigments of yellow sweet potato pure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596-602. 

  9. Johnson, H. W., Roninson, H. F., and Comstock 1955. Estimates of genetic and environmental variability in soybeans. Agron. J. 47:314-318. 

  10. Kim, J. S. 1995. Preparation of sweet potato drinks and its quality characteristics. J Korean Soc Food Nutr 24:943-947. 

  11. Kim, H. S., Lee, J. S., Kim, J. J., and Bang, J. K. 2006, Research on Actual State of Cultivation, Shipment and Marketing in Sweetpotato. Korean J. Crop Sci. 51(1):82-283. 

  12. KOSIS. 2015.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Statistical Database 2015. Available from http://kosis.kr. Accessed June 19. 2016. 

  13. Lee, S. Y., Kim, T. H., Lee, N. R., Lee, E. J., and Bae, J. H. 2010. Effects of Cutting Size and Planting Depth on Growth and Yield in Late-Cultivation of Sweet Potato. Protecteg Hort. Plant. 19(3), 153-158. 

  14. Mok, I. G., Zhao, D. L., and Kwak, S. S. 2009. Genetic resource of sweet potato for industrial use. J Plant Biotechnol 36:202-206. 

  15. NIAST. 2012. Methods of Analysis of soil and plant analysis.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RDA, Suwon, Korea. 

  16. Nair, R. B,, Vimala, B., Nayar, G. G., and Padmaga, G. 1986. A new high-carotene short-duration hybrid H. 80/168 in sweetpotato. J. Root Crops. 12:97-102. 

  17. Park, I. S., Lee, H. J., Lee, M. K., and Park, I. S. 2006. Characterization of mushroom tyrosinase inhibitor in sweet potato. J Life Sci 16:396-399. 

  18. Park, J. S., Chung, B. W., Bae, J. O., Lee, J. H., Jung, M. Y., and Choi, D. S. 2008. Effects of sweet potato cultivars and koji types on general properties and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sweet potato soju. Korean J Food Sci Technol 42:468-474. 

  19. Villordon, A. Q., La Bonte, D. R., Firon, N., Kfir, Y., Pressman, E., and Schwartz, A. 2009, Characterization of adventitious root development in sweetpotato. Hort Science. 44(3):651-655. 

  20. Woolfe, J. A. 1992. Sweet Potato: An Untapped Food Resour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21. Yoshimoto, M. 2001. New trends of processing and use of sweet potato in Japan. Farming Jpn 35:22-28. 

  22. Yeom, J. S. 2006. The Introduction of Sweet Potatoes and the Development of Cultivation Methods during Late Joseon Korea. The Journal of Korean History. 143:111-1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