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Chronic Mild Stress 유발 흰쥐에서 윤조교심탕(潤燥交心湯)이 스트레스 및 수면 관련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Yunjogyosim-tang on Stress and Sleep-related Substance of Rats Induced by Chronic Mild Stress 원문보기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v.28 no.1, 2017년, pp.25 - 38  

김하나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신경정신과학교실) ,  김경옥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신경정신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study aims were to evaluate the Anti-stress and Sleep-inductive effects of Yunjogyosim-tang (YJGS) in rats induced by Chronic Mild Stress (CMS). Methods: 25 healthy Ra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5 groups; Normal, CMS (Control), YJGS 50, YJGS 100, and YJGS 200. All rats except the 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저자는 윤조교심탕의 경구투여가 만성 스트레스 모델 흰쥐의 스트레스 및 수면 관련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혈액 및 혈청학적 지표, 스트레스, 수면과 관련된 지표인 Corticosterone, Serotonin, Melatonin, PCR기법을 활용한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Tumor necrosis factor α (TNF-α) 지표 등을 측정 및 관찰하여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트레스의 특징은 무엇인가? 현대사회에서 스트레스(Stress)라는 단어는 일상생활에서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전문 용어 중 하나이다1). 스트레스는 인체에 가해지는 다양한 자극이나 변화에 대해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부적응 상태로 각종 심리증상과 신체증상, 행동증상 등을 초래한다2). 반복적이고 만성적인 스트레스는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걱정, 우울, 불안, 초조, 긴장 등 심리적으로 불안정한 상태를 야기하고 수면장애, 기분장애 및 각종 심리학적 장애를 유발하는데3,4), 특히 수면장애 가운데 가장 흔한 질환인 불면증은 스트레스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1).
병리기전에서 불면을 일으키는 원인을 어떻게 다루었는가? 불면을 일으키는 원인은 다양한데, 감정의 급격한 변화나 지속적인 스트레스가 주된 요인으로 병리기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정지부수 간기울결 울구이화화 사화우동심신 신불득안 이치부매(情志不遂 肝氣鬱結 鬱久而化火 邪火扰動心神 神不得安而致不寐) 하고, 두 번째는 심담허겁 혹 폭수경해 신혼부안 선경이공이치야부능매(心膽虛怯 或 暴受驚駭 神魂不安 善驚易恐而致夜不能寐) 하며, 세 번째는 사려노권태과손상심신 심상칙심혈암모 신부수사(思慮勞倦太過 損傷心神心傷則心血暗耗 神不守舍) 한다27). 즉, 정신적인 스트레스로 인해 기가 울체되어 순행이 순조롭지 못하면 음양기혈의 균형이 깨지고 장부를 손상시켜 불면이 발생하게 된다.
반복적이고 만성적인 스트레스가 유발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스트레스는 인체에 가해지는 다양한 자극이나 변화에 대해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부적응 상태로 각종 심리증상과 신체증상, 행동증상 등을 초래한다2). 반복적이고 만성적인 스트레스는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걱정, 우울, 불안, 초조, 긴장 등 심리적으로 불안정한 상태를 야기하고 수면장애, 기분장애 및 각종 심리학적 장애를 유발하는데3,4), 특히 수면장애 가운데 가장 흔한 질환인 불면증은 스트레스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Park JJ, Lim LC, Seol IC. The consideration about the insomnia patient which sees as HRV. Daejeon University Korean medicine laboratory collection of dissertations. 2004;13(1):39-45. 

  2. Koh HJ. Stress managemant in primary care.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0;21 (2):125-36. 

  3. Lee GH, Modern Clinical Psychiatry. Seoul. Hanampc. 1985:42, 148, 381, 498-501. 

  4. Brown, G.W. and J.L.T. Birley. Crisis and life changes and the onset of schizophrenia. Journal of Health and Human Behavior. 1968;9:203-14. 

  5. The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of Neuropsychiatry of oriental medical schools in nation. The Neuropsychiatry of Oriental Medicine. Seoul. Jipmoondang. 2011:197- 202, 252-5, 531-9. 

  6. Na CS and others. Korean medicine Hole homily. Seoul. Eusungdang. 2004:463-4. 

  7. Noh YG. New Edit Byeongjeugimoon. Daejeon. Jumin publisher. 2005:311-2. 

  8. Lee JA, Kim JW, Hwang WW, Kwak SY, Kim MJ, Park EH. The effects of Quibitang on an Animal Model of Depression induced by Chronic Mild Stress.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01;12(1):123-35. 

  9. Kwon HJ, Kim KS, Kang SK, Park PS, Lim JM, Cho YS, Choi YH, Park SY. Antistress effect of Gagamsanzointang on rat chronic stress model.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2012;27(6):29-35. 

  10. Jeong JH, Choi CM, Seo YJ, Cho HB, Kim SB. The Anti-depressive Effect od Samul-tanggahyangbuja on Chronic Mild Stress in Overiectomized Rats. Journal of Korean Obstet Gynecol. 2013;26(4):30-7. 

  11. Kang MG, Kim YH, Im AR, Nam BS, Chae SW, Lee MY. Antidepressant-like effects of Nelumbo bucifera leaves extract in chronic mild stress model.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2014;29(2):7-13. 

  12. Kim SW, Kim JH, Cho MR, Shin JC. The Effect of Poria Cocos Pharmacopuncture at SP6(Sameumgyo) and ST36(Joksamni) on Chronic Stress Model(CSM) Rats. The Acupuncture. 2015;32(2):187-95. 

  13. Cho YS, Kim BK. Effects of Tianwangbuxin-dan, Wendan- tang, Guipi-tang on the expression of MT1 and MT2 melatonin receptors in C6 glial cells.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10;21(2):103-23. 

  14. Kim BRM, Yang DH, Kim BK. Effects of several nerbs on the expression of $MT_1$ and $MT_2$ melatonin receptors in C6 glial cells.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07; 18(1):15-36. 

  15. Kim KW, Kim JW, Whang WW, Kim HT, Park SK, Lee JR. The effects of punsimgieumgamibang on imsomnia and Anxiety in Rat.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00; 11(2):53-62. 

  16. Hu YS, Kim JW, Whang WW, Kim HT, Park SK, Kim HJ. The effect of punsimgieumgamibang on sleep disorder and emotionality in animals.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00;11(2):43-52. 

  17. Min HG. Clinacal endocrinology. Seoul. Koryeo Medicine. 1999:5, 31, 450. 

  18. Choi WK, Lee KS, Joung HY, Lee YC, Sohn JH, Lee BH, Pyun KH, Shim IS. Low frequency noise induces stress responses in the rat. The Journal of Emotion and sensibility. 2007;10(3):411-8. 

  19. Lss Sy, Choi JH, Jeong HS, Kim YK, Choi SI. Piperis Nigri fructus extract Ameliorates psychological stress in mice. Daejeon University Korean medicine laboratory collection of dissertations . 2013;21(2):95-104. 

  20. Selye H. Forty years of stress research. Principal remaining problems and misconceptions. Canada. Journal of Medical Association. 1976;115:53-6. 

  21. Stone EA. Stress and catecholamines. In A. J. Friedhoff (ed.). Cathecholamines and Behavior. Plenum Press. New York. 1975;2:31-72. 

  22. Kwon BH, Lee SR. Effect of Samulanshintang on Rats stressed by Immobilization.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1994;5(1):86. 

  23. Hong WS. Jeonggyo(精校) Hwangjenaehyeongyoungchu( 黃帝內經靈樞). Seoul. Oriental Medicine Institution Press. 1985:158-9, 286. 

  24. Jineon(陳言). Jinmutaeksaminbang(陳無擇三因方) Second volume. Taipei. Daeryeongukpung(臺聯國風) Publisher. 1978:6. 

  25. Lee KW translation. Yeokhaepyeonjoo(譯解編注) Hwangjenaehyeongsomun( 黃帝內經素問). Seoul. Yeokang publisher. 2001:153-230, 339-432, 553-76. 

  26. Yang BC translation. Keumseok(今釋) Hwangjenaehyeongyoungchu( 黃帝內經靈樞). Seoul. Hyundai Medical Publisher. 1987:513, 620. 

  27. Zhang PY. Chinese Internal Medicine. Beijing. Renminweishengchubanshe. 1996:218-22. 

  28. Editing commission of Herbology. Herbology. Seoul. Younglimsa. 2004:186-8, 233-4, 562-3, 628-35. 

  29. Choi GA, Cho SI, Kim KS, Choi CW, Wei TS, Yang SJ, Park SY, Kim KO. Effect of Banhahoobak-tang (Banxiahoupotang) Extract(BHTe) on Psychological Stress.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15;26(2):117-30. 

  30. Willner P. The validity of animal models of depression. Psychopharmacology. 1984;83(1):1-16. 

  31. Wilner P. Validity, reliability and utility of the chronic mild evaluation. Psychopharmacology. 1997;134(4):319-29. 

  32.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Neuropsychology. Seoul. Hana mpc. 1998:465-9. 

  33. Koob GF. Corticotropin-releasing factor, Norepinephrine, and stress. Elsevier. 1999;1167-80. 

  34. Leventhal AG, Wang YC, Pu ML, Zhou YF, Ma Y. GABA and its agonists improved visual cortical function in senescent monkeys. Science. 2003;300:812-5. 

  35. Lee JY. The Influence of Acute Cerebral Infarction on the Circadian Rhythm of Melatonin Secretion . Journal of the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2001;19(4):359-63. 

  36. Arendt J. Melatonin. Clinical Endocrinology. 1988;29: 205-29. 

  37. Utley DS, Lewin SL, Cheng ET, Verity AN, Sierra D, Terris DJ.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and collagen tubulization enhance functional recovery after peripheral nerve transection and repair. Archives of otolaryngology- head & neck surgery. 1996;122(4):407-13. 

  38. Feldmann M, Brennan FM, Maini RN. Role of cytokines in rheumatoid arthritis. Annu Rev Immunol. 1996;14:397-4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