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Stress coping type on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3, 2017년, pp.94 - 104  

조은주 (고신대학교 간호학과) ,  강정미 (고신대학교 간호학과) ,  임경민 (춘해보건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B시에 소재한 간호대학생 122명이며, 자료수집기간은 2015년 5월 6일부터 5월 13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t-test, ANOVA, Scheff'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와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정도는 5점 만점의 평균 평점 3.23점,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4점 만점의 평균 평점 2.71점, 셀프리더십은 5점 만점의 평균 평점으로 3.63점이었다. 대상자의 셀프리더십 정도는 건강상태(p<.001), 대인관계(p=.001), 전공만족도(p<.001), 임상실습 만족도(p=.00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셀프리더십과 임상실습스트레스는 음의 상관관계(p=.028)가, 셀프리더십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양의 상관관계(p<.001)가 있었고,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셀프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는 건강상태, 스트레스 대처방식, 전공만족도이었다. 이중 건강상태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전체 설명력은 28.1%이었다(p<.001).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을 높이기 위해서는 좋은 건강상태를 유지하고, 효율적인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가지는 것과 함께 전공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the stress coping type on the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were 122 nursing students in B city an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6 to May 13, 2015.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the t-te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향상을 위한 전략의 수립과 프로그램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문제 지향적 대처는 언제 사용되는가? Lazarus 와 Folkman[4]은 스트레스 상황에 대한 인지적 평가에 따라 개인이 취하는 대처행동을 문제 지향적 대처 행동과 정서 지향적 대처 행동으로 구분했으며, 대처를 스트레스나 스트레스 사건의 변화하는 요구에 대한 반응으로서 변화하는 지속적인 역동적 과정으로 보았다. 문제 지향적 대처는 상황을 변화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인식할 때 주로 사용되고, 정서지향적 대처는 상황을 변화시킬 가능성이 적다고 인식할 때 많이 사용되는데, 대처방식은 효율성과 관계없이 스트레스를 관리하려는 모든 시도를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생활 스트레스 뿐만 아니라 임상실습 등의 학업스트레스가 상대적으로 많은 간호 대학생에게 효율적인 스트레스 대처능력은 필수적인 요소이기도 하다.
간호 대학생들에게 임상실습이란? 간호교육의 목표달성에 임상실습은 필수적이며, 간호 대학생들에게 임상실습은 학교에서 배운 간호이론을 실무현장에서 실제로 통합하고 적용해 봄으로써 학생의 잠재력을 최대한 개발시켜 창의력과 응용력을 길러주는 학습과정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학생들이 임상실습에 대한 적응도나 만족도는 부정적이며 이론과 실습의 차이로 인한 혼돈, 비교육적인 실습환경, 대인관계에서의 경험부족, 단순한 간호실무의 반복, 전문지식의 부족 및 자신감 결여 등으로 실습 중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다 [1,2].
간호 대학생의 임상실습 시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간호교육의 목표달성에 임상실습은 필수적이며, 간호 대학생들에게 임상실습은 학교에서 배운 간호이론을 실무현장에서 실제로 통합하고 적용해 봄으로써 학생의 잠재력을 최대한 개발시켜 창의력과 응용력을 길러주는 학습과정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학생들이 임상실습에 대한 적응도나 만족도는 부정적이며 이론과 실습의 차이로 인한 혼돈, 비교육적인 실습환경, 대인관계에서의 경험부족, 단순한 간호실무의 반복, 전문지식의 부족 및 자신감 결여 등으로 실습 중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다 [1,2]. 이러한 스트레스가 해소되지 않을 때 간호 대학생들은 긴장, 두려움, 불안, 피로, 분노 뿐 만 아니라 실습이 두려워지고 간호학 전공에 대한 회의마저도 느끼게 되는 심각한 위축과 좌절을 경험한다[3] 그러므로 간호 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를 감소하고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안과 전략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J. W. Park, H. N. Seon, "Nursing Students' Clinical Experience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Psych Ment Health Nursing, Vol. 2, no. 1, pp. 27-35, 2003. 

  2. M. Y. Park, S. Y. Kim, "A Qualitative Study of Nursing Students' first Clinical Experienc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6, no. 1, pp. 23-25, 2000. 

  3. M. A. Park, "Self-leadership, Stress on Clinical Practice and Stress Coping Style in Nursing Students", A master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09. 

  4. Lazarus, R. S., & folkman, S. "A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 spring pub, 1984. 

  5. S. H. Nam, "A Study on Stress in Practice and Coping Style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Types of Nurs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2008. 

  6. G. A. Seomun, S. O. Chang, K. H. Cho, I. A. Kim, S. J. Lee, "The Relation between Self-leadership and Outcome of Nursing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2 no. 1, pp. 151-158, Mar. 2006. 

  7. Y. S. Kang, Y. J. Choi, I. J. Kim, A Study on Nurses's Self-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6, pp. 143-151, 2010. DOI: https://doi.org/10.11111/jkana.2010.16.2.143 

  8. H. J. Park, "Correlation among Nursing Professionalism,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leadership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21, no. 2, pp. 227-236, 2015. DOI: https://doi.org/10.5977/jkasne.2015.21.2.227 

  9. M. A. Park, "Self-Leadership, Stress on Clinical Practice, and Stress Coping Styles in Nursing Students", College of Nursing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2009. 

  10. S. Y. Lee, Y. Y. Kim, "The Effect of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to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3, pp. 309-318, 2016. DOI: https://doi.org/10.14400/JDC.2016.14.3.309 

  11. N. Y. Yang & S. Y. Moon" Relation of Self-leadership, Stress and Satisfaction in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7, no. 2, pp. 216-225, 2011. DOI: https://doi.org/10.11111/jkana.2011.17.2.216 

  12. S. Y. Lee, S. Y. Jeon, Y. Y. Kim, "The Effect of Critical Thinking Deposition and Self-esteem to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 10, no. 1, pp. 155-165, 2016. DOI: https://doi.org/10.12811/kshsm.2016.10.1.155 

  13. H. S. Park, J. Y. Han, "Self-leadership,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 26, no. 3, pp. 695-706, 2015. DOI: https://doi.org/10.7465/jkdi.2015.26.3.695 

  14. S. J. Whang,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Stress, Self-efficacy and Self-esteem of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Nursing Education, vol. 12, no. 2, pp. 205-213, 2006. 

  15. Beck, D. L., & Srivastsva, R., "Perceived Level and Sources of Stress in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 30, no. 3, pp. 127-133, 1991. 

  16. S. L. Kim & J. E. Lee, "Relationship among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Self-esteem in Nursing Students Taking Clinical Experienc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1, no. 1, pp. 98-106, 2005. 

  17. Lazarus, R. S., & Folkman, S., "A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 spring pub, 1984. 

  18. J. Y. Park,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Character Type A & B Ego-identity and Stress Coping", Sookmyeong Women's University Seoul, 1995. 

  19. Manz, C. C, "The Aart of Self-leadership : Strategies for Personal Effectiveness in Your Life and Work". New Jersey: Prentice Hall In, 1983. 

  20. H. S.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of Middle School Teach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ngsil University, Seoul, 2002. 

  21. E. J. Jo & K. M. Lim, "Influence of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Communication skills on Ego-resilien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7, no. 6, pp. 618-628, 2016. DOI: http://doi.org/10.5762/KAIS.2016.17.6.618 

  22. H. J. Park, J. W. Oh, "The Relationship of the Clinical Practice Major Satisfaction with the Nursing Professionalism of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2013. 

  23. G. O. Park, Y. S. Kim, "Stress of Clinical Practice, Self-concept, Mental Health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5, no. 4(B), pp. 2149-2163. 2013. no. 12, pp. 417-426, 2014. 

  24. J. H. Kim,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Practice Stress and Sterss Coping of Nursing Students in Kore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2, pp. 409-415, 2014. DOI: https://doi.org/10.14400/JDC.2014.12.2.409 

  25. P. N. Park, "The Medi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Type and Self-esteem between Life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in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ol. 29, no. 1, pp. 1-10, 2016. DOI: https://doi.org/10.15434/kssh.2016.29.1.1 

  26. H. J. Won, "Effect of Self-leadership and Stress Coping on College Life Adjustment in Nursing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 9, no. 1, pp. 123-131. 2015. DOI: https://doi.org/10.12811/kshsm.2015.9.1.123 

  27. M. S. Chu, Y. R. Lee, S. H. Kim, "Nursing Students' Stress Level, Source and Coping", J Korean Acad Soc Home Care Nurs, vol. 19 no. 2, pp. 195-203,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