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차명상 프로그램이 우울성향 중년여성의 마음챙김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ea-Meditation Intervention on the Mindful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aged Women with Depressio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3, 2017년, pp.569 - 578  

김귀원 (경성대학교 교육학과) ,  김정근 ((주)글로벌비즈니스코칭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우울성향을 가지고 있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차명상 프로그램이 마음챙김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성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B시 B대학 평생교육원에 자발적으로 등록한 경도-중등도의 우울증을 경험하는 20명을 선발하여, 실험 및 통제집단에 각 10명씩 무선 할당하였다. 실험집단 참여자는 매주 2회씩 80분 동안 5주에 걸쳐 10회기의 차명상 프로그램 참여하였다. 마음챙김 수준과 심리적 안녕감을 사전, 사후, 추후에 각각 측정하여 반복측성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 참여자들은 통제집단의 참여자들보다 마음챙김 수준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며, 심리적 안녕감도 유의미한 수준의 증가를 보여주었다.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 요인인 자기 수용성, 긍정적 대인관계, 자율성, 환경통제, 삶의 목적 및 개인적 성장이 사후 및 추후 시점에서 각각 유의미한 수준으로 증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명상 프로그램이 우울성향을 치유하고,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킨다는 선행연구를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차명상 프로그램은 우울성향을 가진 중년여성들의 마음챙김 능력을 함양하고,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대안적 프로그램임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 한계점과 향후 후속연구에서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a meditation intervention on the mindful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aged women with depression. The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 of B university in B City. The research design was 2 (exper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제까지 중년여성에게 적용한 차명상의 구체적인 내용이나 구조화된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가 별로 없으며, 특히 우울성향을 가진 중년 여성들의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차명상, 마음챙김과 심리적 안녕감의 효과성을 직접 다룬 연구도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에서 살펴 본 마음챙김 심리치료 기제와 다도의 특성을 부가하여 차명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우울 성향 중년 여성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차명상 프로그램이 우울성향 중년여성의 마음챙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우울성향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차 명상 프로그램을 실시함으로써 마음챙김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우울성향을 가진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차명상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마음챙김과 심리적 안녕감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1: 차명상 프로그램 중재 전후의 시기별(사전, 사후, 추후), 집단 간(실험, 통제)에 마음챙김 수준은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프로그램 중재의 사전-사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F(1, 19)=115.
  • 가설1: 차명상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중년여성들의 마음챙김 수준이 사전, 사후 및 추후에 따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2: 차명상 프로그램 중재 전후의 시기별(사전, 사후, 추후), 집단 간(실험, 통제)에 심리적 안녕감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심리적 안녕감은 사전-사후에 유의미한 수준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F(1, 19) = 74.
  • 가설2: 차명상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중년 여성의 심리적 안녕감 수준이 사전, 사후 및 추후에 따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음챙김이란 무엇인가? 최근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마음챙김(mindfulness)’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6, 7, 8]. 마음챙김은 지금 이 순간에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알아차리는 것으로 몸과 마음이 고통스런 경험에 자동적으로 반응하는 것을 막아주는 기술이다. 마음챙김은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그리고 중립적이든 모든 경험에 관계하는 방식이며, 전반적인 괴로움의 수준을 낮추고 심리적 안녕감을 높여준다[9].
차의 다양한 약리적 효능은 무엇인가? 차명상에서 사용하는 차는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심리적 안정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약리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찻잎에는 단백질, 지방, 10여 종의 비타민, 폴리페놀, 카페인 등 300여종의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25], 이러한 차의 성분이 스트레스 상황에서 자율신경계를 조절하여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을 높일 수 있고, 면역계의 능력 향상과 정신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26]. 나아가 정신 치료[27, 28, 29], 스트레스 감소[26]등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명상은 무엇에 기반을 두고 있는가? 최근 차명상은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대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차명상은 차 생활이 가지는 정서적 유익함과 명상적 가치를 불교적 명상기법인 마음챙김에 기반하고 있다. 마음챙김은 고정화된 지각으로부터 탈피하여, 매 사건을 처음 발생한 것처럼 보면서, 자신의 경험을 직시하고, 내적 경험에 대해 반사적으로 반응하지 않고, 수용적으로 반응하는 과정이라고 정의하면서 마음챙김은 훈련이나 수행을 통해 개발될 수 있는 스킬이라고 주장했다[10, 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J. H. Kim.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rapeutic Recreation Programs for Depressed Middle - aged women and the Evaluation of their Effectiveness, Unpublished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2010. 

  2. W. K. Lee. An examination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tress of middle-aged women, mindfulness, self-compassion, and emotional well-being, and effectiveness of a mindfulness enhancement program. Unpublished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2010. 

  3. M. O. Chae, H. O. Jeon & A. Kim, A Systematic Review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for Depression in Korean Middle -aged Wome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3 pp. 638-651, 2016. DOI: https://dx.doi.org/10.5762/KAIS.2016.17.3.638 

  4. Andrews, F, Robinson, J. P. Measures of subjective well-being. In J. P. Robinson, P. R. Shavir, & L. S. Wrightsman (Eds), Measures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ical attitudes, pp. 61-114, 1991. DOI: https://doi.org/10.1016/B978-0-12-590241-0.50007-1 

  5. Ryff, C. D.,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 1069-1081, 1989. DOI: https://doi.org/10.1037/0022-3514.57.6.1069 

  6. Brown, K. W., & Ryan, R. M, Then being pres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84, pp. 822-848, 2003. DOI: https://doi.org/10.1037/0022-3514.84.4.822 

  7. Goleman, D., A map for inner space. In R. N. Waish & F. Vanughan (Eds), Beyond ego. Los Angeles: J. P. Tarcher. pp. 141-150, 1980. 

  8. H. M. Park, K. M. Chae,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ful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Cognitive-Behavioral Therapy, vol. 12, no. 3, pp. 259-274, 2012. 

  9. J. S. Moon, K. S. Han, Relationship of Mindful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Mediational Effects of the Imagination Awareness and the Decentering,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vol. 31, no. 1, pp. 93-110 2012. 

  10. Germer, C. K., Siegel, R. D., & Fulton, P. R. Mindfulness and psychotherapy. New York: Guilford Press, 2005. 

  11. S. H. Park. Vipassana Meditation, Mindfulness, and Mindfulness-Based Psychotherapy, Cognitive Behavior Therapy in Korea, vol. 7, no. 2, pp. 83-105, 2007. 

  12. Benson, H. The relaxation response. New York: Williams Morrow. 1975. 

  13. Kabat-Zinn, J, Full catastropy living, New York :Banram Doubleday Dell, 1990. 

  14. H. J. Huh, S. B. Han, Y. N. Park, J. H. Chae ,Clinical Implication of Meditation in Psychiatry :Focused on Mindfulness Meditation, J Korean Neuropsychiatry Association. vol, 54, no, 4, pp. 406-417, 2015. DOI: https://doi.org/10.4306/jknpa.2015.54.4.406 

  15. Y. S. Song, "Depression, Stress, Anxiety and Mindfulness in Nursing Students", Korean J Adult Nurse, vol. 23, no. 4, pp. 397-402, 2011. 

  16. Y. R. Cho, S. S. Noh, S. H. Hong, The Effect of Mindfulness-Based Intervention on Depression and Anxiety Symptoms: A Meta-Analysis,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vol. 33. no. 4, pp. 903-931, 2014. 

  17. Hofmann, Stefan G. Sawyer, Alice T. Witt, Ashley A. Oh, Diana, The effect of mindfulness-based therapy on anxiety and depression: A meta-analytic review,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 78 no. 2, pp. 169-183. 2010. DOI: https://doi.org/10.1037/a0018555 

  18. I. S. Park, J. Y. Park, The Effects of the Mindfulness-Based Mind Control Program on Emotional Stability and Self-Regul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 Risk for EBD and Their Typically Developing Peers in an Inclusive Class,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abilities, vol. 30, no. 3, pp. 35-56, 2014. 

  19. W. K. Woo. Effectiveness of Mindful Self- Compassion Parenting program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ADHD: Pilot Study,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vol. 1, no. 1, pp. 73-90, 2012. 

  20. G. Y. Lee, E. J. Kim, The Effect of Mindfulness Instruction on Anxiety and Post-event Rumination in Socially Anxious Undergraduate Student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35, no. 1, pp. 165-193, 2016. 

  21. Y. R. Cho, Effects of and Mechanisms of Changes in a Group Mindfulness-Based Emotion Regulation Intervention for Improving Psychological Health: Mediating Roles of Emotion Disregulation and Mindfulnes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31, no. 3, pp. 773-799, 2012. DOI: https://doi.org/10.15842/kjcp.2012.31.3.008 

  22. H. K. Chang, Therapeutic Application of Meditation to the Stress-Related Disorder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 9 no. 2, pp. 471-492, 2004. 

  23. Baer, R. A. Mindfulness Training as a Clinical Intervention: A Conceptual and Empirical Review. Clinical Psychology: Science and Practice, vol. 10, pp. 125-143. 2003. DOI: https://doi.org/10.1093/clipsy.bpg015 

  24. M. S. Kim, Meditative approaches on Modern Life with Tea-Focusing on Four Foundations of Mindfuln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gkwan University, 2007. 

  25. J. M. Kim, A Study of the major effect on treatment of the Tea-Focusing on the view of the Oriental Medical Function of the Green T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Wonkwang University, 2006. 

  26. W. S. Lee, Influence of Tea-Meditation on Mental Health,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2006. 

  27. M. H. Shin, Tea-Education Effects Through Blended-Learning and Image-Learn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gkwan University, 2008. 

  28. S. Y. Jeon, The Effect of Meditation with Teaism as Treatment for Mind, Unpublished Master's Thesis, Wonkwang University, 2008. 

  29. J. H. Lee, A study on the Role and Application of Tea Therapy, Unpublished Master's Thesis, Wonkwang University, 2007. 

  30. J. Jang, Tea Meditation, Tea and People Publication, 2006. 

  31. Y. H. Lee, J. Y. Song, A Study of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the BDI, SDS, and MMPI-D Scale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10, no. 1, pp. 98-113. 1991. 

  32. J. Woon, Arising the moon in the tea-cup. Lotus Lake Publication", 2009. 

  33. J. H. Kang, The Development of Psychological psychotherapeutic application of mindfulness Well-Being Improvement Program applying Mindfulness Medit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9. 

  34. H. J. Ha, S. M. Kwon. Suggestions for psychotherapeutic application of mindfulness meditation, BUL GYO HAK BO. vol. 56, pp. 241-271, 2010. 

  35. Lawshe, C. H, A quantitative approach to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vol. 28, pp. 563-575, 1975. DOI: https://doi.org/10.1111/j.1744-6570.1975.tb01393.x 

  36. J. H. Jeon, W. K. Lee, S. J. Lee, & W. H. Lee, A Pilot of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Clinical Psychology, vol. 26, no. 1, pp. 201-212, 2007. DOI: https://doi.org/10.15842/kjcp.2007.26.1.012 

  37. J. G, Ka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erception of Teachers's Psycho-social Phase Changes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Gyeong Nam,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angwon University, 2001. 

  38.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arlbaum Associates, 1988. 

  39. S. L. Keng, M. J. Smoski, and C. J. Robins, Effects of Mindfulness on Psychological Health: A Review of Empirical Studies, Clin Psychol Rev. vol. 31, no. 6, pp. 1041-1056, 2011. DOI: https://doi.org/10.1016/j.cpr.2011.04.006 

  40. K. S. Lee, The Effects of Five-color Tea Meditation on the Stress and Well-being of University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kuk University, 2010. 

  41. S. A. Cho, A Study the Influence of Traditional Tea and Meditation upon Emotional Stabil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1984. 

  42. M. K. Park, A Study on the effect of Meditation to Emotion, Behavior and Sociality of a Child, Unpublished Master's Thesis, Wonkwang University, 2008. 

  43. Y. A. Ju, Y.S. Yook, H. K. Kim, S. K. Lee, B. Y. Choi, A Study to Develop a Leisure Program Combining Yoga and Tea Meditation on the Mood States and Happiness of Middle-aged Working Wives - Focus on Elementary Workers in Their 50's, Korea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vol. 17, no. 4, pp. 57- 84, 2013. 

  44. Y. A. Ju, Y.S. Yook, H. K. Kim, S. K. Lee, B. Y. Choi, A Study to develop a Combined Yoga and Tea Meditation program to Enhance the Happiness for Adolescents, Korea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vol. 17, no. 1, pp. 139-158, 201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