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울증 중년여성을 위한 영화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 of the Cinema Therapy Program for Middle-Aged Women with Depressio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10, 2018년, pp.511 - 522  

신경아 (전남과학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REBT(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치료)를 기반으로 한 영화치료 프로그램이 우울증 중년여성의 우울과 자아존중감, 정서표현성,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되었으며,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를 한 유사 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은 G도시의 정신보건 센터에 등록되어있는 우울증 중년여성 44명 (실험군 23명과 대조군 21명) 이었으며 자료 분석은 SPSS/Win 17.0 Program을 사용하여 ${\chi}^2$-test, Fisher's exact test, t-test로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우울증 중년여성에게 활용한 REBT기반 영화치료 프로그램은 우울을 감소시키고, 자아존중감, 정서표현성,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REBT기반 영화치료 프로그램은 지역사회의 정신사회적 재활 중재 프로그램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effect of REBT based cinema therapy program on depression, self-esteem, emotional expres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depressed middle-aged women. The subjects of study were 44 middle-aged women with depression who were registered in the mental h...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우울증을 겪고 있는 중년여성 대상자를 위한 연구는 거의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REBT를 기반으로 개발한 영화치료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우울증 중년여성의 우울과 자아존중감, 정서표현성,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여 지역사회의 정신사회적 재활 중재 프로그램으로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REBT기반 영화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우울증 중년여성의 우울과 자아존중감, 정서표현성,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를 한 유사 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는 REBT기반 영화치료 프로그램이 우울증 중년여성의 우울과 자아존중감, 정서표현성,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였다. 검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우울증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REBT기반 영화치료 프로그램이 우울증 중년여성의 우울과 자아존중감, 정서표현성,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REBT기반 영화치료 프로그램은 Ellis (1991)의 REBT아론을 근거로 본 연구자가 구성한 프로그램이다.
  • 본 연구자는 G 도시의 정신보건센터 4곳을 방문하여 각 센터 장들에게 연구목적을 설명하고 협조를 요청하였다. 대상자 모집은 센터의 게시판과 발행 신문에 영화치료를 홍보하여 희망자를 신청 받았으며, 센터의 정신보건 간호사가 연구의 선정기준에 의해 신청자를 선별해서 연구자에게 의뢰하였다.
  • 본 연구자는 지역사회 내 우울증 중년여성의 우울 감소와 자아존중감, 정서표현성,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REBT기반 영화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개발과정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1.2.1 제 1 가설: REBT기반 영화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우울점수가 감소될 것이다.
  • 1.2.2 제 2 가설: REBT기반 영화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자아존중감 점수가 높아질 것이다.
  • 1.2.3 제 3 가설: REBT기반 영화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정서표현성 점수가 높아질 것이다.
  • 1.2.4 제 4 가설: REBT기반 영화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대인관계 점수가 높아질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화치료의 효과는 어떠한가? 영화치료는 우울을 감소시키고[22], 자아존중감 [21,23], 정서표현성[24,25], 대인관계[20,26] 등을 향상시키고 있음이 입증되고 있다. 그러나 우울증을 겪고 있는 중년여성 대상자를 위한 연구는 거의 없는 상황이다.
우울증 환자들의 특징은 무엇인가? 우울증 대상자들의 자아존중감은 낮다. 그들은 자신을 가치 없는 무의미한 존재, 결함이 많은 존재로 인식하고 자신의 주변과 미래에 대한 시각이 부정적이다. 세상을 극복 불가능한 장애물이거나 자신에게 과도한 요구를 가해오는 존재로 생각한다[4]. 그로인해 그들의 일상생활에서 생기는 정서는 부정적이며 이를 효율적으로 조절하지 못해 민감해지고[5], 정서표현은 억제하거나 회피하여[6] 심한 절망감이나 슬픔에 빠지게 된다. 그들의 낮은 자아존중감과 부정적정서는 대인관계형성에 부정적 영향을 끼쳐 우울은 점점 만성화되어간다[7].
REBT 치료는 어떤 원리의 치료법인가? 우울증 치료는 인지치료가 효과적이며 유용하게 쓰이고 있다[10]. 특히 Ellis[10]의 인지․정서․행동적 치료 (REBT)는 인간의 부적절한 감정과 문제가 비합리적 신념으로부터 생겨난다는 것에 기초하고 있으므로 신념을 수정하여 인지의 재구조화를 돕는 이론이다. REBT에 관한 문헌조사에 의하면 우울을 감소시키고[11,12] 자아존 중감[13], 정서표현성[14,15], 대인관계능력[16,17]을 향상시키는 데에 효과적이며, 약물치료보다 비용효과와 유용성 면에서 두드러진다고 보고되고 있다[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K. J. Park & K. H. Lee. (2002). A structural model for depression in middle-aged woman. Korean J Women Health Nurs, 8(1), 69-84. 

  2. S. S. Lee & W. H. Choi. (2006). A study on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in middle aged women-based on women living in Geoje city-. Journal of Korean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5(4), 353-361. 

  3.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Sep. 9. 2018), press release 925, disease of mind: depression, Wonju, http://www.nhis.or.kr 

  4. S. M. Kwon. (2012). Depression. Seoul : Hakjisa. 

  5. A. Y. Shin & J. H. Chae. (2011).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 patients with depressive and anxiety disorders. Cognitive Behavior Therapy in Korea, 11(1), 41-52. 

  6. S. Y. Park & K. M. Chae. (2012).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regulation style (active, avoidant /distractive regulation style)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vulnerability of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problem. Cognitive Behavior Therapy in Korea, 12(3), 349-368. 

  7. Y. R. Lee, J. H. Kwon & M. S. Lee. (2009). Stress and relapse depressive middle-aged women: focused on stress evaluation by contextual approach. Cognitive Behavior Therapy in Korea, 9(2), 35-47. 

  8. A. Ellis & W. Dryden. (1987). The practice of rational emotive therapy. New York : Springer Publishing Company. 

  9. Y. J. Choi & K. M. Chae. (2012). The cognitive factors related to suicidal ideation, focusing on both the mediation effects of rumin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decentering. Cognitive Behavior Therapy in Korea, 12(3), 315-329. 

  10. A. Ellis. (1991). The revised ABC's of rational-emotive therapy (RET). Journal of Rational-Emotive and Cognitive-Behavior Therapy, 9, 139-172. 

  11. J. H. Ha. (2001). The effect of REBT group counseling on depression tendency and self-concept. Master's thesis. Daegu Catholic University, Gyeongsan. 

  12. D. David, A. Szetagotai, W. Lupu & D. Cosman. (2008). Rational emotive behavioral therapy, cognitive therapy, and medication in the treatment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 a randomized clinical trial, posttreatment outcomes, and six-month follow-up.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64(6), 728-746. 

  13. M. K. Lim, Y. S. Ko & M. S. Heo. (2010). The effects of REBT group counseling on the belief in weight-control,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mong obese middle school girls. Korean Association of Youth Welfare, 12(1), 165-188. DOI : G704-002137.2010.12.1.005 

  14. K. A. Hwang & G. S. Kim. (2017). On the effect of cognitive-behavioral group therapy on the depression and emotional crisis of woman in mid-life crisis. Korean Journal of Art Therapy, 14(2), 295-318. 

  15. K. A. Park, H. S. Baek & J. S. Han. (2007). The effects of REBT group counseling on the job stress, positive affect, negative affect and self-esteem of nurses. Korea Journal of Counseling, 8(3), 951-963. DOI : 10.15703/kjc.8.3.200709.951 

  16. E. H. Lim. (2011). A study on the intervention of cognitive-behavioral music therapy in bulimia nervosa and interpersonal relation of female university student. Korea Academy of Mental Health Social Work, 37, 458-477. 

  17. S. Y. Jung & H. R. Lee. (2008). The effects of the REBT career group counseling on the career interest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21(1), 95-112. 

  18. F. A. Sava, B. T. Yates, V. Lupu, A. Szentagotai & D. David. (2009). Cost-effectiveness and cost-utility of cognitive therapy, rational emotive behavioral therapy, and fluoxetime (Prozac) in treating depression: a randomized clinical trial.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65(1), 36-52. 

  19. K. H. Lee. (2007). Cinematherapic approach to psycho treatment-possibility of cinema treatment by discourse analysis-.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49(3), 235-253. 

  20. S. J. Kim. (2005). The effects of interactive film treatment for improved personal relations.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21. M. L. Powell, R. A. Newgent & S. M. Lee. (2006). Group cinema therapy: using metaphor to enhance adolescent self-esteem. The Arts in Psychotherapy, 33, 247-253. 

  22. J. H. Lee. (2009). A study on the ef ect of collective program using movie on housewife depression.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23. G. L. Kang. (2013). The effect of a group cinematherapy program on the happiness of the woman single parent. Doctoral dissertation. Gyeongseong University, Busan. 

  24. E. J. Kang. (2011). The effect of a group cinematherapy program on the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nd problem behaviors of the youth at-risk. Doctoral dissertation. Gyeongseong University, Busan. 

  25. J. H. Park, S. J. Choi & C. H. Hong. (2013). Effects of cinema therapy on emotional recognition, emotional expression, and empathy for chronic schizophrenia pati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8(3), 479-497. DOI : 10.17315/kjhp.2013.18.3.004 

  26. E. Marsick. (2010). Cinema therapy with preadolescents experiencing parental divorce: a collective case study. Art in Psychotherapy, 37(4). 

  27. F. Faul, E. Erdfelder, A. G. Lang & A. Buchner. (2007).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of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39(2), 175-191. DOI : 10.3758/bf03193146 

  28. M. Rosenberg.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New Jersey : Princeton university Press. 

  29. B. J. Jeon. (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Yonsei Medical Journal, 1, 109-129. 

  30. A. T. Beck. (1967). Depression: clinical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aspects. New York : Harper & Row Publisher. Inc. 

  31. Y. H. Lee & J. Y. Song. (1991). A study 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BDI, SDS, MMPI-D scal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0(1), 98-113. 

  32. A. M. Kring, D. A. Smith & J. M. Neale. (1994). Individual differences in dispositional expressivenes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emotional expressivity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6, 934-949. 

  33. J. W. Han. (1997). Effects of emotional expression on health and subjective safety.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34. S. Schlein & B. G. Guerney. (1977). Relationship enhancement. Sanfrancisco : Jossey-Bass. 

  35. M. S. Moon. (1980). A study on the effects of human relationship training of university students.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19(2), 195-203 

  36. S. K. Jeon. (1995).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social technology training program for the rehabilitation of schizophrenia. Doctoral dissertation. Soongsil University, Seoul. 

  37. D. Lynch, K. R. Laws & P. J. Mckenna. (2010).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major psychiatric disorder: does it really work? A meta-analytical review of well-controlled trials. Psychological Medicine, 40(1), 9-24. 

  38. E. R. Lee. (2005). Analysis on the ef icacy of REBT group consultation for relieving hypochondriasis and depression of middle-aged women. Master's thesis. Kwangwoon University, Seoul. 

  39. M. S. Hyun & M. A. Kim. (2004). The effects of the cognitive-behavioral therapy on depression and self efficacy of the problem behavior adolescents in middle schoo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3(4), 458-466. 

  40. S. H. Cho & C. Y. Kim. (2017). Theoretical Reviews and Case Studies on Curing, the Adult-child using Movies,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20(1), 82-92 

  41. M. Y. Choi. (2011).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immunity enhancement program for middle aged women.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42. M. H. Lim. (2010). The effects of cognitive behavior on people with depression : depression, anxiety, self-consciousness, self-ef iciency. Master's thesis. Duksung Womens' University, Seoul. 

  43. S. Y. Min. (2011). Effects of a depression prevention program on depression,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in a community popul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2), 132-142. 

  44. W. Birgit. (2005). E-motion picture magic. Y. H. Sim & E. H. Kim. Translation. (2006). Cinema Therapy, Eulyu cultural history. 

  45. B. E. Lee. (2010). The effects of cognitive behavioral group art therapy on self-image, emotional expression, and somatic symptoms of the youth who suppress their anger. Forum for Youth Culture, 25, 110-121. 

  46. S. J. Kim. (2013). Comparative study of the therapeutic factors of selp-help and interactive cinematherapy. Korean Counseling Association, 55, 83-126. DOI : 10.17947/kfa.55.201303.003003 

  47. C. Sharp, J. Smith & A. Cole. (2002). Cinematherapy : metaphorically promoting therapeutic change. Counseling psychology. Quarterly, 15(3), 269-276. 

  48. K. J. Ji & Y. Yoo (2013), A study of emotional intelligenc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psychological happiness university student division of health,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1(10), 653-660. 

  49. M. J. Choi & J. R. Son. (2009). The effects of the interpersonal cognitive problem-solving skill training on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the depressed children.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17(4), 399-406. 

  50. N. R. Benazon. (2000). Predicting negative spousal attitudes toward person; a test of Coyne's interpersonal model.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9(3), 550-554. 

  51. K. T. Rotenberg, P. McDougall, M. J. Boulton, T. Vaillancourt, T. Fox & S. Hymel. (2004).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relations among peer-reported adjustment in children and early adolescents from the Unite Kingdom and Canada.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88(1), 46-67. 

  52. J. M. Lohr & D. Bonge. (1982). Relationships between assertiveness and factorially validated measures of irrational belief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6(3), 353-35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