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전공자 프로그래밍 수업 창의적 산출물의 컴퓨팅 사고력 기반 평가 루브릭 개발
Development of a scoring rubric based on Computational Thinking for evaluating students' computational artifacts in programming course 원문보기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20 no.2, 2017년, pp.1 - 11  

김민자 (고려대학교 컴퓨터 교육학과) ,  유길상 (고려대학교 정보대학 컴퓨터학과) ,  김현철 (고려대학교 정보대학 컴퓨터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등교육의 비전공자 대상 정보과학 교육의 수요가 늘고 있지만, 컴퓨팅 사고력 관점에서 적절하게 학생들의 창의적 산출물을 평가하는 도구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고등교육의 비전공자를 위한 정보 과학 수업에서 학생들이 개발한 창의적 산출물을 컴퓨팅 사고력 관점에서 평가하는 루브릭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루브릭 초안의 준거틀(framework)은 CT Practices Design Pattern이며, 개발된 루브릭의 구성 요소는 영역, 역량요소, 평가요소, 평가자료, 평가단계의 다섯 가지이다. 루브릭은 '추상화 모델의 설계', '창의적 산출물의 설계 및 적용', 그리고 '산출물의 자가 평가'의 세 영역으로 구분하여 개발되었다. 전문가 검토를 통해 내용 타당성을 확보하였으며, 신뢰도 측면의 일관성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루브릭은 해당 목적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emands of computer science education for non-majors in higher education is increasing but relevant evaluation tools for the students' computational artifacts are lack.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a scoring rubric to assess student's computational artifacts in non-major programming course at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CTP 설계 패턴의 이상과 같은 특징이 본 연구의 비전공자의 프로그래밍 수업 산출물을 평가하는데 적절하다고 판단하여, 본 연구에서 이 준거틀을 기반으로 루브릭을 개발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CT 요소 준거틀 도입에 대한 근거를 서술하고 신뢰도 평가를 실시함으로서 기존의 CT 기반 평가 루브릭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비전공자 대상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학생들의 프로젝트 결과물(창의적 산출물)을 CT 기반으로 평가하는 루브릭 개발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로 3개의 영역(‘추상화 모델의 설계’, ‘창의적 산출물의 설계 및 적용’, ‘산출물의 자가 평가’)과 10개의 역량 요소로 구성된 루브릭을 개발하였다.
  • 본 연구는 컴퓨터 과학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실시된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학생들의 산출물을 CT 기반으로 평가할 루브릭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되었다. CT의 다양한 요소 분류 중 CT를 교육 평가적 관점에서 본 ‘CT Practices Design Pattern (컴퓨팅 사고력 수행 설계 패턴)’[26]을 기반으로 수업에 맞게 설계하였다.
  • 문헌 연구를 통해 CT의 세부 요소를 ‘절차 및 알고리즘, 병행화 및 동기화, 자료 표현, 추상화, 문제 분해, 시뮬레이션’으로 정의하였다. 연구자는 학생 산출물에서 학생이 CT 역량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증거를 다양하게 수집하는 것을 목적으로 CT 세부 요소를 정의하였다. 정의한 6개의 요소를 바탕으로 수업을 설계하고 평가 루브릭을 만들었다.

가설 설정

  • 셋째, 참고 자료의 다양성이다. AP Computer Science Principles와 Exploring Computer Science 등 CS 교육과정, CS 교육 문헌, 과학 교육 문헌, 공학 설계 기준, 커뮤니케이션 및 협업 문헌, 현장 선생님과 교육자 등의 전문가 의견 등을 종합하여 개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부는 정보교육 강화를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가? 강의를 개설하거나 커리큘럼을 변경하는 등 각 학교별로 노력하고 있다[8][9]. 정부는 과제나 사업 형태로 고등교육의 정보과학 교육 강화를 지원하고 있다. 미국의 Transforming Undergraduate Education in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TUES)[10]나 한국의 SW 중심대학사업[11]이 대표적이다.
루브릭은 무엇인가? 평가 루브릭은(Scoring rubrics)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평가방법이다. 루브릭은 학생들의 산출물을 평가하기 위해 만들어진 평가 가이드라인으로, 평가자는 루브릭을 이용하여 에세이, 프로그램, 발표 등 여러 산출물을 좀 더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24][25]. 학생의 산출물에 CT의 요소가 포함되었는지를 살펴봄으로서, 루브릭을 학생들의 CT 평가에 활용 가능하다.
비전공자 대상 교육의 핵심은 무엇인가? 고등교육에서 정보과학교육 내용 및 접근성 향상으로 비전공자 대상 교육이 확대되고 있다. 비전공자 대상 교육의 핵심은 CT의 강화이다. 비전공자 교육의 목표는 기술자를 양성하는 것이 아니라 각 전공 영역에 정보과학의 기본 개념과 원리를 적용할 수 있는 인재를 길러내는 것에 있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우호성, 김자미, 이원규 (2017). 해외 고등정보 표준교육과정 기반의 국내 대학 교육과정 비교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0(1), 27-38. 

  2. 김민자, 김현철 (2016). 정보 교과 경험 차이에 따른 대학 전공 선택 및 SW수업 학업성취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9(3), 1-9. 

  3. 김자미, 이원규 (2014). 영국의 교육과정 개정으로 본 정보교과의 지식과 문제해결력에 대한 쟁점,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7(3), 53-62. 

  4. Department for Education (2014). The national curriculum in England: Framework document, Department for Education. 

  5. 김한성, 정혜진, 이원규 (2010). 한국과 일본의 고등학교 정보교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비교교육연구, 20(4), 129-151. 

  6. 김자미, 이원규 (2014). 브루너 이론에 근거한 인도의 정보교육과정 고찰,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7(6), 59-69. 

  7. 김경훈, 이은경, 김영애, 양재명, 이영준, 김현철, 김재현, 배정이, 한건우, 박소영, 박종훈 (2015). 정보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연구보고 CRC 2015-17).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8. Malan, D. (2017년 1월 5일). CS50. Retrieved from http://cs50.harvard.edu 

  9. 임현석 (2014년 12월 12일). [세종대학교] 인문-과학 통섭교양과목.토론식 수업으로 창의인재 육성, 동아일보, 출처: http://news.donga.com 

  10. National Science Foundation (2017, January 5). Transforming Undergraduate Education in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Retrieved from http://nsf.gov 

  11. 미래창조과학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16년 11월 17일). 소프트웨어 중심대학. 소프트웨어 중심사회. 출처: https://software.kr 

  12. Qualls, J. & Sherrell, L. (2010). Why Computational Thinking should be integrated into the curriculum, Journal of Computing Sciences in Colleges, 25(5), 66-71. 

  13. Committee for the Workshops on Computational Thinking;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1). Report of a workshop of pedagogical aspects of Computational Thinking,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14. Committee for the Workshops on Computational Thinking;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0). Report of a workshop on the scope and nature of Computational Thinking.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15. Wing, J. (2006). Computational Thinking, Communications of the ACM, Viewpoint, 49(3), 33-35. 

  16. Wing, J. (2008). Computational Thinking and thinking about computing,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A, 366, 3717-3725. 

  17. Lee, I., Martin, F., Denner, J., Coulter, B., Allan, W., Erickson, J., Malyn-Smith, J., & Werner., L. (2010). Computational thinking for youth in practice, ACM Inroads, 2(1), 33-37. 

  18. Barr, V., & Stephenson, C. (2011). Bringing computational thinking to K-12: What is involved and what is the role of the computer science education community?, ACM Inroads, 2(1), 48-54. 

  19. CSTA & ISTE (2011). Computational Thinking in K-12 education - teacher resources, 2nd edition, CSTA & ISTE. 

  20. Computing at School Working Group (2012). Computer Science: A curriculum for schools, Computing at School. 

  21. 이영준, 백성혜, 신재홍, 유헌창, 정인기, 안상진, 최정원, 전성균 (2014). 초중등 단계 Computational Thinking 도입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2. Denning, P. & Martell, C. (2015). Great principles of computing, The MIT Press. 

  23. 성태제 (2014). 문항제작 및 분석의 이론과 실제 (개정판). 서울: 학지사. 

  24. Josson, A. & Svingby, G. (2007). The use of scoring rubrics: Reliability, validity and educational consequences, Educational Research Review, 2(2007), 130-144. 

  25. Reddy, Y. & Andrade, H. (2010). A review of rubric use in higher education, Assessment & Evaluation in Higher Education, 35(4), 435-448. 

  26. Bienkowski, M., Snow, E., Rutstein, D., & Grover, S. (2015). Assessment design patterns for computational thinking practices in secondary computer science: A first look (SRI technical report). Menlo Park, CA: SRI International. 

  27. 최형신 (2014). 로봇활용교육의 효과성 검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 사회.문화적 맥락 및 컴퓨팅 사고 연계, 한국정보교육학회 논문지, 18(4), 541-548. 

  28. Brennan, K. & Resnick, M. (2012). New frameworks for studying and assessing the development of computational thinking, Paper presented at annual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meeting, Vancouver, BC, Canada. 

  29. 최형신 (2014). Computational Thinking 역량 개발을 위한 수업 설계 및 평가 루브릭 개발, 한국정보교육학회 논문지, 18(1), 57-64. 

  30. Bort, H. & Brylow, D. (2013). CS4Impact: Measuring Computationl Thinking concepts present in CS4HS participants lesson plans, Proceedings in SIGCSE 2013, March 6-9, Denver, Colorado, USA. 

  31. Sherman, M. & Martin, F. (2015). The assessment of mobile computational thinking, Journal of Computing Sciences in Colleges, 30(6), 53-59. 

  32. Josson, A. & Svingby, G. (2007). The use of scoring rubrics: Reliability, validity and educational consequences, Educational Research Review, 2(2007), 130-144. 

  33. Moskal, B. & Leydens, K. (2000). Scoring rubric development: Validity and reliability, Practical Assessment, Research & Education, 7(10), Retrieved September 19, 2016 from http://PAREonline.net/getvn.asp?v7&n10. 

  34. Reddy, Y. & Andrade, H. (2010). A review of rubric use in higher education, Assessment & Evaluation in Higher Education, 35(4), 435-448. 

  35. 한건우, 이은경, 이재희, 이영준 (2006). 학습자 중심 루브릭을 적용한 수행평가가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9(4), 1-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