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에 간행된 한문본 <시경(詩經)> 판본에 관한 고찰 - 명본(明本) 복각본(覆刻本) 『시전대전(詩傳大全)』을 중심으로 -
A Study on Various Editions of Chinese Version - Focusing on 『Shijundaquan』, the reverse engraved editions from Ming Books -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48 no.1, 2017년, pp.267 - 289  

안현주 (전남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조선시대에 간행된 현존하는 한문본 <시경>의 판본의 조사를 통해, 판본 42종을 대상으로 형태적 특징에 따라 계통별로 구분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밝혀진 사실은 다음과 같다. 조선에서는 명(明)의 영락판(永樂板) "시전대전(詩傳大全)" 을 저본(底本)으로 한 복각(覆刻)본과 활자본 및 활자본의 복각본이 전체의 69%를 차지해 가장 자주 간인(刊印)되었고 널리 유통되었다. 그 중에서 주류를 이루고 있는 명본 복각본은 14종이 있는데, 초기본부터 임진왜란 직후에 간행된 판본들은 영락판과 거의 동일한 형태적 특징을 보여 주는데 후대로 갈수록 복각이 거듭되면서 영락판의 형태와는 거리가 멀어진 판본도 생겨났다. <시경>은 시기별로는 18세기에 가장 빈번하게 간행되었고, 지역별로는 경기지역과 경상지역에서 가장 많이 간행되었는데 경기지역에서는 활자본이, 경상지역에서는 감영본이면서 명본 복각본이 주를 이루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survey publications of the chinese version of surviving to the present day and to analyze their characteristics systematically based on physical bibliographical assessment of its 42 versions. Important findings are following: During the Chosun Dynasty, the larg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 동안 서지학계에서 의 판본에 관한 연구 송일기 안현주 옥영정 ( 2014; 2007; 四書 2005; 2003; 2006) ( 2005) 서지 못 한 실정이다 본고에서는 시경 의 성립과 우리나라에 전래된 과정을 밝히고 전국에 .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경>의 판본의 조사를 통해, 판본 42종을 대상으로 형태적 특징에 따라 계통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밝혀진 사실은? 연구 결과 밝혀진 사실은 다음과 같다. 조선에서는 명(明)의 영락판(永樂板) "시전대전(詩傳大全)" 을 저본(底本)으로 한 복각(覆刻)본과 활자본 및 활자본의 복각본이 전체의 69%를 차지해 가장 자주 간인(刊印)되었고 널리 유통되었다. 그 중에서 주류를 이루고 있는 명본 복각본은 14종이 있는데, 초기본부터 임진왜란 직후에 간행된 판본들은 영락판과 거의 동일한 형태적 특징을 보여 주는데 후대로 갈수록 복각이 거듭되면서 영락판의 형태와는 거리가 멀어진 판본도 생겨났다. 은 시기별로는 18세기에 가장 빈번하게 간행되었고, 지역별로는 경기지역과 경상지역에서 가장 많이 간행되었는데 경기지역에서는 활자본이, 경상지역에서는 감영본이면서 명본 복각본이 주를 이루었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survey publications of the chinese version of surviving to the present day and to analyze their characteristics systematically based on physical bibliographical assessment of its 42 versions. Important findings are following: During the Chosun Dynasty, the largest number(69%) of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of was from the Youngrak Version(Ming Books) of "ShiJundaquan", of which reversely engraved editions, typologic editions, and the reversely engraved editions of the typologic editions were found.
詩經 五經은 무엇인가? < > < > . < > < > 詩經 五經 은 유교의 경서인 중의 하나이다 오경 은 사서 보다 먼저 경서로 성립되 었으며 나라의 오경박사제도는 우리나라 고구려와 백제의 유학과 제도에 영향을 끼쳤다 , 漢 . 공자는 “내가 위나라에서 노나라로 돌아 온 이후에 음악이 바르게 되어 시경 의 와 이 < >雅頌 각각 제 자리를 얻게 되었다1).
우리나라가 처음으로 성리학을 받아들인 것은 언제인가? 孔子(BC 551-BC 479) , 이후 오랜 기간에 걸쳐 유학이 성립되었고 중국의 유학은 송나라 朱熹(1130-1200) . 에 의해 성리학으로 확고히 자리 잡았다 우리나라는 고려 말에 원나라로부 터 성리학을 받아들였고 조선시대에는 통치이념으로서 성리학의 위상이 더욱 확고해졌다 성리 . 학의 는 정치 학문 관리등용의 중요한 도구가 되어 조선 지식인의 필수 서적이 되었다 經書 , , .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ook of Tang. 

  2. The Analects. 

  3. Goryosa. 

  4. Goryosajulyo. 

  5. SamkukSaki. 

  6.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7. Book of Han. 

  8. Kal, Chokwang. 2013. The history of Chinese Thoughts. Translated by Lee, Dungyeon etc. Seoul: ILBIT. 

  9. Kum, Jia. 2010. Study of the history of Book exchange between Korea and Chinese. Seoul: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study. 

  10. Shi Jing. 2010. Translated by Kim, Hakju. Seoul: Myungmundang. 

  11. Shim, Kyungho. and Kang, Taekwon. 2006. Read the Oriental Classics 3. Seoul: Humanist. 

  12. Shim, Kyungho. 1999. (Chosun Dynasty) Chinese Classics and the theory about Shi Jing. Seoul: Iljisa. 

  13. Yang, Kyecho. 1995. Introduction of Chinese Classics. Translated by Lee, Kyeju. Seoul: Hyungsungsa. 

  14. Chung, Hyungwoo. and Yun, Byungtae. 1995. The Catalog about Woodblocks for Books in Korea. Seoul: Bokyungmunwhasa. 

  15. Chun, Hyebong. 2003. Korean antique books in Bongjwa library. Seoul: Chisicsanupsa. 

  16. Han, Yungwoo. 2011. A review of Korean history. Seoul: Kyungsewon. 

  17. Ok, Youngjung. 2005. "A Synthetic Study on Annotation of Fore Books(四書諺解) Published in the 17th Century: Make Systemetic and the Physical Bibliographic Analysis of Gyongseojabokgakbon." Journal of the Korean Bibliography Society, 32: 361-386. 

  18. Song, Il-Gi. 2014. "A Study on the Import to Chosun and It's Distributions of the Saseodaejeon Published by Yongrak."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8(1): 97-116. 

  19. Song, Il-Gi. and Chung, Wanggun. 2004. "A Study on Printed Books of Great Learn(大學) Caved by Old Years in Chosun Dynasty." Journal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5(4): 193-213. 

  20. Lee, Se Dong. 2009. "Essays : The Process and Meaning of Liji(禮記) Included in Wujing(五經)."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53: 5-26. 

  21. Ahn, Hyeonju. 2007. A Study on Various Editions of the Four Books in Chosun Dynasty. PH. D. dis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orea. 

  22. Yum, Jongil. 2005. A Study on the printed books of Ch'un-ch'iu(春秋) commentary in Chosun Dynasty period. M.A. thesis, Chungang University, Korea. 

  23. Woo, Jinwoong. 2006. Printing and Printed Books of Mencius in JoSeon Dynasty. M.A. thesis, Kyungbuk University, Korea. 

  24. Yoon, Bongtaek. 2007. A Study of Joseon Period's Publication Culture in Jeju. M.A. thesis, Chonnam Natonal University, Korea. 

  25. Chung, Wanggun. 2003. A Study on printed books of Great Learn(大學) in Chosun dynasty. M.A.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orea. 

  26.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cited 2017. 2. 3]. 

  27. Kyujanggak, SNU. [cited 2017. 1. 5]. 

  28. The Catalog of Korean antique books. [cited 2016. 12. 10]. 

  29. Digital library of Korean Study, AKS. [cited 2017. 1. 5]. 

  30. 김치우. 2007. 고사촬요 책판목록과 그 수록 간본 연구. 서울: 아세아문화사.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