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엉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활성과 항돌연변이 효과
Antioxidative and Antimutagenic Effects of $Arctium$ $lappa$ Ethanol Extrac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4 no.4, 2011년, pp.713 - 719  

이미숙 (한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ethanol extract of Arctium lappa were assessed by measuring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inhibition of $Fe^{2+}$-induced lipid peroxidation, inhibition of malondialdehyde(MDA)-bovine serum albumin(BSA) conjugation 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엉의 기능성 연구는 Ryu 등(1986)의 돌연변이원성 억제효과와 Park 등(1992)이 돌연변이 유발 억제 및 위암세포의 성장 저해효과를 발표한 이후 거의 보고되지 않았고, 우엉 새싹채소의 기능성(Lee 등 2009) 등이 최근 발표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재배된 우엉(뿌리)의 항산화활성을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라디칼 소거효과, 지질과산화 억제효과 및 malondialdehyde(MDA)-bovine serum albumin(BSA) conjugation 억제효과를 통해 살펴보고, Ames test를 이용하여 돌연변이 유발 억제효과를 검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엉의 radical scavenging activity는 LC/MS/MS로 분석해 보았을 때 무엇에 의한다고 하는가? 우엉의 radical scavenging activity는 Yamaguchi 등(2001)이 DPPH-HPLC법으로 실험한 18가지 채소 중에서 가장 높았고, 가열에 의해서 그 활성이 더욱 증가하였다. 우엉의 이러한 활성은 LC/MS/MS로 분석해 보았을 때, caffeic acid 유도체(caffeic acid, chlorogenic acid, cynarin)와 quercetin 등 phenolic compounds에 의한다고 한다(Chen 등 2004; Ferracane 등 2010). 항산화능(Duh PD 1998), 간 보호능(Lin 등 1996) 등의 효능을 또한 우엉의 메탄올 추출물, chlorogenic acid와 caffeic acid는 liposome, deoxyribose, protein에 대한 산화적 손상을 억제하며, 우엉의 메탄올 추출물은 LDL의 산화억제뿐만 아니라 항산화 효소들의 활성 증가와 NO 생성의 저하효과를 통해 항염증 효과와 심혈관질환 예방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이라고 한다(Wang 등 2006).
우엉은 무엇인가? 국화과에 속하는 우엉(Arctium lappa L.)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일본과 중국 등 동북아시아에서 식용 및 약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식물이다. 오래 전부터 한방에서 우엉의잎, 종자, 뿌리를 약재로 사용하였고, 식용으로는 특히 뿌리를 널리 사용하였다.
오래전부터 우엉은 한방에서 어떻게 사용하였는가? )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일본과 중국 등 동북아시아에서 식용 및 약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식물이다. 오래 전부터 한방에서 우엉의잎, 종자, 뿌리를 약재로 사용하였고, 식용으로는 특히 뿌리를 널리 사용하였다. 우엉의 뿌리는 당질과 섬유소가 풍부하고, 당질의 대부분이 이눌린의 형태이기 때문에 예로부터 당뇨병이나 신장병 환자에게 도움이 되는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radford M. 1970.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quantitation of microgram quantities of protein utilizing the principle of protein-dye binding. Anal Biochem 72:240-254 

  2. Chen FA, Wu AB, Chen CY. 2004. The influence of different treatments on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burdock and variations of its active components. Food Chem 86: 479-484 

  3. Chen HM, Muramoto K, Yamauchi F, Fujimoto K, Nokihara K. 1998. Antioxidative properties of histidine-containing peptides designed from peptide fragments found in the digests of a soybean protein. J Agri Food Chem 46:49-53 

  4. Chow LW, Wang SJ, Duh PD. 1997. Antibacterial activity of burdock. Food Science 24:195-202 

  5. Duh PD. 1998. Antioxidant activity of burdock (Arctium lappa Linne): Its scavenging effect on free-radical and active oxygen. J Am Oil Chem Soc 75:455-461 

  6. Ferracane R, Graziani G, Gallo M, Fogliano V, Ritieni A. 2010. Metabolic profile of the bioactive compounds of burdock (Arctium lappa) seeds, roots and leaves. J Pharm and Biomed Anal 51:399-404 

  7. Gomez-Sanchez A, Hermonsin I, Mayo I. 1990. Cleavage and oligomerization of malondialdehyde under physiological conditions. Tetrahedron Letters 28:4077-4080 

  8. Haase G, Dunkley WL. 1969. Ascorbic acid and copper in linoleate oxidation. I. Measurement of oxidation by ultraviolet spectrophotometry and the thiobarbituric acid test. J Lipid Res 10:555-560 

  9. Lee JH, Lim JH, Cheung JD, Suh DW. 2003. Major characteristics of burdock (Arctium lappa L.) native to Yeong-Nam region. Korean J Plant Res 16:8-14 

  10. Lee MY, Shin SL, Park SH, Kim NR, Chang YD, Lee CH. 2009. Development of optimal cultivation conditions and analysis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Arctium lappa sprout vegetables. Korean J Plant Res 22:304-311 

  11. Lin CC, Lin JM, Yang JJ, Chuang SC, Ujiie T. 1996. Antiinflammatory and radical scavenging effect of Arctium lappa. Am J Chinese Medicine 24:127-137 

  12. Lin SC, Lin CH, Lin CC, Lin YH, Chen CF, Chen IC, Wang LY. 2002. Hepatoprotective effects of Arctium lappa Linne on liver injuries induced by chronic ethanol consumption and potentiated by carbon tetrachloride. J Biomed Sci 9: 401-409 

  13. Maron DM, Ames BN. 1983. Revised methods for the Salmonella mutagenicity test. Mutat Res 113:73-215 

  14. Miquel J, Quintaniha AT, Weber H. 1990. Handbook of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in Biomedicine. pp.177-185. CRC Press. 

  15. Norphth KH, Garner RC. 1980. Short-term Test, Systems for Detecting Carcinogens. pp.273-275. Springer-Verlag Press. 

  16. Ohara A, Matsuhisa T. 2002. Anti-tumor promoting activities of edible plants against okadaic acid. Food Sci Technol Res 8:158-161 

  17. Park KY, Lee KI, Rhee SH. 1992. Inhibitory effect of greenyellow vegetables on the mutagenicity in Salmonella assay system and on the growth of AZ-521 human gastric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Nutr 21:149-153 

  18. Park YH. 2000. Effect of polyamine on modification of biomodics by aldehyde. Ph.D. in Medicine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9. Ryu BH, Lee BH, Ha MS, Kim DS, Sin DB, Nam KD. 1986. Desmutagenic effect of legumes and plants crude saponins in Salmonella typhimurium TA 98. Korean J Food Sci Technol 18:345-350 

  20. Saija A, Scalese M, Lanza M, Marzullo D, Bonina F, Castelli F. 1995. Flavonoids as antioxidant agents: Importance of their interaction with biomembranes. Free Radic Bio Med 19:481-486 

  21. Wang BS, Yen GC, Chang LW, Yen WJ, Duh PD. 2006. Protective effects of burdock (Arctium lappa Linne) on oxidation of low-density lipoprotein and oxidative stress in RAW 264.7. Food Chem 101:729-738 

  22. Yamaguchi T, Katsuda M, Oda Y, Terao J, Kanazawa K, Oshima S, Inakuma T, Ishiguro Y, Takamura H, Matoba T. 2003. Influence of polyphenol and ascorbate oxidase during cooking process on th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vegetables. Food Sci Technol Res 9:79-83 

  23. Yamaguchi T, Mizobuchi T, Kajikawa R, Kawashima H, Miyabe F, Terao J, Takamura H, Matoba T. 2001. Radical-scavenging sctivity of vegetables and the effect of cooking on their activity. Food Sci Technol Res 7:250-25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