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병원 의료 질 관리 전담자의 의료 질 향상 활동 경험연구
Quality Improvement Nurses' Experiences of Working for Healthcare Quality in Public Hospital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10, 2017년, pp.19 - 29  

황정해 (한양사이버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박성희 (순천향대학교 간호학과) ,  최윤경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공공병원 질 관리 전담자들의 병원 진료부문과 전반적 질 향상 활동의 경험 탐색을 통해 공공병원 질 향상 활동 방안을 수립하고자 수행되었다. 공공병원의 질 관리 전담자 10명을 대상으로 질 향상 활동 경험에 대해 포커스 그룹 면담을 수행하였다. 질 향상 경험 면담을 통해 '진료 부문과 전반적 의료질 향상 활동에 대한 성공과 실패', '현재 질 향상 활동의 활성화 정도', '공공병원 질 향상 활동의 특성' 그리고 '향후 질 향상 활동의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것들'의 범주화를 통해, '공공병원 고유의 특성에 따른 질 향상 활동의 성공', '리더십과 역량강화를 통한 공공병원 질 향상 활동의 활성화', '공공병원의 지역 중점 병원의 역할 재정립'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공공병원 진료 부문의 질 향상 활동은 의사의 참여가 중요하며 이러한 의사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의사의 질 향상 활동의 성공적 경험을 공유하고 질 향상 활동에 필요한 지식을 제공하여 질 향상 전문성과 자율성을 보장하는 지원들이 필요하다. 또한 공공병원의 질 관리 전담자는 국가 의료 질 향상을 위한 핵심위치에서 질 향상 활동의 견인역할을 하고 지역 의료기관간 협력적 소통을 통해 의료 질 향상 활동을 이끌어가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o describe and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QI (quality improvement) nurses related to the hospital QI activities in public general hospitals. Methods : Purposive sampling was conducted 10 QI nurses and who have QI work experience for more than 1 year.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ocus gr...

주제어

표/그림 (2)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병원 질 향상 활동의 전담자가 겪고 있는 고충은 무엇인가? 병원 질 향상 활동은 질 향상 활동의 중 단기 사업 기획을 비롯하여 질 지표를 관리하는 업무, 표준진료지침의 개발과 관리, 질 향상 활동 프로젝트 관리, 질 향상 활동 결과 공유, 환자 만족도 및 고객관리, 환자 안전 활동 및 공유, 인증 평가 수행, 각종 질 관련 교육 및 자문, 연구 등이 포함되며 질 향상 문화의 결여, 조직구성원들의 이해 부족, 업무 수행에 필요한 지식 부족 등은 일반적으로 질 관리 전담자들이 업무상의 고충으로 언급되고 있다[4]. 특히 의료의 질 향상 활동에서 진료 절차(process) 개선의 노력에 의사의 참여가 제대로 되지 않아 질 관리 전담자에게 큰 부담으로 되고 있다[2].
병원 질 향상 활동에는 무엇이 있는가? 병원 질 향상 활동은 질 향상 활동의 중 단기 사업 기획을 비롯하여 질 지표를 관리하는 업무, 표준진료지침의 개발과 관리, 질 향상 활동 프로젝트 관리, 질 향상 활동 결과 공유, 환자 만족도 및 고객관리, 환자 안전 활동 및 공유, 인증 평가 수행, 각종 질 관련 교육 및 자문, 연구 등이 포함되며 질 향상 문화의 결여, 조직구성원들의 이해 부족, 업무 수행에 필요한 지식 부족 등은 일반적으로 질 관리 전담자들이 업무상의 고충으로 언급되고 있다[4]. 특히 의료의 질 향상 활동에서 진료 절차(process) 개선의 노력에 의사의 참여가 제대로 되지 않아 질 관리 전담자에게 큰 부담으로 되고 있다[2].
공공병원의 질 향상 방안 중 가장 핵심이 되는 사항은 무엇인가? 공공병원은 최근 의료직을 비롯한 인건비 비율이 높고, 병상이용률이 낮아 비효율성이 크다는 지적과 함께 보다 국민에게 다가가는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거듭 구조조정을 통해 지속적인 혁신을 기울이고 있다[5]. 이러한 혁신에는 공공 의료 서비스의 질 향상이 핵심이 되고 있으며, 의료서비스 질 향상의 다양한 활동에 있어 질 관리 전담자가 중심이 되어 공공병원의 질 향상을 기하는데 공공병원이 갖는 현실적인 문제를 직시하고 이를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http://www.koiha.kr/member/kr/contents/sub02/sub02_01_01.do 

  2. 황정해, 박성희, 최윤경, 이정희, 황지인, 김문숙, 이순교, 공공병원의 진료프로세스 개선을 위한 질 향상 활동방안 개발, 서울: 국립중앙의료원(한양사이버대학교), 2013. 

  3. 이상일, "환자안전법 시행의 의의와 과제," 보건복지포럼, pp.2-4, 2016. 

  4. 김문숙, 김현아, 김윤숙, "QI전담자의 주요 업무 및 역할 규명,"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제21권, 제2호, pp.40-56, 2015. 

  5. 양동현, 장영재, "공공병원의 생산성 변화와 결정요인 분석," 대한경영학회지, 제24권, 제6호, pp.3273-3293, 2011. 

  6. 김남순, 전진아, 김명희, 이희영, 박금령, 최지희, 손정인, 김광묘, 공공보건의료의 현황과 발전방안: 지방의료원과 국립대병원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7. A. Strauss and J. Corbin, Basic of qualitative research (2nd ed), Newbury Parks, California, SAGE Pub., 1998. 

  8. K. Kim, C. Park, J. Chang, N. Kim, J. Lee, B. Choi, B. Lee, K. Lee, S. Kim, and S. Yeom, "Association Between Prophylactic Antibiotic Use and Surgical Site Infection Based on Quality Assessment Data in Korea,"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Vol.43, No.3, pp.235-244, 2010. 

  9. 황은정, 심인옥, "지역주민이 인지하는 공공병원 의료의 질, 이미지, 역할수행, 만족도, 재이용 의향, 타인추천 의향 구조모형," 대한간호학회지, 제46권, 제1호, pp.118-127, 2016. 

  10. 이보혜, 최만규, 문상식, 정민수, 김진희,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인력의 감성리더십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 한국보건행정학회지, 제21권, 제2호, pp.309-328, 2011. 

  11. A. Lustig, M. Ogden, R. Brenner, J. Penso, K. Westrich, and R. Dubois, "The Central Role of Physician Leadership for Driving Change in Value-Based Care Environments," J. Manag Care Spec Pharm, Vol.22, No.10, pp.1116-1122, 2016. 

  12. R. Oostra, "Physician Leadership: A Central Strategy to Transforming Healthcare," Front Health Serv Manage, Vol.21, No.3, pp.15-26, 2016. 

  13. 안지선, 홍아정, "공공기관의 조직문화 특성이 집단창의성에 주는 영향과 공유리더십의 매개효과," 한국직업교육연구, 제34권, 제1호, pp.1-23, 2015. 

  14. 전성훈, 구찬동, "지방공무원의 승진만족도가 조직 내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지방행정연구, 제27권, 제4호, pp.113-144, 2013. 

  15. 이혜승, 전영주, "의료기관 인증제도가 병원운영과 의료서비스 향상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제31집, 제2호, pp.235-259, 2015. 

  16. 이영환, 임정도, "의료기관 인증 후 환자안전 및 질 관리 변화와 경영활동 변화 간의 관계:정신병원과 요양병원 대상,"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호, pp.286-299, 2015. 

  17. 김상미, 이해종, 이동원, "공공의료원의 효율성과 수익성 평가 지표의 대체 가능성 검토," 한국병원경영학회지, 제21권, 제1호, pp.43-50, 2016. 

  18. 박병상, 이용균, 김윤신, "병원의 수익성 관련 요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6호, pp.196-206,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