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개방형 혁신 활동이 신사업 발굴 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pen Innovation on New Business Development 원문보기

經營 科學 = Korean management science review, v.34 no.1, 2017년, pp.27 - 45  

도성정 (성균관대학교 기술경영학과) ,  조근태 (성균관대학교 시스템경영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whether open innovation activities are significant and which methods are more effective in developing new businesses. Based on the latest technological innovation survey data of the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the results were analyz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업들이 기존사업의 생존전략이나 신제품 개발 등에 자체 내부 역량에 의존하는 방식보다 투자대비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고 리스크는 최소화할 수 있는 개방형 혁신 활동 방식을 채택하고 있고 이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미래가 불확실하고 성공의 가능성이 낮으며 제한적인 자원을 통해 더욱 전략적으로 추진해야 하는 신사업 발굴에 대해서는 사례연구 및 최근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한 연구가 부족하다는데 주목하여 신사업 발굴 성과 측면에서 기업의 개방형 혁신 활동이 얼마나 유의한 영향을 주는지, 만일 유의한 영향을 준다면 어떤 방식이 성과에 더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의문에서 본 연구를 추진하였다.
  • 그러나 기존사업 및 산업군 특성별 사례연구는 기업의 기존사업에 대한 개방형 혁신 활동의 증거를 찾거나 유용성을 확인하기만 할 뿐, 그 효과의 검증에는 한계를 노출하고 있으며, 조사 데이터를 통한 실증 통계 분석 또한 그 산업에 대한 내용에 국한되어 있어 일부 부합하는 제한적인 데이터를 활용하는데 그치고 있다. 나아가 기존의 개방형 혁신 활동 연구는 연구개발 과정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사업화 부분이 부족한 실정이며, 특히 신사업 발굴 시 개방형 혁신 활동 부분에 대한 최신 국내기업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을 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임으로 본 연구에서는 국내 기업들이 사업의 유지 발전을 위해 신성장 동력을 찾고자 신사업 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나 성과를 도출하는 것에는 많은 어려운 점이 있다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어떠한 혁신 활동이 효과적인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과학기술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기술혁신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이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실증 연구하여 국내 기업이 연구소에서 추진한 개방형 혁신 활동들이 신사업 발굴 성과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고, 신사업 발굴 시 개방형 혁신 활동이 유용하다는 가설을 검증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사업 발굴 성과에 대해 재무적 사업성과와 비재무적 사업성과에 대해 신사업 발굴 성과에 대해 재무적 성과인 매출 발생과 Kaplan and Norton[33]이 정립한 비재무적 사업성과 중 학습과 성장의 관점의 성과지표를 참조하여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에서 실시한 혁신 활동조사표의 신사업 발굴 노력으로 인한 성과 항목 중 신사업으로 인한 매출발생, 신사업에 대한 투자결정, 신사업 비즈니스 전략 수립 등을 신사업 발굴 노력으로 인한 성과 중 유의한 성과로 정의하여, 신사업 발굴 노력에 대한 성과가 개방형 혁신 활동이 신사업 발굴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지를 검증해보고자 하며 그 연구 모형은 과 같다.
  • 1%) 등에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개방형 혁신 활동을 한 업체들의 신사업 발굴 성과에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 분석을 통해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국내 제조업을 대상으로 연구소에서 추진하는 개방형 혁신 활동이 신사업 발굴 성과에도 영향을 미치는지와 신사업 발굴 시 개방형 혁신 활동 방식이 성과에 미치는 관계의 유효성과 어떠한 활동이 더 유의한지에 대해 실증분석을 통해 규명하고자 한다. 추가로 사례분석을 통해 신사업 발굴을 위한 혁신 활동이 최근의 개방형 혁신 패러다임과 부합한다는 점을 확인하고, 개방형 혁신 활동이 단순히 기존사업의 지속 발전하기 위한 혁신 활동의 단계를 넘어 신사업 발굴에서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앞서 검토한 선행연구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개방형 혁신 활동이 근래 중요하게 대두되고 효율적인 연구 개발 및 사업 추진의 트렌드로 규명하고 있는 것을 많은 사례 연구와 실증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방형 혁신 활동이 신사업 발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본 연구에서 기업의 연구소 내 혁신 활동 시 공동 R&D, 외부 R&D, 외부지식 구매 등의 개방형 혁신 활동이 신사업 발굴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란 가정에 대해 실증분석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고, 신사업 발굴을 위한 노력에 직접적으로 활용하는 방식을 크게 관련 기업 인수 합병, 관련 기업과 업무 제휴 및 기술협약, 국내외 관련분야 인력 초빙, 내부 인력을 관련기업으로 파견 등의 개방형 혁신 활동과 일반 활동의 기업 내부 자체 관련 분야 동향 파악, 국내외 관련 세비나 및 포럼 참석, 전문 기관으로부터 컨설팅 받는 등의 방식으로 구분하였다.
  • 이 두 사례는 가치사슬 측면에서는 community-driven의 형태를 띠며, 가치 확보측면에서는 eco-system으로부터 비롯되는 특성을 지닌다. 이 연구에서는 개방형 혁신과 폐쇄형 혁신을 사례를 들어 비교하여 설명하고 있으며, 앞서 두 사례를 개방형 혁신의 대표 사례로 제시하고 있다.
  • 마지막 세 번째 유형은 OSS의 보완재 또는 부가가치 상품을 판매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유형별 프로젝트 상업화에서 기업들이 어떠한 전략을 추진했는지를 분석하고 있다. P&G는 자사와 타인의 지적자산을 연결하여 제품개발을 추진하는 개방형 기술혁신을 2002년부터 도입하였으며, 이러한 Connect & Develope(C&D) 활동을 통해 빅히트 상품인 ‘프링글스 프린트’, ‘크레스트 전동칫솔’ 등을 개발하였고 이러한 활동을 통해 매출액 대비 R&D 투자비율은 2002년부터 3.
  • 이렇게 선행연구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신사업 발굴 노력 방식에 있어서 내부․외부 자원을 활용하는 다양한 방식이 있으며 각각의 장점과 단점을 내포 하고 있어 현재 어떠한 방식이 유의한 영향을 주고, 더 효과적인 방법이 무엇인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여 본 연구에서 신사업 발굴노력 방식에 최근 패러다임인 개방형 혁신 활동 방식의 유의성에 대해 국내 제조업체 578개 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에 대해 실증분석 연구로 유의성과 효과적인 방법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나아가 기존의 개방형 혁신 활동 연구는 연구개발 과정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사업화 부분이 부족한 실정이며, 특히 신사업 발굴 시 개방형 혁신 활동 부분에 대한 최신 국내기업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을 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임으로 본 연구에서는 국내 기업들이 사업의 유지 발전을 위해 신성장 동력을 찾고자 신사업 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나 성과를 도출하는 것에는 많은 어려운 점이 있다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어떠한 혁신 활동이 효과적인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과학기술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기술혁신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이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실증 연구하여 국내 기업이 연구소에서 추진한 개방형 혁신 활동들이 신사업 발굴 성과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고, 신사업 발굴 시 개방형 혁신 활동이 유용하다는 가설을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국내 제조업을 대상으로 연구소에서 추진하는 개방형 혁신 활동이 신사업 발굴 성과에도 영향을 미치는지와 신사업 발굴 시 개방형 혁신 활동 방식이 성과에 미치는 관계의 유효성과 어떠한 활동이 더 유의한지에 대해 실증분석을 통해 규명하고자 한다. 추가로 사례분석을 통해 신사업 발굴을 위한 혁신 활동이 최근의 개방형 혁신 패러다임과 부합한다는 점을 확인하고, 개방형 혁신 활동이 단순히 기존사업의 지속 발전하기 위한 혁신 활동의 단계를 넘어 신사업 발굴에서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 분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1 : 연구소에서의 개방형 혁신 활동은 신사업 발굴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1-1 : 연구소에서의 개방형 혁신 활동 중 공동 R&D 활동은 신사업 발굴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1-2 : 연구소에서의 개방형 혁신 활동 중 외부 R&D 활동은 신사업 발굴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1-3 : 연구소에서의 개방형 혁신 활동 중 외부 지식구매활동은 신사업 발굴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 : 신사업 발굴 방식에 있어 개방형 혁신 활동이 신사업 발굴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1 : 신사업 발굴 방식에 있어 개방형 혁신 활동 중 관련 기업 인수 합병이 신사업 발굴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2 : 신사업 발굴 방식에 있어 개방형 혁신 활동 중 관련 기업과 업무제휴, 기술협약 등 체결이 신사업 발굴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3 : 신사업 발굴 방식에 있어 개방형 혁신 활동 중 국내외 관련 분야 전문 인력 채용(초빙)이 신사업 발굴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4 : 신사업 발굴 방식에 있어 개방형 혁신 활동 중 내부 인력을 관련 기업 등으로 파견이 신사업 발굴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5 : 신사업 발굴 방식에 있어 개방형 혁신 활동 중 관련 분야 동향파악이 신사업 발굴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6 : 신사업 발굴 방식에 있어 개방형 혁신 활동 중 국내외 관련 세미나/포럼 참석이 신사업 발굴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7 : 신사업 발굴 방식에 있어 개방형 혁신 활동 중 전문기관의 컨설팅을 받는 것이 신사업 발굴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업성과란 무엇인가?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방형 혁신 활동이 신사업 발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본 연구에서 기업의 연구소 내 혁신 활동 시 공동 R&D, 외부 R&D, 외부지식 구매 등의 개방형 혁신 활동이 신사업 발굴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란 가정에 대해 실증분석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고, 신사업 발굴을 위한 노력에 직접적으로 활용하는 방식을 크게 관련 기업 인수 합병, 관련 기업과 업무 제휴 및 기술협약, 국내외 관련분야 인력 초빙, 내부 인력을 관련기업으로 파견 등의 개방형 혁신 활동과 일반 활동의 기업 내부 자체 관련 분야 동향 파악, 국내외 관련 세비나 및 포럼 참석, 전문 기관으로부터 컨설팅 받는 등의 방식으로 구분하였다. 아울러, 사업성과란 기업이 가진 자원을 활용하여 경영 및 사업 활동을 통해 얻어낸 산출물을 의미하며, 노부호, 박영수[5]는 사업성과를 투입에서 전환 프로세스를 거쳐 핵심 업무를 달성하는 중간 산출물, 고객에게 제공되는 유무형의 상품 및 서비스, 그것이 다음 스트림으로 연계되어 수익성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인수의 장단점은 무엇인가? 인수는 내부개발에 비해 개발속도가 빠르며, 신사업 발굴 시 그 해당 산업에 진입하는데 저비용으로 추진 가능하나 신사업에서 성공요소인 연구개발 능력, 지적재산권, 제품 이미지 등이 사내개발과 중복될 수 있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47]. 또한 Miller[42]는 인수를 통한 사업 다각화 및 신사업 발굴을 시도하는 기업은 새로운 사업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 단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서로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한 조직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기업이 신성장 산업육성과 신사업 발굴을 추진하는 데 좀 더 신중하고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Dupont, IBM, Exxon, Zerox, 3M 등의 기업에서 추진한 신사업 발굴 성과를 확인해 보면 합작 사업은 6년 이내 50%가 실패하고, 독자 수행 신사업은 44%가 실패했으며, 성장 정체 후 신사업을 통해 새로운 성장을 한 기업은 10%밖에 되지 않았고, 이들 중 고성장을 기록한 기업은 불과 3%밖에 되지 않는다[31]. 아울러, 최근 신제품개발과 고객 발굴 등에 들어가는 투자비용은 갈수록 증가하고, 제품수명주기는 짧아짐에 따라 신사업 발굴 성과를 도출하는 것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기업이 신성장 산업육성과 신사업 발굴을 추진하는 데 좀 더 신중하고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6)

  1. 강지민, "개방형 혁신 활동이 기술사업화 성과에 미치는 영향 : 국내 바이오?제약 산업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2. 권영관, "개방형 혁신이 혁신성과에 기여하는가? : 한국 중소기업으로 부터의 실증적 증거", Asia Pacific Journal of Small Business, 제32권, 제2호(2010), pp.145-168. 

  3. 권영관, 임정선, "개방형 혁신전략을 통한 중소벤처기업의 신사업개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대학기술도입 사례", 한국지식재산학회지, 제8권, 제2호(2013), pp.152-171. 

  4. 김석관, "개방형 혁신의 산업별 특성과 시사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정책연구, 2008. 

  5. 김성홍, 김진한, "개방형 제품혁신성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제품혁신전략, 원천, 파트너 기여도 관점", 한국경영학회지, 제24권, 제2호(2011), pp.685-703. 

  6. 노부호, 박영수, "한국 제조기업의 품질 경영관행과 기업성과에 대한 연구", 경영학연구, 제28권, 제3호(1999), pp.659-676. 

  7. 문성욱, "외부 지식 활용이 한국 제조 기업들의 혁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기술혁신학회지, 제14권, 제4호(2011), pp.711-735. 

  8. 복득규, 이원희, "한국 제조업의 개방형 기술혁신 현황과 효과 분석", 삼성경제연구소, 2008. 

  9. 안치수, "개방형 혁신 활동 및 성과의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10. 양희승, "LG화학의 개방형 혁신 도입과정과 우리나라 기업에의 적용에 관한고찰", 기술혁신연구, 제18권, 제1호(2009), pp.123-152. 

  11. 윤우진, 홍성희, "한국 기업집단의 신규사업진출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경영학회, 제28권, 제1호(2012), pp.1-23. 

  12. 조병길, 김성홍, "개방형 혁신 활동이 신제품 개발성과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산관리학회지, 제24권, 제1호(2013), pp.1-23. 

  13. 조요한, "개방형 혁신 활동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제품혁신 선도기업과 후발기업 비교 관점에서", 한양대학교 학위논문, 2013. 

  14. 한평호, "개방형 혁신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흡수 능력의 역할", 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15. Ahuja, G., "The duality of collaboration : Inducements and opportunities in the formation of inter-firm linkage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21, No.3(2000), pp.317-343. 

  16. Amara, N. and R. Landry, "Sources of information as determinants of novelty of innovation in manufacturing firms : evidence from the 1999 statistics canada innovation survey," Technovation, Vol.24, No.3(2005), pp.245-259. 

  17. Blumberg, M. and C.D. Pringle, "The missing opportunity in organizational research : some implications for theory of work performanc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7, No.4 (1982), pp.560-569. 

  18. Burgelman, R.A., "Managing the internal corporate venturing process," MIT Sloan Management Review, 1984. 

  19. Campbell, A. and R. Park, "The growth gamble : when leaders should bet on new business and how to avoid expensive failures," Nicholas Brealey Publishing, 2005. 

  20. Chesbrough, H.W., "Open innovation : The new imperative for creating and profiting from technology,"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2003. 

  21. Chesbrough, H.W., "Open business model : How to thrive in the new innovation land scape,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2006. 

  22. Chesbrough, H.W. and M.M. Appleyard, "Open innovation and strategy,"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Vol.50, No.1(2007), pp.57-76. 

  23. Cohen, W.M. and D.A. Levinthal, "Absorptive capacity : A new perspective on learning and innovatio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35, No.1(1990), pp.128-152. 

  24. Daft, R.L., "Essentials of organization theory and design," South-Western Pub, 1997. 

  25. Deeds, D.L. and F.T. Rothaermel, "Honeymoons and liabilities : the relationship between age and performance in research and development alliances,"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Vol.20, No.6(2003), pp.468-485. 

  26. Doz, Y. and G. Hamel, "The use of alliances in implementing technology strategies,"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27. Faems, D., B. Van Looy, and K. Debackere, "Interorganizational collaboration and innovation : Toward a portfolio approach,"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Vol.22, No.3(2005), pp.238-250. 

  28. Gassmann, O., E. Enkel, and H.W. Chesbrough, "The future of open innovation," R&D Management, Vol.40, No.3(2010), pp.213-221. 

  29. Hagedoorn, J., "Inter-firm R&D partnerships : An overview of major trends and patterns since 1960," Research Policy, Vol.31, No.4(2002), pp. 477-492. 

  30. Hippel, E.V. and G.V. Krogh, "Free revealing and the private collective model for innovation incentives," R&D Management, Vol.36, No.3 (2006), pp.295-306. 

  31. Huston, L. and N. Sakkab, "Connect and develop : Inside Procter & Gamble's new model for innovation," Harvard Business Review, Vol.84, No.3(2006), pp.58-66. 

  32. Johnson, M.W., C.M. Christensen, and H. Kagermann, "Reinventing your business model," Harvard Business Review, Vol.86, No.12(2008), pp. 50-59. 

  33. Kafouros, M.I. and P.J. Buckley, "Under what conditions do firms benefit from the research efforts of other organizations?," Research Policy, Vol.37, No.2(2008), pp.225-239. 

  34. Kaplan, R.S. and D.P. Norton, "The balance scorecard-measures that drive performance," Harvard Business Review, Vol.70, No.1(1992), pp.71-79. 

  35. Katz, R. and T.J. Allen, "Investigating the not invented here(NIH) syndrome : A look at the performance, tenure, and communication patterns of 50 R&D project groups," R&D Management, Vol.12, No.1(1982), pp.7-19. 

  36. Killing, J.P., "Technology acquisition : License agreement or joint venture," Columbia Journal of World Business, Vol.15, No.3(1980), pp.38-46. 

  37. Killing, J.P., "How to make a global joint venture work : Learning to live with two parents is harder than managers think," Harvard Business Review, Vol.60, No.3(1982), pp.120-127. 

  38. Kogut, B., "Joint ventures : Theoretical and empirical perspective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9, No.4(1988), pp.319-332. 

  39. Laursen, K. and A. Salter, "Open for innovation : The role of openness in explaining innovation performance among U.K. manufacturing firm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27, No.2(2006), pp.131-151. 

  40. Lee, G.K., T.B. Folta, and M.B. Lieberman, "Relatedness and Market Exit," Academy of Management Proceedings, Vol.8, No.1(2010), pp.1-6. 

  41. Lichtenthaler, U., "Open innovation in practice : an analysis of strategic approaches to technology transactions," IEEE Transactions on Engineering Management, Vol.55, No.1(2008), pp.148-157. 

  42. Lorange, P. and J. Roos, "Why some strategic alliances succeed and others fail," Journal of Business Strategy, Vol.12, No.1(1991), pp.25-30. 

  43. Miller, S.S., "The management problems of diversification : a pilot study of the corporation diversifying from an established base, Wiley, 1963. 

  44. Porter, M.E. and M.B. Fuller, "Coalitions and global strategy," Competition in Global Industries, Vol.1, No.10(1986), pp.315-343. 

  45. Roberts, E.B., "New ventures for corporate growth," Harvard Business Review, 1980. 

  46. Roberts, E.B. and C.A. Berry, "Entering new businesses : selecting strategies for success," Sloan Management Review, Vol.26, No.3(1985), pp.3-17. 

  47. Rogers, M., "Networks, firm size and innovation," Small Business Economics, Vol.22, No.2 (2004), pp.141-153. 

  48. Salter, M.S. and W.A. Weinhold, "Diversification through acquisition : Strategies for creating economic value," 2nd Printing edition, 1979. 

  49. Scherer, F.M. and D. Ross, "Industrial market structure and economic performance," Houghton Mifflin Company, 1990. 

  50. Schreier, M. and R.W. Prugl, "Extending lead user theory :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consumers' lead userness,"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Vol.25, No.4(2007), pp.331-346. 

  51. Sykes, H.B., "Business research : A new corporate function,"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Vol.8, No.1(1993), pp.1-8. 

  52. Teece, D.J., "Profiting from technological innovation : Implications for integration, collaboration, licensing, and public policy," Research Policy, Vol.15, No.6(1986), pp.285-305. 

  53. Van de Vrande, V., J.P.J. De Jong, W. Vanhaverbeke, and M. De Rochemont, "Open innovation in SMEs : Trends, motives and management challenges," Technovation, Vol.29, No.6-7(2009), pp. 423-437. 

  54. Van de Vrande, V., W. Vanhaverbeke, and O. Gassmann, "Broadening the scope of open innovation : past research, current state and future direc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Management, Vol.52, No.3/4(2010), pp. 221-235. 

  55. Weiss, L.E., "Start-up business : A comparison of performances," Sloan Management Review, Vol.23, No.2(1981), pp.37-53. 

  56. West, J. and S. Gallagher, "Challenges of open innovation : the paradox of firm investment in open source software," R&D Management, Vol.36, No.3(2006), pp.319-33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