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방사성 세슘 제거를 위한 코발트 혹은 니켈 페로시아나이드가 도입된 자성흡착제
Cobalt and Nickel Ferrocyanide-Functionalized Magnetic Adsorbents for the Removal of Radioactive Cesium 원문보기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v.15 no.1, 2017년, pp.15 - 26  

황규선 (한국원자력연구원) ,  박찬우 (한국원자력연구원) ,  이근우 (한국원자력연구원) ,  박소진 (충남대학교) ,  양희만 (한국원자력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오염수로부터 자성분리가 가능하며, 방사성 세슘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코발트 페로시아나이드(cobalt ferrocyanide, CoFC) 혹은 니켈 페로시아나이드(nickel ferrocyanide, NiFC)가 도입된 자성입자 흡착제를 제조하였다. $Fe_3O_4$ 나노입자는 공침법을 이용해 제조하였고, $Co^{2+}$$Ni^{2+}$ 이온을 입자 표면에 도입시키기 위해 금속이온과 금속 배위결합(metalcoordination)을 하는 카르복실기를 포함한 숙신산(succinic acid, SA)을 자성나노입자(magnetic nanoparticles, MNPs) 표면에 코팅하였다. CoFC와 NiFC는 자성나노입자 표면에 도입된 $Co^{2+}$ 혹은 $Ni^{2+}$ 이온이 hexacynoferrate와 결합하여 형성된다. 제조된 CoFC-MNPs 그리고 NiFC-MNPs는 각각 $43.2emu{\cdot}g^{-1}$, $47.7emu{\cdot}g^{-1}$의 우수한 포화자화 값을 보여주었다. X-선 회절분석(XRD), 퓨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분석(FT-IR), 나노입자 입도 분석기(DLS), 투과전자현미경(TEM) 등의 분석을 통해 흡착제의 물성을 파악하고, 세슘에 대한 흡착 성능을 알아보았다. 흡착실험을 평가하기 위해 Langmuir/Freundlich 등온흡착식을 이용해 실험 결과 값을 곡선맞춤 하였고, CoFC-MNPs와 NiFC-MNPs의 최대흡착량($q_m$)은 각각 $15.63mg{\cdot}g^{-1}$, $12.11mg{\cdot}g^{-1}$이다. CoFC-MNPs와 NiFC-MNPs는 방사성 세슘에 대해서도 최저 99.09%의 제거율을 가지며, 경쟁이온의 존재에도 방사성 세슘만을 선택적으로 흡착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balt ferrocyanide (CoFC) or nickel ferrocyanide (NiFC) magnetic nanoparticles (MNPs) were fabricated for efficient removal of radioactive cesium, followed by rapid magnetic separation of the absorbent from contaminated water. The $Fe_3O_4$ nanoparticles, synthesized using a co-precipi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원자력발전 사고 후 환경으로 방출되는 방사성 세슘은 자연환경에 존재하는 양이온의 농도보다 훨씬 낮은 농도로 존재한다. 따라서 제조된 CoFC-MNPs와 NiFC-MNPs의 실제 환경에의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추가적으로 방사성 세슘 오염수에 경쟁이온이 함께 존재할 때의 방사성 세슘 제거효율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Table 3). 이를 위해 500 ppm의 Na+와 K+를 방사성 세슘 용액에 첨가한 후 자성 흡착제로 처리하여 세슘 제거율 및 제염계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성나노입자의 장점은 무엇인가? 한편, 지난 수십 년 동안 수중에서 외부 자기장을 이용해 쉽고, 빠르게 자성회수가 가능한 자성나노입자(Fe3O4)를 이용하여 중금속 혹은 유기오염원으로 오염된 물을 정화하는 연구가 광범위하게 연구되고 있다. 특히, 자성나노입자는 값이 저렴해 경제적이고, 표면적이 넓어 높은 흡착 효율을 가지며, 표면개질이 용이해 다양한 기능기를 도입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7,8]. 최근, 자성나노입자 표면에 전이금속 페로시아나이드의 한 종류인 프러시안 블루(prussian blue)를 코팅해 세슘 제거 후 흡착제를 자성분리하는 연구가 여러 연구그룹에서 소개되고 있다[10,11,12,13].
방사성 세슘은 무엇인가? 방사성 세슘(137Cs)은 핵분열 과정에서 발생하는 방사성 물질로, 핵분열 생성물의 6.3%를 차지하고, 원자력 발전소 사고, 핵폐기물 등에서 발생하는 방사능 오염의 주된 원인이 되는 물질이다[1]. 2011년, 일본에서는 지진의 여파로 쓰나미가 발생하였다.
방사성 세슘을 제거하기 위한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방사성 세슘은 물에 대해 높은 용해도를 갖고, 30.2년으로 반감기가 길며, 체내에서 칼륨이온과 유사한 거동을 보이기 때문에 인체 내에 흡수될 경우 배출이 잘 이루어 지지 않으며, 근육에 고농축 되어 폐암, 골수암 등 각종 암을 유발할 수 있다[3]. 이러한 이유로 방사성 세슘을 제거하기 위한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D.J. Yang, S. Sarina, H. Zhu, H. Liu, Z. Zheng, M. Xie, S.V. Smith, and S. Komarneni, "Capture of radioactive cesium and iodide ions from water by using titanate nanofibers and nanotubes", Angew. Chem. Int. Edit., 50, 10594-10598 (2011). 

  2. T.J. Yasunari, A. Stohl, R.S. Hayano, J.F. Burkhart, S. Eckhardt, and T.Yasunari, "Cesium-137 deposition and contamination of Japanese soils due to the Fukushima nuclear accident", Proc. Natl. Acad. Sci., 108, 19530-19534 (2011). 

  3. R.R. Sheha,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magnetic hexacyanoferrate(II) polymeric nanocomposite for separation of cesium from radioactive waste solutions", J. Colloid Interface Sci., 388, 21-30 (2012). 

  4. E.H. Borai, R. Harjula, L. Malinen, and A. Paajanen, "Efficient removal of cesium form low-level radioactive liquid waste using natural and impregnated zeolite minerals", J. Hazard. Mater., 172(1), 416-422 (2009). 

  5. T.A. Todd and V.N. Romanovskiy, "A comparison of crystalline silicotitanate and ammonium molybdophosphate-polyacrylonitrile composite sorbent for the separation of cesium from acidic waste", Radio Chem., 47(4), 398-402 (2005). 

  6. P.A. Hass, "A review of information on ferrocyanide solid for removal of cesium from solutions", Sep. Sci. Technol., 28, 2479-2506 (1993). 

  7. H. Mimura, J. Lehto, and R. Harjula, "Selective removal of cesium from simulated high-level liquid wastes by insoluble ferrocyanides", J. Nucl. Sci. Technol., 34, 607-609 (1997). 

  8. C. Dwivedi, S.K. Pathak, M. Kumar, S.C. Tripathi, and P.N. Bajai, "Potassium cobalt hexacyanoferrate-gel beads for cesium removal : kinetics and sorption studies", RSC. Adv., 3, 22102-22110 (2013). 

  9. V. Avramenko, S. Bratskaya, V. Zheleznov, I. Sheveleva, O. Volitenko, and V. Sergienko, "Colloid stable sorbents for cesium removal :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latex particles functionalized with transition metals ferrocyanides", J. Hazard. Mater., 186, 1343-1350 (2011). 

  10. C. Thammawong, P. Opaprakasit, P. Tangboriboonrat, and P. Sreearunothai, "Prussian blue-coated magnetic nanoparticles for removal of cesium from contaminated environment", J. Nanopart. Res., 15, 1689-1699 (2013). 

  11. H. Yang, L. Sun, J. Zhai, H. Li, Y. Zhao, and H. Yu, "In situ controllable synthesis of magnetic Prussian blue/graphene oxide nanocomposites for removal of radioactive cesium in water", J. Mater. Chem. A., 2, 326-332 (2014). 

  12. T. Sasaki and S. Tanaka, "Magnetic separation of cesium ion using Prussian blue modified magnetie", Chem. Lett., 41, 32-34 (2012). 

  13. Y. Namiki, T. Namiki, Y. Ishii, S. Koido, Y. Nagase, A. Tsubota, N. Tada, and Y. Kitamoto, "Inorganic-organic magnetic nanocomposites for use in preventive medicine : a rapid and reliable elimination system for cesium", Pharm. Res., 29, 1404-1418 (2012). 

  14. H.M. Yang, S.C. Jang, S.B. Hong, K.W. Lee, C.H. Rho, Y.S. Huh, and B.K. Seo, "Prussian blue-functionalized magnetic nanoclusters for the removal of radioactive cesium from water", J. Alloys. Comp., 657, 387-393 (2016). 

  15. R. Yi, G. Ye, F. Wu, M. Wen, X. Feng, and J. Chen, "Highly efficient removal of $^{137}Cs$ in seawater by potassium titanium ferrocyanide functionalized magnetic microspheres with multilayer core-shell structure", RSC Adv., 4, 37600-37608 (2014). 

  16. H.M. Yang, S.B. Hong, Y.S. Choi, K.W. Lee, B.K. Seo, and J.K. Moon, "Copper ferrocyanide-functionalized magnetic adsorbents using polyethyleneimine coated $Fe_3O_4$ nanoparticles for the removal of radioactive cesium", J. Nanosci. Nanotechnol., 16, 3067-3070 (2016). 

  17. H.M. Yang, S.C. Jang, S.B. Hong, K. W.Lee, J.K. Moon, Y.S. Huh, and B.K. Seo "Copper ferrocyanidefunctionalized magnetic adsorbents using polyvinylpyrrolidone-coated $Fe_3O_4$ nanoclusters for the removal of radioactive cesium", J. Nanosci. Nanotechnol., 16, 10864-10868 (2016). 

  18. K.S. Hwang, C.W. Park, S.B. Hong, K.W. Lee, B.K. Seo, S.J. Park, and H.M. Yang, "Highly efficient removal of radioactive cesium by sodium-copper hexacyanoferrate-modified magnetic nanoparticles", Colloids Surf. A., 516, 375-382 (2017). 

  19. D.S. Yang, "Copper ferrocyanide functionalized coreshell magnetic silica composites for the selective removal of cesium ions from radioactive liquid waste", Graduate School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Master of Engineering Thesis (2014). 

  20. M.T. Ganzerli Valentini, S. Meloni, and V.Maxia, "Adsorption of monovalent ions on zinc ferrocyanide", J. Inorg. Nucl. Chem., 34, 1427 - 1436 (1972). 

  21. S. Singh, K.C. Barick, and D. Bahadur, "Surface engineered magnetic nanoparticles for removal of toxic metal ions and bacterial pathogens", J. Hazard. Mater., 192, 1539-1547 (2011). 

  22. R. Greenwood, "Review of measurement of zeta potentials in concentrated aqueous suspensions using electroacoustics", Adv Colloid Interface Sci., 106, 55-81 (2003). 

  23. D. Hanaor, M. Michelazzi, C. Leonelli, and C.C. Sorrell, "The effects of carboxylic acids on the aqueous dispersion and electrophoretic deposition of $ZrO_2$ ", J. Eu Ceram Soc., 32, 235-244 (2012). 

  24. F.H. Bijarbooneh, Y. Zhao, J.H. Kim, Z. Sun, V. Malgras, S.H. Aboutalebi, Y.U. Heo, M. Ikegami, and S.X. Dou, "Aqueous colloidal stability evaluated by zeta potential measurmnr and Resultant $TiO_2$ for superior photovoltaic performance", J. Am. Ceram. Sco., 96(8), 2636-2643 (2013). 

  25. M. Ishizaki, S. Akiba, A. Ohtani, Y. Hoshi, K. Ono, M. Matsuba, T. Togashi, K. Kananizuka, M. Sakamoto, A. Takahashi, T. Kawamoto, H. Tanaka, M. Watanabe, M. Arisaka, T. Nankawad, and M. Kurihara, "Proton-exchange mechanism of specific $Cs^+$ adsorption via lattice defect sites of Prussian blue filled with coordination and crystallization water molecules", Dalton Trans., 42, 16049-16055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