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ED 모듈의 초고속 레이저 절단을 위한 연구
Study of high Speed Laser Cutting of LED Module 원문보기

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 학회지 = Journal of the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Society, v.24 no.1, 2017년, pp.91 - 101  

최원용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나노IT디자인 융합기술대학원) ,  좌성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나노IT디자인 융합기술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레이저를 이용하여 전자 소자 및 모듈을 절단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LED 모듈을 초고속 절단하기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기존의 다이싱(dicing) saw의 절단 속도를 훨씬 능가하는 100 mm/s의 초고속 레이저 절단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LED 모듈의 구성 재료인 copper/ceramic 및 silicone/ceramic 이종 복합 기판을 제작하여 레이저 절단 후, 절단면의 표면 특성, 표면조도, 굽힘 강도를 다이싱 saw를 이용하여 절단한 샘플과 비교하였다. 복합 기판에 대한 최적의 레이저 절단 조건을 찾기 위하여, 세라믹 및 구리 단일 기판의 레이저 절단을 통하여 다양한 레이저 공정 조건들에 대한 영향 검토하였다. 절단면의 표면 특성이 가장 좋은 최적의 레이저 절단 조건은 Ar 보조 가스의 사용, 높은 레이저 파워 및 높은 보조 가스의 압력이었다. Copper/ceramic 및 silicone/ceramic 이종 복합 기판에 대하여 레이저 절단과 다이싱 saw로 절단한 기판의 절단면을 비교한 결과, 레이저로 절단된 기판이 다이싱 saw 절단에 비하여 표면이 거칠고 표면 특성이 약간 나쁘다. 레이저 절단면의 평균 표면조도는 약 $9{\mu}m$ 이며, 다이싱 saw로 절단된 절단면의 표면조도는 약 $4{\mu}m$ 이었다. 그러나 다이싱 절단의 절단 속도(3 mm/s)를 고려하면 레이저 절단면의 표면 morphology가 비교적 균일하고, 표면조도도 다이싱 절단의 경우와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 어느 정도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고 판단된다. 또한 레이저 절단된 기판의 굽힘 강도가 다이싱으로 절단된 기판의 굽힘 강도보다 동등하거나 약간 열세이었다. 그러나 향후 레이저의 절단 조건이 좀 더 최적화된다면 LED 모듈의 초고속 레이저 절단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conducted the preliminary research for high speed laser cutting of LED module. In particular, the feasibility of ultra-high speed laser cutting of 100 mm/s which exceeds the cutting speed of conventional dicing saw was examined. For this, copper/ceramic and silicone/ceramic hybri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음에는 구리 단일 기판에 대한 최적의 레이저 절단 조건을 찾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연구에서 사용된 복합 기판에서는 구리 층의 두께가 세라믹 기판에 비하여 훨씬 얇기 때문에 구리 기판 절단을 위한 최적 조건을 찾기 보다는 세라믹 기판의 최적 절단 조건을 기반으로 하여, 그 중에서 레이저 펄스 반복률과 보조 가스의 종류가 구리 기판 절단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 세라믹 기판의 재료는 alumina(Al2O3)이다 따라서 이러한 3개의 다른 물질로 구성된 이종 복합 기판을 레이저로 초고속 절단을 위해서는 각각의 단일 재료에 대한 최적의 절단 조건을 찾은 후, 3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복합 기판의 절단 공정을 다시 최적화해야하기 때문에 매우 복잡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ED 모듈의 절단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우선 copper/ceramic 기판 및 silicone/ceramic의 2 종류의 이종 복합 기판에 대해서 각각 레이저 절단을 수행하였다. 각 기판은 세라믹 기판 위에 구리와 실리콘이 각각 증착된 형태이다.
  • 복합 기판의 레이저 절단을 수행하기에 앞서 각 재료들에 대한 레이저 절단의 최적 조건이 필요하다. 따라서 세라믹 단일 기판과 구리 단일 기판을 별도로 제작하여 세라믹과 구리 재질의 레이저 절단을 최적 절단 조건을 연구하였다. 세라믹과 구리 단일 기판의 두께는 각각 900 μm이었다.
  • 특히 레이저 절단 시의 공정 조건으로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인자들에 대한 레이저 절단 특성을 분석하였다. 레이저 절단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본 논문에서는 초고속 레이저 절단을 위하여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4개의 인자, 즉 레이저 파워, 보조 가스(assist gas)의 종류, 보조 가스의 압력 및 절단 속도에 대해서 그 영향을 파악하였다. 레이저 절단의 기본 조건은 Table 2와 같이 레이저 파워는 300 W, 보조 가스의 압력은 9 bar, 절단 속도는 50 mm/s이였다.
  • 본 연구에서는 LED 모듈을 IR 레이저를 사용하여 초고속 절단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copper/ceramic 및 silicone/ceramic으로 이루어진 복합 기판에 대한 레이저 절단 특성을 연구하였다. 100 mm/s의 고속으로 레이저 절단된 복합 기판의 절단 특성을 절단면의 표면 morphology, 표면조도 및 3점 굽힘 시험에 의한 굽힘 강도의 측정을 통하여 다이싱 saw로 절단된 기판과 비교하였다.
  • 본 논문의 레이저 절단을 위하여 사용된 레이저는 파이버 레이저(IPG Photonics 사)로서 레이저의 파장은 1064 nm, 펄스반복 속도(pulse repetition rates)는 5 kHz, 펄스 지속시간(pulse duration)은 10 msec, 최대 펄스 에너지는 30 J이었으며, 최대 출력은 300 W 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PW(pulsed wave) 모드를 사용하였는데, PW 모드는 에너지를 증폭 후 순간적으로 레이저 빔을 출사시키기 때문에 continuous wave 모드에 비해 발생하는 가공 후의 열 손상이 적기 때문이다. 파이버 코어의 직경은 50 μm이며, 레이저 빔의 집적을 위하여 집속렌즈(focus lens) (Fiber Mini, Laser Mech사)를 사용하였으며, 초점 거리(focal length)는 100 mm, collimation lens의 직경은 35 mm 이다.
  • 본 연구에서는 chip-on-board(COB) 형태로 패키징된 LED 모듈을 레이저로 초고속 절단하기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기존의 다이싱 saw의 절단 속도를 훨씬 능가하는 100 mm/s로 절단하여, 절단 후의 절단면의 표면 관찰 및 3점 굽힘 시험에 의한 굽힘 강도 등의 측정을 통하여 초고속 레이저 절단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W 모드의 특징은 무엇인가? 본 논문의 레이저 절단을 위하여 사용된 레이저는 파이버 레이저(IPG Photonics 사)로서 레이저의 파장은 1064 nm, 펄스반복 속도(pulse repetition rates)는 5 kHz, 펄스 지속시간(pulse duration)은 10 msec, 최대 펄스 에너지는 30 J이었으며, 최대 출력은 300 W 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PW(pulsed wave) 모드를 사용하였는데, PW 모드는 에너지를 증폭 후 순간적으로 레이저 빔을 출사시키기 때문에 continuous wave 모드에 비해 발생하는 가공 후의 열 손상이 적기 때문이다. 파이버 코어의 직경은 50 μm이며, 레이저 빔의 집적을 위하여 집속렌즈(focus lens) (Fiber Mini, Laser Mech사)를 사용하였으며, 초점 거리(focal length)는 100 mm, collimation lens의 직경은 35 mm 이다.
레이저 파워와 보조 가스의 종류에 따라 절단 후의 세라믹 기판 절단면은 어떤 모습을 보이는가? 또한 기판의 하부는 크랙에 의하여 깨진 형상을 볼 수 있다. Ar, N2 가스일 때는 레이저 파워가 높을수록 표면의 형상이 매끄러운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Ar 가스를 사용하였을 경우, N2 가스 보다 표면 특성이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O2 가스를 사용한 경우 전체적으로 표면의 특성이 좋지 않고 레이저 파워 증가에 따른 표면의 특성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전체적으로 레이저 파워가 증가함에 따라 레이저 절단이 잘 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레이저 파워를 증가함으로써 레이저 절단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기존의 연구 결과14)와 유사한 결과이다. 이러한 특성은 Table 4의 표면조도 측정을 통하여서도 잘 나타나고 있는데, Ar 가스를 사용하고, 레이저 파워 300 W에서 표면조도 값이 가장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블레이드를 이용한 다이싱 방법에 요구되는 것은 무엇인가? 현재 반도체, 디스플레이 분야에서는 주로 다이아몬드 saw 블레이드를 이용하는 다이싱(dicing) 방법이 칩을 절단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블레이드를 이용한 다이싱 방법은 블레이드의 두께에 의한 커팅 마진 (cutting margin)이 요구되고 커팅 시 발생하는 마찰열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물 분사를 할 경우, 물 및 오염 물질 등이 가공물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캡핑(capping) 등의 보호 장치가 요구된다. 또한 블레이드의 마모로 인한 비용도 무시할 수 없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W. H. Kang, "Micromachining & Optical Properties of $Li_2OA1_2O_3-SiO_2$ Glass System by Laser Treatment", J. Microelectron. Packag. Soc., 8(4), 43 (2001). 

  2. J. H Lee, J. T. Moon, W. Y. Kim, and Y. S. Kim, "COG(chipon- glass) Mounting using a Laser Beam Transmitting a Glass Substrate", J. Microelectron. Packag. Soc., 8(4), 1 (2001). 

  3. Y. K. Min, and J. W. Byeon, "Evaluation of Flexural Strength of Silicon Die with Thickness by 4 Point Bending Test", J. Microelectron. Packag. Soc., 18(1), 15 (2011). 

  4. X. C. Wang, and H. Y. Zheng, "High Quality Laser Cutting of Electronic Printed Circuit Board Substrates", Circuit World, 35(4), 46 (2009). 

  5. A. Riveiro, F. Quintero, F. Lusquinos, R. Comesana, and J. Pou, "Parametric Investigation of $CO_2$ Laser Cutting of 2024- T3 Alloy", J. Mater. Proc. Technol., 210(9), 1138 (2010). 

  6. D. Araujo, F. J. Carpio, D. Mendez, A. J. Garcia, M. P. Villar, R. Garcia, D. Jimenez, and L. Rubio, "Microstructural Study of $CO_2$ Laser Machined Heat Affected Zone of 2024 Aluminum Alloy", Appl. Surf. Sci., 208-209, 210 (2003). 

  7. M. J. Tsai, and C. H. Li, "The Use of Grey Relational Analysis to Determine Laser Cutting Parameters for QFN Packages with Multipl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pt. Laser Technol., 41(8), 914 (2009). 

  8. J. Zhang, T. Lee, X. Ai, and W. Lau, "Investigation of the Surface Integrity of Laser-cut Ceramic", J. Mater. Proc. Technol., 57(3-4), 304 (1996). 

  9. F. Quintero, J. Pou, F. Lusquinos, M. Boutinguiza, R. Soto, and M. Perez-Amor,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the Cuts Performed on Mullite- alumina by Nd:YAG Laser", Opt. Lasers Eng., 42(3), 327 (2004). 

  10. L. Shanjin, and W. Yang, "An Investigation of Pulsed Laser Cutting of Titanium Alloy Sheet", Opt. Lasers Eng., 44(10), 1067 (2006). 

  11. C. Li, S. Nikumb, and F. Wong, "An Optimal Process of Femtosecond Laser Cutting of NiTi Shape Memory Alloy for Fabrication of Miniature Devices", Opt. Lasers Eng., 44(10), 1078 (2006). 

  12. C. H. Li, and M. J. Tsai, "Multi-objective Optimization of Laser Cutting For Flash Memory Modules with Special Shapes using Grey Relational Analysis", Opt. Laser Technol., 41(5), 634 (2009). 

  13. E. K. Illy, M. Knowles, E. Gu, and M. D. Dawson, "Impact of Laser Scribing for Efficient Device Separation of LED Components", Appl. Surf. Sci., 249(1-4), 354 (2005). 

  14. A. Riveiro, F. Quintero, F. Lusquinos, R. Comesana, and J. Pou, "Effects of Processing Parameters on Laser Cutting of Aluminium-copper Alloys using Off-axial Supersonic Nozzles", Appl. Surf. Sci., 257(12), 5393 (2011). 

  15. A. Riveiro, F. Quintero, F. Lusquinos, R. Comesana, J. del Val, and J. Pou, "The Role of the Assist Gas Nature in Laser Cutting of Aluminum Alloys", Phys. Procedia., 12, 548,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