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델파이를 활용한 치과 중간관리자의 직무역량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 Job Competency Model of a Dental Intermediary-Manager Using the Delphi Method 원문보기

치위생과학회지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v.17 no.2, 2017년, pp.150 - 159  

문학진 (남서울대학교 일반대학원 치위생학과) ,  임순연 (남서울대학교 치위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치과의료기관의 경영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치과 중간관리자의 직무역량은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 FGI, 델파이 조사를 통해 치과 중간관리자의 직무역량모델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먼저 문헌고찰과 FGI를 거쳐 치과 중간관리자 직무역량 모형은 6개의 역량군, 25개의 하위역량, 그 안에 125개 행동지표로 도출하였다. 도출된 치과 중간관리자 직무역량모델 초안은 3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통해 치과경영관리, 진료지원, 인적자원관리, 의사소통과 고객관리, 리더십, 자기관리와 태도의 6개의 역량군으로 구성하였고 각 역량군에 따른 25개의 하위역량과 95개의 행동지표로 구성된 최종 치과 중간관리자의 직무역량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치과 중간관리자 직무역량모델은 치과 중간관리자의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뿐만 아니라 치과 중간관리자의 선발, 평가 등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job competencies of a dental intermediary-manager and to develop a job competency model. First, job competencies were extracted from literature review. Next,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5 people to prepare a draft of job competenc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차 델파이 조사지는 개방형과 폐쇄형 질문으로 구성된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조사의 편리성과 전문가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집하고자 하였다.
  • 또한 치과위생사에게만 집중된 교육프로그램에 비해 중간관리자에게 필요한 교육프로그램은 부족한 실정이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치과 중간관리자 직무역량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 초점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 FGI), 델파이 조사를 통해 치과 중간관리자의 직무역량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치과 중간관리자들의 역량을 파악하고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나아가 치과(병)의원에 근무하는 치과 중간관리자의 역량을 키우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치과의료기관의 경영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치과 중간관리자의 직무역량은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 FGI, 델파이 조사를 통해 치과 중간관리자의 직무역량모델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먼저 문헌고찰과 FGI를 거쳐 치과 중간관리자 직무역량 모형은 6개의 역량군, 25개의 하위역량, 그 안에 125개 행동지표로 도출하였다.
  • 특히 면대면 토의과정에서 나타나는 심리적 효과를 제거하고, 응답자의 익명, 통계적 집단의 반응의 절차를 통하여 전문가의 의견을 효과적으로 수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10).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 초점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 FGI), 델파이 조사를 통해 치과 중간관리자의 직무역량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치과 중간관리자들의 역량을 파악하고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나아가 치과(병)의원에 근무하는 치과 중간관리자의 역량을 키우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치과 중간관리자의 직무역량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실제 임상에서 근무하고 있는 치과 중간관리자들의 인터뷰와 토의 그리고 델파이 조사를 통해 다양한 의견들을 최대한 반영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종합적인 측면에서 평가할 수 있는 치과 중간관리자 직무역량모델을 개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치과 중간관리자의 직무역량모델은 역량을 평가함으로써 부족한 역량을 인식하고 강화를 기대할 수 있으며, 역량을 포괄적이고 체계적으로 분류하였기 때문에 치과 중간관리자를 채용하거나, 훈련, 평가 등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 본 연구는 치과 중간관리자의 효율적이고 우수한 직무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역량을 도출하고, 직무역량모델을 개발하는 데 있다. 따라서 치과 중간관리자 직무역량모형의 초안을 구성하고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직무역량 모형을 최종적으로 확정하는 과정으로 구성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치과현장에서 치과 중간관리자들의 직무 역량모델을 개발하기 위함이므로 다양한 임상경험을 전문성 판단의 주요 기준으로 판단하였다. 델파이 패널은 다음의 선정기준 중 한 가지를 충족하는 사람으로 선정하였으며, 치과 중간관리자를 델파이 조사에 가능한 많이 참여시켰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델파이 조사란? 특히 역량을 추출할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은 행동사건면접과 델파이 조사방법으로 먼저 행동사건면접은 우수한 성과를 내는 전문가 또는 연구 목적에 적합한 대상자를 인터뷰하여 역량을 추출하는 방법이다8). 델파이 조사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거나 일정한 합의점에 도달하지 못한 내용에 대해 다수 전문가의 의견을 자기기입식 설문조사 방법을 수차례에 걸쳐 합의된 의견을 도출하는 방법이다9). 특히 면대면 토의과정에서 나타나는 심리적 효과를 제거하고, 응답자의 익명, 통계적 집단의 반응의 절차를 통하여 전문가의 의견을 효과적으로 수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10).
치과병(의)원 내 중간관리자 업무의 특징은? 치과병(의)원 내 중간관리자는 현재 팀장, 실장, 부장 등 호칭이 규모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치과 중간관리자의 업무는 치과위생사들의 효율적인 관리, 행정업무, 환자 상담 및 교육, 치과 건강보험 청구 등 업무의 내용이 다양하고 광범위한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치과 중간관리자는 어떤 역할을 해야 하고 어떤 역량이 필요한지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이뤄지지 않았다.
치과 의료기관에서 현실적으로 중간관리자의 역할과 리더십이 중요한 이유는? 하지만 현실적으로 조직 내에서 경영자가 모든 직원들을 직접적으로 관리할 수 없기 때문에 이들을 관리하는 중간관리자들의 역할과 리더십은 매우 중요하다2). 중간관리자는 병원조직에 있어서 조직의 최고관리자와 직원들 사이에 교량적 역할을 담당하며 업무 수행 시 불편함이 없도록 지원하는 등 중간관리자의 역할을 매우 중요하며, 중간관리자의 역량은 병원의 성과와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Noh EM, Jeon ES, Ko HJ: The effects of dental hygienists' LMX (Leader-Member Exchange) and empowermen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J Dent Hyg Sci 15: 650-658, 2015. 

  2. Song YH: The leadership of middle-level managers under the conditions of public sector change. Korean Gov Rev 18: 159-180, 2011. 

  3. Kim HS, Jo WH, Kim YH, Kim TH: Analysis of the factors and the differences in the awareness about the capability groups of the mediator manager in general hospital and the level of performance. Korean J Hosp Manag 16: 92-114, 2011. 

  4. Lucia AD, Lepsinger R: The art and science of competency models: pinpointing critical success factors in organizations. 1st ed. Jossey-Bass Pfeiffer, San Francisco, pp.210-224, 1999. 

  5. Spencer LM, Spencer SM: Competence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1st ed. John Wiley & Sons, New York, pp.170-174, 1993. 

  6. Lee HM: Competency modeling and competency evaluation. 1st ed. Readlead, Seoul, pp.104-111, 2009. 

  7. Lee HK, Lee KS: The effect of the results of behavior event interview (BEI)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CB):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leader.member exchange (LMX). J Lifelong Educ HRD 11: 119-137, 2015. 

  8. Kim JH, Choe HC: The development of consumer financial competency measure. Financ Plan Rev 4: 1-36, 2011. 

  9. Lee JS: Delphi method. 1st ed. Kyoyookgwahaksa, Paju, pp.29-32, 2001. 

  10. Moon HJ, Lim SR: A phenomenological study on experiences as a dental intermediary manager. J Dent Hyg Sci 16: 263-271, 2016. 

  11. Nam SR: The development of competency model for administrative staff at a national university and the analysis of their competency level.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2015. 

  12. Lawshe CH: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 Psychol 28: 563-575, 1975. 

  13. Dubois D: Competency-based performance improvement: a strategy for organizational change. 1st ed. HRD Press, Boston, pp.150-169, 1993. 

  14. Bae SS, Kim SK, No HJ, et al.: Study on dental hygienist clinical organizational structure standardization. Korean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 Seoul, 2015. 

  15. Park YN, Park KJ, Oh SH, Kim SH: Dental office manager current conditions by scale of Korean dental clinic. Korea Contents Assoc 10: 267-273,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