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등학생을 위한 가정교과 기반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Pre-Parenthood Education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Home Economics subject 원문보기

韓國 家政科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29 no.4, 2017년, pp.161 - 193  

노희연 (사파중학교) ,  조재순 (한국교원대학교 가정교육과) ,  채정현 (한국교원대학교 가정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가정교과 기반의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평가하여, 예비부모인 고등학생 학습자들이 훗날 우리 사회의 주역이 될 미래세대를 현명하게 보살필 수 있는 성숙한 부모가 되는데 필요한 역량을 갖추도록 하며 동시에 현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부모교육 활성화 방안의 청소년 대상 예비부모교육을 실행하는 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예비부모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과정은 일반적체제설계모형인 ADDIE 모형을 따랐으며, ADDIE모형 중 실행단계(Implement)를 제외한 분석, 설계, 개발, 평가의 4가지 과정을 거쳐 이루어졌다. 먼저, 분석 단계에서는 프로그램 내용요소 추출과 프로그램 개발의 시사점을 얻기 위해 관련 선행연구와 2015 개정 중 고등학교 "기술 가정" 교육과정 문서를 대상으로 분석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가정교과 이 외의 분야에서 연구되어 온 예비부모교육의 9 가지 주제(1.자기이해, 2.예비부모의 성, 3.결혼, 4.임신과 출산, 5.부모됨, 6.부모역할, 7.부모 자녀관계, 8.부모와 가족, 9.부모와 사회)와 해당 내용요소들은 이미 가정교과 교육과정에 모두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9가지 주제 이외에 가정교과만의 독자적인 주제(1.생애설계, 2.가정생활 내 의 식 주 실천역량, 3.가정생활과 자녀안전, 4.가족문화)와 해당 내용요소들을 별도로 확인함으로써 예비부모교육 시행에 있어 가정교과가 지닌 강점(청소년과 가정과 사회를 바라보며 부모교육 내용 뿐만 아니라 식 의 주 소비 생활 전반을 포함하는 총체적 관점의 교육과 실제로 부모 준비를 실천하게 하는 교육)을 확인하였다. 둘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설계는 가정교과와 예비부모교육 간의 접점을 찾고 이를 프로그램 구성요소(목적, 개발방향, 주제, 내용요소, 학습목표, 학습활동)에 반영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 연구의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은 미래세대를 현명하게 길러낼 수 있는 성숙한 부모가 지녀야 할 관련 지식, 태도, 가치관, 실천적 문제 해결 능력을 고등학생 학습자가 갖추도록 지원하는 것을 일차 목적으로 두며, 부모됨의 준비 관점에서 학습자가 현재 생활 점검 및 개선을 통해 생활자립능력을 갖추도록 하는 것을 이차목적으로 둔다. 궁극적으로 이 두 가지 목적 달성을 통해 학습자가 장차 부모로서 살아갈 가정생활 영역과 개인적 성취와 관련된 직업생활 영역 그리고 사회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민주시민으로서의 삶의 영역간의 균형을 이뤄 이를 조화롭게 영위할 수 있는 성숙한 부모로의 성장을 돕고자 하였다. 프로그램 개발방향은 '전체 전개', '내용구성', '교수 학습법 구성'으로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설정되었다. 프로그램의 주제는 총 11개로 '1. 부모 됨: 부모가 된다는 건', '2. 배우자선택: 행복한 부부관계, 자녀에게 주는 최고의 선물', '3. 임신과 출산: 새로운 생명과의 감동적인 만남', '4. 신생아 돌봄: 24시간 신생아 돌봄', '5. 영유아자녀돌봅: 사랑스러운 나의 아기와의 관계, 애착', '6. 유아기 자녀 돌봄: 별에서 온 내 아이, 유아기 자녀 돌보기', '7. 부모와 건강가정: 건강가정 속 부모와 자녀', '8.부모 자녀 관계: 현명한 부모, 자녀와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하기', '9. 가정생활 내 자녀안전: 가정생활 속 안전관리자, 부모', '10. 영유아 돌봄 실습', '11. 지역사회 양육지원서비스 개발 실습'이다. 프로그램의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pre-parenthood education program(PPEP) based on Home Economics(HE) subject for high school students.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PPEP based on HE subject in this study followed ADDIE model except implementation through 4 processes such as 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예비부모교육에 대한 가정교과의 이와 같은 총체적인 접근은 무엇에 도움이 될 수 있는가? 다만 부모와 자녀 간의 상호작용 내용에 초점을 두는 타 분야의 예비부모교육과 달리 가정교과에서는 예비부모교육을 식 의 주소비 가정생활과 가정을 둘러싼 사회까지 확대하여 총체적인 관점에서 다루고 있다. 예비부모교육에 대한 가정교과의 이와 같은 총체적인 접근은 장차 한 가정의 리더, 관리자, 문제해결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될 청소년들에게 성숙한 부모로서의 역량을 기르게 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교육부 및 여가부와 보건복지부 합동부처 주관으로 추진되고 있는 부모교육 활성화 방안의 생애주기별 맞춤형 부모교육 대상은 무엇인가? 최근 교육부 및 여가부와 보건복지부 합동부처 주관으로 추진되고 있는 부모교육 활성화 방안에서는 생애주기별 맞춤형 부모교육 대상에 결혼 전 예비부부부터 군인, 일반 청소년은 물론 10대 한부모 가족까지 부모교육의 대상에 포함하고 있다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Ministry of Education, 2016). 청소년을 예비 부모교육의 대상에 포함시킨 정부의 방침은 부모교육의 중점을 단순히 양육지식 익히기에 그치지 않고 예방적 차원에서 부모가 가져야 할 근본적인 의식 확립에까지 목적을 두었기에 매우 적합하고 시의적절하다.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부모교육 활성화 방안에 나타난 견해는 무엇인가? 한편 모든 청소년들은 장차 우리 사회를 이끌어 갈 미래 세대를 보살필 수 있는 부모역량을 필요로 한다는 점과 전문적인 교육기관으로서 학교의 우수한 교육적 기능을 고려해 볼 때, 청소년 대상의 예비부모교육은 학교 교육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적합하다(Chae, Park, Kim, Yu, Yoo, & Kim, 2006). 이러한 견해는 최근 교육부 포함 관계부처 합동으로 진행되고 있는 부모교육 활성화 방안에도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aeck, S. G. (2007). Theory and practice of educational measurement. Seoul: Kyoyookbook. 

  2. Brown, M. M. & Paolucci, B. (1979). Home Economics: A definition. Washington, DC: Americ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 Chae, J. H., Park, M. J., Kim, S. K. & Han, J. (2011). Instruction to home economics education. Seoul: Gyomoonsa. 

  4. Chae, J. H., Park, M. J., Kim, S. G., Yu, N. S., Yoo, M. S., & Kim, S. H. (2006). Warm parent preparation education in the classroom. Seoul: Gyomoonsa. 

  5. Choi, C. M. (2014). Development of pre-parental education program and its effectiveness verification on juveniles curriculu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Venture University, Seoul, Korea. 

  6. Jae, K. S. (1992). Selection of subject contents for youth parenting education. Educational Theory and Practice, 2, 197-212. 

  7. Jang, Y. S. & Cho, H. J. (2009). Development of pre-parenthood education program and satisfaction evaluation. Journal of Parent Education, 1(1), 63-82. 

  8. Jun, M. K. (2016). Pre-parental education program for adolescents. Proceeding of the 2016 Autumn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Conference, Korea, 19-51. 

  9. Jung, O. B. & Jung, S. H. (2010). Parenthood education. Seoul: Hakjisa. 

  10. Kim, A. S., Choi, Y. K., Cho, H. J., & Kim, S. H (2010). A study on condition and plan for advancement of pre-parenthood education. Research report of child care policy 2010-05. 

  11. Kim, J. M. (2004). Pre-parent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and program out-com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12. Kim, J. M., Kang, J. W., Yoo, A. Y., & Park, S. Y. (2010).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pre-parent education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Parent Education, 2(1), 17-39. 

  13. Kim, J. M., Kang, J. W., & Yoo, A. Y. (2011).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pre-parent Education program-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Journal of Parent Education, 3(2), 1-19. 

  14. Kim, J. W. (2012). A study on the change of family-related contents in Home Economics by national curriculum: Focus on the 1st national curriculum-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Korea. 

  15. Kim, M. H. (2011). Development of an ego-resilience enhancing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pook University, Daegu, Korea. 

  16. Ministry of Education (2015). 2015 curriculum revision. 

  17. Ministry of Gender Equality Famil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Ministry of Education (2016). Plan to activate parenthood education for child abuse prevention and family relationship enhancement. 

  18. Noh, J. N (2005). The ways of improve Home Economics Education through role-plays : Focused on the attitude of parent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University, Seoul, Korea. 

  19. Park, S. K. (2009). The application and effectiveness of a practical reasoning model of teaching and learning curriculum for the 'parenthood' unit in high school Technology & Home Economic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2), 187-202. 

  20. Yoo, T. M. & Lee, S. H. (2011). Practical problem-based home economics instruction. Sungnam: Book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