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정과 교육에서의 부모교육 - 중·고등학교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
Parent Education in Home Economics Education 원문보기

韓國 家政科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29 no.4, 2017년, pp.15 - 30  

정순화 (고려대학교 가정교육과)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 고등학교 기술 가정교과의 '인간발달과 가족'영역의 내용체계와 연계하여 부모교육을 실시하는 방안을 모색 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5개정 기술 가정교과의 '인간발달과 가족'영역의 내용체계와 2016년 여성가족부에서 제시한 대학생을 위한 예비부모교육 표준강의안의 내용을 비교 분석하여 그 연계성과 위계성을 고찰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2015개정 중학교 기술 가정교과 '인간발달과 가족'영역 내용체계는 대학교 예비부모교육 표준강의안 구성내용과 연계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2015개정 고등학교 기술 가정교과 '인간발달과 가족'영역 내용체계는 대학교 예비부모교육 표준강의안 구성내용과 연계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2015개정 중 고등학교 기술 가정교과 '인간발달과 가족'영역의 내용체계와 대학교 예비부모교육 표준강의안은 위계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부모교육을 중 고등학교 가정과 교육내용과 통합하여 실시하는 것이 효율적인 방안임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al components of parent education curriculum for college students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The continuity and hierarchy of the parent education curriculum for college students and the 'human deve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고 이를 토대로 중·고등학교기술·가정교과의 ‘인간발달과 가족’영역과 대학교 예비부모교육 내용체계 간의 반복성을 중심으로 연계성을 고찰하고, 다음으로 보다 심층적인 학습여부를 중심으로 위계성을 고찰함으로써 가정교과에서의 예비부모교육 실시의 타당성과 효율성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Tyler(1949)가 제시한 계속성의 개념을 연계성으로, 계열성의 개념은 위계성의 개념으로 구분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에 따라 연계성(continuity)은 중요한 교육경험요소가 어느 정도 계속해서 반복되도록 교육과정이조직된 것을 의미하며, 위계성(hierarchy)은 단순히 반복되고 누적되는 것에서 나아가 점차 경험의 수준을 높여서 더욱 깊이 있고 폭넓은 학습경험을 할 수 있도록 단계적으로 교육과정을 조직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개념화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2015개정 기술·가정교과의 ‘인간발달과 가족’영역의 학습요소와 내용요소를 2016년 여성가족부에서 제시한 대학생을 위한 예비부모교육 표준강의안의 내용요소와 비교 분석해 봄으로써 그 연계성과 위계성을 고찰해보는 것이다.
  • 중학교 기술·가정교과의 청소년기 발달특징에 대한 이해는 청소년기라는 발달단계에 속해 있는 한 개인으로서 자신의 발달에 대한 이해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면 대학교 부모교육에서 ‘나에 대한 이해’는 시간적으로도 지금의 나를 있게 한 과거의 성장기의 고찰에서 미래의 부모로서의 자신의 모습까지로 그 범위가 확대된다. 또한 깊이 있는 인성에대한 이해나 검사, 양육방식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부모가 자녀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포괄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교육을 학교교육의 일환으로 중·고등학교 기술·가정교과의 ‘인간발달과 가족’영역의 내용체계와 연계하여 실시하는 방안을 모색해보는 것이다.
  • 본 장에서는 대학교의 예비부모교육 표준강의안을 살펴보고,이를 토대로 중·고등학교 기술·가정교과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의 내용체계와의 연계성과 위계성을 논의하기 위한 교육과정의 기본원리를 고찰해보고자 한다.
  • 이를 토대로 학교교육의 일환으로 중·고등학교 기술·가정교과의 ‘인간발달과 가족’영역의 내용체계 내에서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예비부모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가설 설정

  • 1. 2015개정 중학교 기술·가정교과 ‘인간발달과 가족’영역내용체계는 대학교 예비부모교육 표준강의안 구성내용과 연계성을 갖는가?
  • 2. 2015개정 고등학교 기술·가정교과 ‘인간발달과 가족’영역내용체계는 대학교 예비부모교육 표준강의안 구성내용과 연계성을 갖는가?
  • 3. 2015개정 중·고등학교 기술·가정교과 ‘인간발달과 가족’영역의 내용체계와 대학교 예비부모교육 표준강의안은 위계성을 갖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부모교육의 효과는 자녀에게 어떻게 나타났는가? , 2015; Chung, Lim, Chung, Kim, & Park, 2008; Kim,2015; Kim & Chang, 2015; Kim & Chung, 1999; Kim et al.,2015; Lee, 2015; Lee, Bak, & Jeong, 2015; Park, Kim, &Jang, 2015; Song, Shin, & Heo, 2015), 자녀에게서도 자아개념이나 부모자녀관계, 사회적 능력의 향상, 정서적 안정, 정신건강 증진, 성격특성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Ahn et al.,2015; Kim, 2015; Kim & Chung, 1999; Kim, 1997; Kwon,1994).
부모교육의 필요성을 가중시키는 요인은 무엇인가? 가족형태의 핵가족화, 소가족화, 여성취업률의 증가, 부모역할보다 직업역할을 중시하는 현대사회의 특성은 부모역할에 대한 지식부족, 인식부족, 준비부족을 유발하며, 부모교육의 필요성을 가중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성장과정을 통해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부모역할을 익히는 것이 가능했던 전통적인확대가족과는 달리 현대사회에서는 가족형태의 핵가족화, 소가족화로 인해 자연스럽게 부모역할을 익힐 수 있는 기회가 점차줄어들고 있고, 별도의 교육을 통해 배우지 않으면 부모역할을익힐 수가 없는 상황이다.
부모교육의 의의는 무엇인가? 이상의 연구결과는 부모교육이 현재 부모로서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부모뿐 아니라 미래에 부모가 될 예비부모의 역량을 강화시키는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하며, 부모교육을 통한 부모로서의 역량 강화나 예부부모로서의 역량 강화는 위험상황에서 가족문제의 발생을 최소화시키는 보호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즉, 이러한 부모교육의 파급효과는부모교육이 아동학대 등의 가족문제를 경감시킬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음을 말해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Ahn, J. H., Lee D. C., & Kweon, Y. R. (2015). Effects of an parenting education program using Inner-Child Counseling on satisfaction of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parenting efficacy for parent.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7(5), 2719-2731. 

  2. Bierman, K. L., Welsh, J. A., Heinrichs, B. S., Nix, R. L., & Mathis, E. T. (2015). Helping Head Start parents promote their children's kindergarten adjustment: The research-based developmentally informed parent program. Child Development, 86(6), 1877-1891. 

  3. Boyer, B. P., & Nelson, J. A. (2015). Longitudinal associations of childhood parenting and adolescent health: The mediating influence of social competence. Child Development, 86(3), 828-843. 

  4. Choi, S. J. & Cho, S. Y. (2015). An analysis of the continuity and sequence of science educational contents in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for 0 to 2 year-olds, Nuri Curriculum for 3 to 5 year-Olds, and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and Instruction, 19(1), 69-91. 

  5. Chung, H. S., Yoo, E. Y., Jung, M. Y., Park, J. H., Lee, T. Y., & Lee, J. Y. (2015).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coping skills parent program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on the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efficacy.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3(3), 111-126. 

  6. Chung, O. B. & Chung, S. H. (2016). Parent education(2nd edition). Seoul: Hakjisa. 

  7. Chung, O. B., Lim, J. H., Chung, S. H., Kim, K. E., & Park, Y. J. (2008). Attachment to parents, motives for parenthood and perceptions of parental roles amongst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A working model. The Korean Journal of the Human Development, 15(4), 67-91. 

  8. Gagne, R, M. (1970). The conditions of learning(2nd ed.). New York: Hott, Rinehart & Winston. 

  9. Ha, Y. J. (2009). A study on hierarchy of chorus in elementary 3rd-6th grade music textbook by 2009 revised curriculum. Unpublished master's thesis,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Korea. 

  10. Jang, Y. S. & Cho, H. J. (2009). Development of pre-parenthood education program and satisfaction evaluation. Journal of Parent Education, 1(1), 63-82. 

  11. Jun, J. H. (2008) Analysis of conceptual hierarchy in the textbooks of social studies for Middle to High School Curriculum.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of Education, Korea. 

  12. Kim, E. S., Choi, Y. K., & Cho, H. J. (2004). Pre-parent education for high-school students and its improvement. Korean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Policy, 6(1), 1-19. 

  13. Kim, H. E. & Chung, O. B. (1999). Effects of the empowering parents training program on mothers and their Children: Emphasizing on mothers' parental satisfaction, communication skills, children's self-esteem and social competence.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0(4), 179-193. 

  14. Kim, H. S. (1997). The effects of group counselling in empowering parents training program.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Korea. 

  15. Kim, J., Park, S., Choi, J., & Lee, H. (2013).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ies on the sequence and integrity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a (Research report RRC 2013-3). Seoul: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16. Kim, J. M. (2004). Pre-parent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and program out-com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Korea. 

  17. Kim, J. M., Kang, J. W., & Park, S. Y. (2011).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pre-parent education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Journal of Parent Education, 3(2), 1-19. 

  18. Kim, J. M., Kang, J. W., Yoo, E. Y., & Park, S. Y. (2010).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pre-parent education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Parent Education, 2(1), 17-39. 

  19. Kim, M. J., Doh, H. S., Shin, N., Kim, S. J., Song, S. M., Shin, J. H., & Kang, H. (2015). The effectiveness of the Respected Parents and Respected Children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mothers of early school-age 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6(3), 35-57. 

  20. Kim, S. J. (2016). The study on effects of parents education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0(3), 383-414. 

  21. Kim, Y. S. (2015).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parenting program for low income families with adolescent children.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49, 7-37. 

  22. Kwon, C. K. (1994). A study on the effect of how to guide children and children's stability and sociability in Parent Effectiveness Train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gang University, Korea. 

  23. Lee, B. N. (2003).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pre-parenting education program for undergraduates.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3(1), 133-152. 

  24. Lee, H. & Yeo, C. (2015). International comparison study on the articulation of the science curriculum: Focus on the concept of photosynthesi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5(5), 805-815. 

  25. Lee, K. S. (2015). The effects of parent education program on rearing attitude of the Vietnamese immigrant women with young children. Multicultural Education Studies, 8(1), 107-131. 

  26. Lee, O., Bak, S., & Jeong, H. (2015). The effects of Empowerment programs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 mothers' efficacy.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15(2), 65-84. 

  27. Luthar, S. S., Ciccehetti, D., & Becker, B. (2000). The construct of resilience: A critical evaluation and guidelines for future work. Child Development, 71(3), 543-562. 

  28. Manning, L. G., Davies, P. T., & Cicchetti, D. (2014). Interparental violence and early childhood adjustment: how and why maternal sensitivity is a protective factor. Child Development, 85(6), 2263-2278. 

  29.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MEHRD]. (2007). A guide for science curriculum. Seoul: Author. 

  30. Muller, R. T., Hunter, J. E., & Stollak, G. (1995).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corporal punishment: A comparison of social learning and temperament models. Child Abuse and Neglect, 19(11), 1323-1335. 

  31. Park, H. S., Kim, K. M., & Jang, M. Y. (2015). The effect of parent education program based on sensory integration approach on the parent's understanding of sensory processing abilit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ists, 13(1), 33-44. 

  32. Park, M. R. & Lee, O. S. (2014). Curriculum continuity between elementary and secondary PE invasion games.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7(1), 29-55. 

  33. Rholes, W. S., Simpson, J. A., & Friedman, M. (2006). Avoidant attachment and the experience of parenting.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32(3), 275-285. 

  34. Seo, S. (2016). The effects of the expectant parental education program based on Satir transformational systemic therapy model for th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Open Parent Education, 8(4), 215-233. 

  35. Song, M. Y., & Kim, S. H. (2007). Investigating the hierarchical nature of content and cognitive domains in the mathematics curriculum for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via assessment items. Journal of Korea Society of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School Mathematics, 9(2), 223-240. 

  36. Song, S. H., Shin, H. Y., & Heo, S. Y. (2015). Effects of parenting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s personality education on parent's recognition change about personality education and parenting efficacy.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20(1), 553-576. 

  37. Sulik, M. J., Blair, C., Mills-Koonce, R., Berry, D., Greenberg, M., & Family life project investigators. (2015). Child Development, 86(5), 1588-1603. 

  38. Thomas, A. & Chess, S. (1977). Temperament and development. New York: Brunner/Mazel. 

  39. Tyler, R. W. (1949). Basic principles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0. Van IJzendoorn, M. H. (1992).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parenting: A review of studies in nonclinical populations. Developmental Review, 12, 76-9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