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on "Wenbingtiaobian" covers identifying pattern of prescription, understanding system of multiple syndrome differentiations, characteristics of treatment and medicinal substances. The source books are "Korean translation of Wenbingtiaobian", "Modern Shanghanlun", "Jinkuiyaolueyishi", "Ch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溫病條辨』은 어떤 학문을 대성하게 하였는가? 『溫病條辨』은 『內經』, 『傷寒論』을 계승한 기초에서 비교적 전반적이고 계통적으로 溫熱病의 辨證施治를 논술한 전문 서적으로吳鞠通은 여러 醫家의 辨證論治를 집대성하여 三焦辨證을 창립하고, 三焦辨證을 중심으로 溫病의 발생, 발전 규율 및 辨證과 치료 방법을 제시하였다8). 그리고 병인을 탐구하고 증상을 상세히 구분하여 계통적인 학설을 세웠고, 실제 임상경험을 통하여 특징적인치법과 방제를 창안하였으며, 溫病과 관련된 치료 금기를 제시하여 溫病學을 대성하였다.
溫病의 특징은? 溫病은 外感 급성 열병의 총칭으로 광의의 傷寒에 포함되며, 發熱, 舌, 脈, 대소변 등의 熱象 증상이 나타나고 化燥傷陰하기 쉽고, 계절적 발병 특성이 있으며, 발병이 급하고 병변도 빠르며 전염성을 가지는 특징이 있다. 溫病은 傷寒과 다른 특징을 가지고 별도의 학파를 형성하여 발전하고 있는데 203년 중국이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치료에 중의약이 효과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고 발표하여 한의학을 주목하는 계기가 되었고, 신종인플루엔자 A(H1NI)(novel swine-origin influenza A(H1N1)1), 에볼라 출혈열, 중동 호흡기증후군(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MERS-CoV), 조류인플루엔자(avianinfluenza)2) 등에 꾸준히 적용되고 있다.
溫病은 최근 어떠한 병들에 꾸준히 적용되고 있는가? 溫病은 外感 급성 열병의 총칭으로 광의의 傷寒에 포함되며, 發熱, 舌, 脈, 대소변 등의 熱象 증상이 나타나고 化燥傷陰하기 쉽고, 계절적 발병 특성이 있으며, 발병이 급하고 병변도 빠르며 전염성을 가지는 특징이 있다. 溫病은 傷寒과 다른 특징을 가지고 별도의 학파를 형성하여 발전하고 있는데 203년 중국이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치료에 중의약이 효과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고 발표하여 한의학을 주목하는 계기가 되었고, 신종인플루엔자 A(H1NI)(novel swine-origin influenza A(H1N1)1), 에볼라 출혈열, 중동 호흡기증후군(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MERS-CoV), 조류인플루엔자(avianinfluenza)2) 등에 꾸준히 적용되고 있다. 溫病學의 적용은 전염병뿐 아니라 흔히 접하는 外感病과 內傷病을 포함하여 부인과, 소아과 등 각 과에 적용되고 있어 그 실용성과 중요성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Chen Q, Wu Y, Qi XY, Xuan ZN, Chen XM. Progress o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Treatment of Influenza A(H1N1). Progress in Modern Biomedicine. 2016 Jul 10; 16(19):3793-96. 

  2. Huang SX, Zhang ZK. Progress o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vian influenza. Nei Mongol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13 Oct 10;2013(28):111-2. 

  3. Shi TR. 'Yinqiaotang' treatment to 32 cases of damp-heat type of gastralgia. Sichuan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01 Nov 15;19(11):30. 

  4. Kou WP, Liu ZZ, Xu JR. Understanding of application of adjusted 'Zengyechengqitang'. Journal of Guiyang College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08 Mar 25;30(2):44-5. 

  5. Li YD, Chen Y. Professor DongXiangYu's cases of application of 'Adjusted Fumaitang'. For all Health. 2015 May 20;9(9):36. 

  6. Li WL, Zhao XM, Xiang YQ, Dai RS, Du YC. Observation of Successive Effect about the Consolidating Treatment of Chronic Hepatitis B by Dadingfengzhu. Chinese Journal of Integrated Traditional and Western Medicine on Liver Diseases. 2002 Apr 15;12(2):77-8. 

  7. Peng SL, Wang DC, Zhang WY, Zhao HX. Effects of 'Baihujiarenshentang' to type 2 diabetes in the type of dual deficiency of qi and yin, abnormal exuberance of dryness-heat. Journal of New Chinese Medicine. 2015 Jan 5;47(1):84-6. 

  8. Um SW. Korean translation of Chinese academic history. Seoul: Daesung medicine publishing company; 2011. p. 700-4. 

  9. Kim HS, Lim JS, Lee CY. Quotations from the Linzheng zhinan yian in the Wenbing tiaobian : How were they transformed and corrected?. Korean Journal of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05 Oct 25;19(4):865-71. 

  10. Jung CH. The founding process and academic characteristics of Wenbingtiaobian.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2003 Feb 25;16(1):75-89. 

  11. Park MS, Kim YM. Comparative Study on Etiological Cause, Pathogenesis Mechanism of Shanghanlun and Wenbingtiaobian. Korean Journal of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13 Feb 25;27(1):1-10. 

  12. Jung CH.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anghallon prescription for febrile disease by Wu-Tang.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2007 Oct 25;20(3):33-48. 

  13. Baek JW, Shin SW, Lee BW. A Study on the Frequencies of Medicinal Herb Mombinations in the Prescriptions of Wenbingtiaobian(溫病條辨). Korean journal of oriental medicine. 2011 Dec 31;17(3):61-8. 

  14. Kim SH, Baek YS, Jung CH, Jang WC. Discussing Sanghan(傷寒) and Onbyeong(溫病) through the Study of Baekhotang(白虎湯).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2010 May 25;23(3):69-80. 

  15. Kang CS, Oh KR, Lee KK. Comparative study on wei aspect pattern of warm disease and greater yang disease pattern of Shanghanlun . Journal of Woosuk University. 1997;19:397-406. 

  16. Baek SR. Study on transmutation of warm disease and Sanghan.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2002;15(1):265-78. 

  17. Lee JH, Park CK, Hong WS. Study on the theory of Yeogi(戾氣) by O Yu-seong(吳有性), which is on etiology of Onbyeong(溫病).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2002;15(1):77-106. 

  18. Jang, S.S., Kang, J.S. Literatural Study on Prescription of the Skin Disease from the Viewpoint of the Onbyung (溫病). The Journal of Daejeon Oriental Medicine. 2000; 9(1):113-20. 

  19. Yang KY, Baek YS, Jang WC, Jung CH. A study on Dongwon(東垣)'s internal injury syndrome in the aspect of the study of epidemic febrile disease.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2008;21(1):235-55. 

  20. Jung CH. Korean translation of Wenbingtiaobian. Souel: Jipmoondang; 2005. 53 p, 68 p, 98 p, 141 p, p. 234-235, 310 p, 338 p. 

  21. Moon JJ. Modern Shanghanlun. Korean medicine publishing company; 2008. 

  22. Li KG, Zhang JZ. Jinkuiyaolueyishi . Shanghai kexuejishu chubanshe; 2010. 

  23. Li F. Chinese Medicine Formulas. Renmin weisheng chubanshe; 2002. 

  24. Cheng ZH. Theory and Application of Herbal Prescription Combination Through Property and Flavor. China Traditional China Medicine Publisher; 2006. p. 59-65, p. 214-22. 

  25. Liu JY. Comments on Item Differentiation of Warm Febrile Diseases(I). Chinese Medicine Modern Distance Education of China. 2005;3(7):22-4. 

  26. Guk YB, Kim SC. Korean Medicine Formulas. Seoul: Yonglimsa; 2014. p. 341-42. 

  27. Lee YG. Clinical lecture of warm disease. Seoul: Daesung medicine publishing company; 2001. 51 p, 370 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