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온병조변(溫病條辨)』 대표 처방의 병리학적 분석과 질환 범위 고찰
Pathologic Study on Representative Prescriptions in 『Wenbingtiaobian』 and their Coverage of Diseases 원문보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v.32 no.1, 2018년, pp.1 - 12  

박미선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병리학교실) ,  김영목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병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article is for understanding characteristics of febrile disease through analysing usage of representative prescriptions in "Wenbingtiaobian", composition of their related prescriptions and their coverage of modern diseases. Analysis of prescriptions was based on "Translation of Wenbingtiaobi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래서 본 저자는 병의 전변에 적합하게 변화하여 적용된 『溫病 條辨』의 처방 쓰임을 고찰하여 그 특징을 이해하고, 임상례를 통해 전염병 이외 질환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현대 질환에 대한 활용법을 모색하는 기회가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 Table 1은 『溫病條辨』의 조문에서 인용된 빈도가 2회 이상인 처방으로 계열별로 정리한 것이다. 이들 중 風熱表證의 銀翹散, 桑菊飮, 陰液虧虛證의 增液湯, 加減復脈湯, 濕鬱 證의 加減正氣散, 氣分熱盛證의 白虎湯, 陽明腑實證의 承氣湯과 이들 계열 처방의 분석을 통하여 溫病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溫病條辨』에서 承氣湯을 사용하는 유형은 무엇인가? 『溫病條辨』에서 承氣湯을 사용하는 유형을 살펴보면 첫째, 溫病의 耗氣傷津하는 특징을 고려하여 滋陰生津 약물을 많이 가미하고, 破氣耗陰하는 枳實, 厚朴은 조심하여 사용하였다. 둘째, 진액 보존을 중시하여 調胃承氣湯의 가감을 많이 사용하고, 大, 小承氣 湯을 드물게 사용하였다.
加減復脈湯이란 무엇인가? 加減復脈湯은 下焦 滋陰의 대표 처방으로 炙甘草湯에서 人蔘, 桂枝, 生薑, 大棗를 빼고 芍藥을 추가한 것으로 『溫病條辨』에서는 一甲復脈湯, 二甲復脈湯, 三甲復脈湯, 救逆湯, 大定風珠 등으로 다양하게 변화시켜 적용하고 있다.
『溫病條辨』의 대표적인 처방들의 특징은 무엇인가? 『溫病條辨』 을 대표하는 처방으로는 解表劑로 桑菊飮, 銀翹散, 瀉下劑의 新加 黃龍湯, 增液承氣湯, 淸熱劑의 淸營湯, 淸虛熱劑의 靑蒿鼈甲湯, 祛 暑劑로 淸絡飮, 新加香薷飮, 開竅劑의 安宮牛黃丸, 治風劑로 大定 風珠, 治燥劑의 杏蘇散, 桑杏湯, 沙參麥門冬湯, 翹荷湯, 祛濕劑로 三仁湯, 加減正氣散 등이 있다. 이들 처방의 특징을 간략히 요약하 면, 解表劑인 銀翹散, 桑菊飮, 白虎湯은 辛凉劑를 輕重에 따라 적용하는 특징이 있고, 瀉下劑를 사용할 때는 단순 瀉下인지 增液을 통한 瀉下인지를 분류하여 承氣湯과 增液湯 계열 처방이 적용되었다. 逆傳心包라는 溫病의 독특한 전변과정에는 上焦 淸熱劑인 淸 營湯과 開竅劑인 安宮牛黃丸, 紫雪丹, 局方至寶丹 등이 사용되고, 治風劑인 大定風珠는 養陰하는 一甲復脈湯, 二甲復脈湯, 三甲復脈 湯, 救逆湯의 계열 중 하나로 潛陽熄風을 겸한다. 燥證을 凉燥와 溫燥로 구분하여 杏蘇散, 桑杏湯, 沙參麥門冬湯 등이 제시되었고, 祛濕劑로는 寒濕과 濕溫을 분류하여 5가지 加減正氣散이 적용되었으며, 三焦의 濕을 제거하기 위한 三仁湯이 제시되었다. 또 補益劑 인 炙甘草湯을 변화시킨 加減復脈湯은 下焦 滋陰을 위한 대표 처방으로 기술되었다. 이상과 같이 오국통은 『溫病條辨』에서 병리 변화에 따라 적합한 치법 및 처방을 제시하고, 계열 처방간의 비교, 설명을 통하여 독자의 이해를 돕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