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유통중인 생닭 및 닭가공품에서 병원성 대장균의 분리 및 특성
Prevalence and Characterization of Diarrheagenic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Raw Chicken and Chilled Chicken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2 no.2, 2017년, pp.129 - 134  

조용선 (한국식품연구원 식품분석센터) ,  이다연 (한국식품연구원 식품분석센터) ,  김희언 (한국식품연구원 식품분석센터) ,  이명기 (한국식품연구원 전통식품연구센터) ,  이주영 (한국식품연구원 식품분석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병원성 대장균군은 전세계적으로 식중독을 발생하는 중요한 병원균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 유통중인 생닭과 조리된 닭가공품 356시료에서 대장균 80균주(22.5%)를 분리하여 병원성 유전자 multiplex PCR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astA 유전자가 26균주(32.5%)에서 검출되었으며, escV 유전자는 17균주(21.3%) eaeA 유전자는 16균주(20.0%) 검출되었다. 특히 식품에서 문제가 되는 장출혈성 대장균 유전자 stx 1는 3균주(3.8%)와 stx 2, EHEC-hly는 각 1균주(1.3%)에서 검출되었다. 병원성 유전자를 토대로 STEC, EPEC, EHEC, EIEC or EAEC의 병원성 대장균으로 분류한 결과 45균주(56.3%)가 검출되었으며 typical EPEC, EIEC and ETEC의 병원성 대장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STEC 병원성 대장균은 O152, O1, O116, O26, O25, O119, O153 혈청형이 분리되었다. 특히 생닭에서 병원성 대장균에 대한 검출률이 높으므로 생닭을 가공 조리 시 교차 오염이 발생하기 않도록 조리 도구, 조리 환경에 대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iarrheagenic Escherichia coli is now recognized as an important cause of diarrhea, hemorrhagic colitis and hemolytic-uremic syndrome (HUS) worldwide. E. coli were isolated from 80 of 356 (22.5%) chicken and chilled chicken products in Korea. Fifteen virulence genes specific for pathogenic E. coli,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우리나라 병원성 대장균 식중독의 경우 환자에서의 규명 비율은 높은 반면에 식품에서 원인 규명 비율은 낮은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12). 따라서 본 연구는 유통중인 생닭 및 가열 조리된 닭가공품에서 병원성 대장균의 오염도를 조사하고 병원성 유전자 및 혈청형을 분석하여 병원성 대장균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병원성 대장균에 의한 식중독 발생의 원인 파악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Kagambega, A., Martikainen, O., Lienemann, T., Siitonen, A., Traore, A. S., Barro, N. and Haukka, K.: Diarrheagenic Escherichia coli detected by 16-plex PCR in raw meat and beef intestines sold at local markets in Ouagadougou, Burkina Faso. Intern. J. Food Microbiol., 153, 154-158 (2012). 

  2. Lopez-Saucedo, C., Cerna, J. F., Villegas-Sepulveda, N., Thompson, R., Velazquez, F. R., Torres, J. and Tarr, P. I.: Single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To Detect Diverse Loci Associated with Diarrheagenic Escherichia coli.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9, 127-131 (2003). 

  3. Nataro, J. P. and Kaper, J. B.: Diarrheagenic escherichia coli. Clinical Microbiology Reviews, 11, 142-201 (1998). 

  4. Schmidt, H., Beutin, L. and Karch, H.: Molecular analysis of the plasmid-encoded hemolysin of Escherichia coli O157: H7 strain EDL 933. Infection and immunity, 63, 1055-1061 (1995). 

  5. Food and Drug Statistical Year Book 2016.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6. Barrett, T. J., Kaper, J. B., Jerse, A. E. and Wachsmuth, I. K.: Virulence Factors in Shiga-like Toxin-Producing Escherichia coliIsolated from Humans and Cattle. J. Infectious Diseases, 165, 979-980 (1992). 

  7. Kim, S.H., Song, H.J., Chung, J.k., Ha, D.R., Ryu, P.Y. and Lee, J.B.: Genotypic and Phenotypic Characterization of Enteropathogenic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Diarrheal Patients in Gwangju. J. Bacteriology and Virology, 36, 167-174 (2006). 

  8. Bischoff, C., Luthy, J., Altwegg, M. and Baggi, F.: Rapid detection of diarrheagenic E. coli by real-time PCR. J. Microbiol. Methods, 61, 335-341 (2005). 

  9. Badri, S., Filliol, I., Carle, I., Hassar, M., Fassouane, A. and Cohen, N.: Prevalence of virulence genes in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food in Casablanca (Morocco). Food Control, 20, 560-564 (2009). 

  10. Choi, S.K., Lee, M.H., Lee, B.H., Jung, J.Y. and Choi, C.S.: Virulence factor profiles of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pork and chicken meats obtained from retail markets. Korean J. Food Sci. Animal Resour., 30, 148-153 (2010). 

  11. Perelle, S., Dilasser, F., Grout, J. and Fach, P.: Screening food raw materials for the presence of the world's most frequent clinical cases of Shiga toxin-encoding Escherichia coli O26, O103, O111, O145 and O157. Intern. J. Food Microbiol., 113, 284-288 (2007). 

  12. Lee, J.K., Park, I.H., Yoon, K., Kim, H. J., Cho, J.I., Lee, S.H. and Hwang, I.G.: An analysis of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reports regarding to pathogenic E. coli outbreaks in Korea from 2009 to 2010. J. Food Hyg. Saf., 27, 366-374 (2012). 

  13. Food, U. S. Drug Administration bacteriological analytical manual. AOAC International, Gaithersburg; 1998. 

  14. Association, K. F. I.: Korean food standards codex. Available from http://fse.foodnara.go.kr/residue/mobile/index.jsp Accessed Jan.13, 2017 (2017). 

  15. Valadez, A. M., Debroy, C., Dudley, E. and Cutter, C. N.: Multiplex PCR detection of Shiga toxin-producing Escherichia coli strains belonging to serogroups O157, O103, O91, O113, O145, O111, and O26 experimentally inoculated in beef carcass swabs, beef trim, and ground beef. J. Food Protection, 74, 228-239 (2011). 

  16. Paddock, Z., Shi, X., Bai, J. and Nagaraja, T.: Applicability of a multiplex PCR to detect O26, O45, O103, O111, O121, O145, and O157 serogroups of Escherichia coli in cattle feces 1. Veterinary Microbiol., 156, 381-388 (2012). 

  17. Zhao, C., Ge, B., De Villena, J., Sudler, R., Yeh, E., Zhao, S., White, D. G., Wagner, D. and Meng, J.: Prevalence of Campylobacter spp., Escherichia coli, and Salmonella serovars in retail chicken, turkey, pork, and beef from the Greater Washington, DC, area. Applied Environ. Microbiol., 67, 5431-5436 (2001). 

  18. Kim, E.J., Park, Y.C., Cho, J.I., Lee, J.O. and Kim, H.Y.: Prevalence and characterization of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EHEC) isolated from ground beefs distributed in Gyeong-In reg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773-778 (2006). 

  19. Paton, J. C. and Paton, A. W.: Pathogenesis and diagnosis of Shiga toxin-producing Escherichia coli infections. Clinical Microbiol. Reviews, 11, 450-479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