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업환경에 서식하는 파리에서 분리된 E. coli의 병원성 유전자 및 항생제 내성 조사
Virulence Profile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of Escherichia coli from Flies Captured from Agricultural Environment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2 no.2, 2017년, pp.147 - 153  

윤보현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유해생물팀) ,  장윤정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유해생물팀) ,  김연록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유해생물팀) ,  김황용 (농촌진흥청 기술협력국 국제기술협력과) ,  김원일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유해생물팀) ,  한상현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유해생물팀) ,  김세리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유해생물팀) ,  류재기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유해생물팀) ,  김현주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유해생물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다양한 농업 환경에서 채집된 파리의 분비물에서 E. coli을 분리하고 분리된 E. coli의 병원성유전자 및 항생제내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였다. 파리는 과일농장(n = 19), 장류생산농장(n = 9), 생활쓰레기 야적장(n = 46), 축사(n = 66), 도축장(n = 38), 퇴비장(n = 10)에서 총 188마리를 채집하여 토사물과 배설물로부터 E. coli을 분리 및 동정하였다. 그 결과, 채집된 파리의 63%(119/188)에서 E. coli이 검출되었으며 특히 도축장에서 채집된 파리에서 E. coli의 검출률이 89%(34/38)로 가장 높았다. 또한 분리된 E. coli을 대상으로 병원성 유전자 8종(ST, LT, VT1, VT2, aggR, bfpA, eaeA, ipaH)을 조사한 결과, 도축장에서 채집된 파리에서 분리된 E. coli 중 91%(31/34)가 장독소를 생산할 수 있는 ST유전자를 보유하고 있었다. 분리된 E. coli의 16%(31/188)가 1종 이상의 항생제에 내성을 보였다. 특히, 항생제 사용빈도가 높은 축사에서 채집된 파리의 E. coli 경우에는 59%(23/39)가 항생제 내성을 나타내었다. 분리된 항생제 내성 E. coli 균주 중 10%(12/119)는 2종 이상의 항생제에 내성을 보였고, 모두 축사 채집 파리에서 분리된 균주였으며, 이 중 2개 균주는 다재내성의 지표인 ESBL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에 양성을 나타내었다. ESBL 양성균주 중 1 균주는 7종의 항생제에 내성을 보였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축산환경 서식 파리에서 분리된 E. coli은 병원성 유전자를 보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낼 가능성도 높기 때문에 농식품을 생산하는 농장이나 식품공장은 가급적 축산환경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두거나 방충망 등의 차단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solate Escherichia coli from flies and to assess pathogenic genes and antibiotic resistance of the isolates. A total of 188 flies were captured in agricultural environment including fruits farms (n = 19), fermented soybean farms (n = 9), municipal waste (n = 46), l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국내에서는 파리의 병원성 미생물 오염도 및 파리에서 분리된 미생물의 특성 연구는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파리의 식중독세균 매개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기초자료의 일환으로 국내 다양한 환경에서 파리를 채취하여 E. coli와 병원성 미생물의 오염도를 조사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과일농장, 장류생산농장, 생활쓰레기 야적장, 축사, 도축장, 퇴비장들을 비롯한 농업환경에서 파리를 채집하여 파리의 분비물에 대한 E. coli 오염도를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도축장, 퇴비장, 과일농장, 축사, 생활쓰레기 야적장, 장류생산농장에서 각각 89%(34/38),70%(7/10), 68%(13/19), 59%(39/66), 54%(25/46), 11%(1/9) 검출되었다(Table 1).
  • coli O157:H7이 분리되었다고 보고하였다25).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E. coli O157:H7은 분리되지 않았으나, ST, VT2, eaeA 유전자를 보유하는 Ecoli가 확인되어서 다양한 환경에서 서식하는 파리에서 병원성 유전자를 보유한 E. coli가 검출되어 식중독 매개 가능성이 우려된다.

가설 설정

  • 파리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성 때문에 병원성 미생물을 매개 할 수 있다. 첫 번째, 파리는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성장하는 것이다. 파리의 생애주기는 알, 유충, 번데기, 성충의 단계를 거치며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알을 낳고 성장하기 때문에 병원성 미생물을 보유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채집된 파리의 E. coli 검출률이 가장 높은 장소는 어디인가? 그 결과, 채집된 파리의 63%(119/188)에서 E. coli이 검출되었으며 특히 도축장에서 채집된 파리에서 E. coli의 검출률이 89%(34/38)로 가장 높았다. 또한 분리된 E.
파리의 서식환경은? 파리는 동물의 분변, 썩은 고기, 부패한 과채, 하수구 등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알을 낳고 유충이 되어 성장하게 된다1-3). 이러한 파리의 서식환경은 병원성 미생물을 포함한다양한 미생물군집이 존재하게 되며, 그 환경에서 성장한 파리 또한 병원성 미생물을 포함한 다양한 미생물군집을 보유함과 동시에 농식품의 병원성 미생물 매개체 역할을 하게 된다4).
파리의 서식환경이 파리를 병원성 미생물 매개체 역할로 만드는 이유는? 파리는 동물의 분변, 썩은 고기, 부패한 과채, 하수구 등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알을 낳고 유충이 되어 성장하게 된다1-3). 이러한 파리의 서식환경은 병원성 미생물을 포함한다양한 미생물군집이 존재하게 되며, 그 환경에서 성장한 파리 또한 병원성 미생물을 포함한 다양한 미생물군집을 보유함과 동시에 농식품의 병원성 미생물 매개체 역할을 하게 된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Forster, M., Klimpel, S., Mehlhorn, H., Sievert, K., Messler, S., Pfeffer, K.: Pilot study on synanthropic flies (eg Musca, Sarcophaga, Calliphora, Fannia, Lucilia, Stomoxys) as vectors of pathogenic microorganisms. Parasitol. Res., 101, 243-246 (2007). 

  2. Graczyk, T.K., Knight, R., Gilman, R.H., Cranfield, M.R.: The role of non-biting flies in the epidemiology of human infectious diseases. Microb. Infect., 3, 231-235 (2001). 

  3. Moon, R.D.: Muscid flies (Muscidae). Med. Vet. Entomol., 279-301 (2002). 

  4. Gupta, A.K., Nayduch, D., Verma, P., Shah, B., Ghate, H.V., Patole, M.S., Shouche, Y.S.: Phylogenetic characterization of bacteria in the gut of house flies (Musca domestica L.). FEMS Microbiol. Ecol., 79, 581-593 (2012). 

  5. Echeverria, P., Harrison, B., Tirapat, C., McFarland, A.: Flies as a source of enteric pathogens in a rural village in Thailand. Appl. Environ. Microbiol., 46, 32-36 (1983). 

  6. Rochon, K., Lysyk, T., Selinger, Persistence, L.: Persistence of Escherichia coli in immature house fly and stable fly (Diptera: Muscidae) in relation to larval growth and survival. J. Med. Entomol., 41, 1082-1089 (2004). 

  7. Kobayashi, M., Sasaki, T., Saito, N., Tamura, K., Suzuki, K., Watanabe, H., Agui, N.: Houseflies: not simple mechanical vectors of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O157: H7. Am. J. Trop. Med. Hyg., 61, 625-629 (1999). 

  8. Choo, H., Kim, H., Lee, D., Park, Y.: Microbial control of fly maggots with entomopathogenic nematodes and fungus in outhouses of farmhouses. Korean J. Appl. Entomol., (Korea Republic) (1996). 

  9. Gestmann, F., Forster, M., Mehlhorn, H., Sievert, K., Messler, S., Neuhausen, N., Petersdorf, S., Pfeffer, K.: Flies as vectors of microorganisms potentially inducing severe diseases in humans and animals. Arthropods as vectors of emerging diseases: Springer Berlin Heidelberg, pp. 195-226 (2012). 

  10. Wales, A., Carrique-Mas, J., Rankin, M., Bell, B., Thind, B., Davies, R.: Review of the carriage of zoonotic bacteria by arthropods, with special reference to Salmonella in mites, flies and litter beetles. Zoonoses Public Health, 57, 299-314 (2010). 

  11. Olsen, A.R., Hammack, T.S.: Isolation of Salmonella spp. from the housefly, Musca domestica L., and the dump fly, Hydrotaea aenescens (Wiedemann) (Diptera: Muscidae), at caged-layer houses. J. Food Prot., 63, 958-960 (2000). 

  12. Iwasa, M., Makino, S.I., Asakura, H., Kobori, H., Morimoto, Y.: Detection of Escherichia coli O157: H7 from Musca domestica (Diptera: Muscidae) at a cattle farm in Japan. J. Med. Entomol., 36, 108-112 (1999). 

  13. Wasala, L., Talley, J.L., DeSilva, U., Fletcher, J., Wayadande, A.: Transfer of Escherichia coli O157: H7 to spinach by house flies, Musca domestica (Diptera: Muscidae). Phytopathology, 103, 373-380 (2013). 

  14. Butler, J.F., Garcia-Maruniak, A., Meek, F., Maruniak, J.E.: Wild Florida house flies (Musca domestica) as carriers of pathogenic bacteria. Fla. Entomol., 93, 218-223 (2010). 

  15. Nmorsi, O., Agbozele, G., Ukwandu, N.: Some aspects of epidemiology of filth flies: Musca domestica, Musca domestica vicina, Drosophilia melanogaster and associated bacteria pathogens in Ekpoma, Nigeria. Vector Borne Zoonotic Dis., 7, 107-117 (2007). 

  16. Khalil, K., Lindblom, G.B., Mazhar, K., Kaijser, B.: Flies and water as reservoirs for bacterial enteropathogens in urban and rural areas in and around Lahore, Pakistan. Epidemiol. Infect., 113, 435-444 (1994). 

  17. Lee, J.I., Han, G.Y., Park, H.H.: Characteristics and antibiotics susceptibility of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fishery products. Korean J. Food Nutr., 16, 111-115 (2003). 

  18. Kim, H.T., Jung, K.T., Lee, D.S., Lee, K.W.: Study on antimicrobial resistance of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domestic beef on sale (2). Korean J. Vet. Serv., 32, 93-102 (2009). 

  19. Jo, M.J., Jeong, A.R., Kim, H.J., Lee, N.R., Oh, S.W., Kim, Y.J., Chun, H.S., Koo, M.S.: Microbiological quality of fresh-cut produce and organic vegetabl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91-97 (2011). 

  20. Yoo, J., Hwang, J.S., Goo, T.W., Yun, E.Y.: Comparative analysis of nutritional and harmful components in Korean and Chinese mealworms (Tenebrio molito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249-254 (2013). 

  21. Chung, M.Y., Gwon, E.Y., Hwang, J.S., Goo, T.W., Yun, E.Y.: Analysis of general composition and harmful material of Protaetia brevitarsis. J. Life Sci., 23, 664-668 (2013). 

  22. Kim, E.M., Lim, J.H., Chang, Y.J., An, S.H., Ahn, M.Y.: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ricket (Gryllus bimaculatus) under various processing conditions. Korean J. Food Preserv., 22, 218-224 (2015). 

  23. Azambuja, P., Garcia, E.S., Ratcliffe, N.A.: Gut microbiota and parasite transmission by insect vectors. Trends Parasitol., 21, 568-572 (2005). 

  24. Moriya, K., Fujibayashi, T., Yoshihara, T., Matsuda, A., Sumi, N., Umezaki, N., Kurahashi, H., Agui, N., Wada, A., Watanabe, H.: Verotoxin-producing Escherichia coli O157: H7 carried by the housefly in Japan. Med. Vet. Entomol., 13, 214-216 (1999). 

  25. Alam, M.J., Zurek, L.: Association of Escherichia coli O157: H7 with houseflies on a cattle farm. Appl. Environ. Microbiol., 70, 7578-7580 (2004). 

  26. Rahuma, N., Ghenghesh, K., Ben Aissa, R., Elamaari, A.: Carriage by the housefly (Musca domestica) of multiple-antibiotic-resistant bacteria that are potentially pathogenic to humans, in hospital and other urban environments in Misurata, Libya. Ann. Trop. Med. Parasitol., 99, 795-802 (2005). 

  27. Ahmad, A., Ghosh, A., Schal, C., Zurek, L.: Insects in confined swine operations carry a large antibiotic resistant and potentially virulent enterococcal community. BMC microbiol., 11, 23 (2011). 

  28. Du, B., Long, Y., Liu, H., Chen, D., Liu, D., Xu, Y., Xie, X.: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producing Escherichia coli and Klebsiella pneumoniae bloodstream infection: risk factors and clinical outcome. Intensive Care Med., 28, 1718-1723 (2002). 

  29. Jeong, K.O., Heo, J.H., Lee, J.M., Yun, I.R., Choi, Y.J., Kim, J.S.: Surveillance of antimicobial resistance ratio of E. coli and Enterococcus spp. isolated from fecal and carcasses of pigs in slaughterhouse. Korean J. Vet. Serv., 33, 241-248 (2010). 

  30. Kim, A.R., Cho, Y.M., Lim, S.K., Her, M., Jeong, W.S., Jung, S.C., Kown, J.H.: Antimicrobial resistance of commensal bacteria isolated from food-producing animals 3. Antimicrobial resistance of Escherichia coli and Enterococcus spp. isolated from chicken faecal samples. Korean J. Vet. Public Health., 31, 41-49 (2007). 

  31. Lim, S.K., Lee, H.S., Byun, J.R., Park, S.Y., Jung, S.C.: Antimicrobial resistance of commensal bacteria isolated from food-producing animals 1. Antimicrobial resistance of Escherichia coli and Enterococcus spp. isolated from cattle faecal samples. Korean J. Vet. Public Health., 31, 21-29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