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 고령자의 정보격차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orrelates of Digital Disparity among Older Seoul Reside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5 no.4, 2017년, pp.73 - 81  

남궁현경 (중원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김일호 (토론토 대학 심리학과) ,  천희란 (중원대학교 보건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노년기의 정보이용 능력은 노인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그러나 노년기는 정보화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시기로, 특히 노인 취약계층의 정보화 격차 문제가 중요한 사회적 이슈이다. 본 연구는 서울시 거주 고령자를 대상으로 정보화 이용의 관련 요인을 사회경제적 격차 및 건강 차이에 주목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자료는 "2015년, 2016년 고령자 건강수준과 기능평가" 설문 자료의 60세-89세 1,605명을 대상으로 한다. 정보화 이용에 관한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연령, 성별, 교육수준, 활동제한과 건강수준이 유의한 독립적 영향 요인이었다. 이 결과는 서울시 고령자의 정보화 이용에서 격차 및 불평등의 관련요인을 밝히고 있다. 본 연구결과는 고령자에서 인구사회학적 특성뿐만 아니라 건강상태를 고려한 정보소외계층에 대한 관심과 관련 정책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use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Technology (ICT) is closely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health and quality of life in later life. The elderly in general, however, face difficulty in adapting to I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ocial disparities and determinants in the u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정보화는 정보화 접근성에 해당하는 이용 여부를 묻는 이분적 개념이라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이 연구는 대표성 있는 자료를 분석하여 서울시 고령자 정보이용의 격차 실태를 보고하고, 정보화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를 포함하여 정보화 이용에서 인구사회학적, 건강지위별 관련요인을 밝히고 있다. 특히 이 연구 결과는 고령 노인에 있어서의 주요한 건강(활동제한과 건강 수준)과 정보화 이용의 강한 연관성을 제시하고 있다.
  • 특히 연령이나 교육수준에 따른 정보화 이용의 상대적 격차가 두드러졌다. 본 연구결과는 고령자 정보화 사업 추진에 있어, 정보화에 취약한 계층의 특성을 고려한 국가 정책 수립 및 정보화 서비스 제공의 중요성을 제시한다.
  • 국가 실태조사의 경우 기술적 분석으로 인구집단별 정보격차를 보고하고 있으나, 주요 변수별 독립적 영향력을 살펴본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는 대표성 있는 자료를 이용하여, 서울시 60대 이상 고령자 1,605명 대상으로 인구학적 특성(연령, 성별, 혼인상태), 사회경제적 특성(학력, 경제활동, 경제상태. 사회적지지), 건강지위(활동제한, 주관적 건강수준)에 따른 정보화 이용의 차이를 분석하고, 도시 고령자 내부의 정보화 취약계층을 찾아보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 밝히고자 하는 구체적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대표성 있는 자료를 이용하여, 서울시 거주 고령자의 정보화 이용에서 정보격차가 존재하는지 알아보고, 인구학적, 사회경제적, 건강지위별 특성을 고려하여, 정보취약계층과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고령자 중에서도 연령이 높을수록, 여자인 경우,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활동제한이 있거나 불건강한 노인의 경우 정보화 이용이 유의하게 낮았다.
  • 본 연구는 서울시 25개구 거주 60세-89세 고령자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인구사회경제학적 특성 및 건강상태에 따라 정보화 이용 차이를 확인하고 변수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된 단면조사 연구(cross-sectional study)이다.

가설 설정

  • 둘째, 정보격차가 존재한다면, 인구·사회학적으로 정보화 이용에 취약한 계층은 누구일까?
  • 이 연구에서 밝히고자 하는 구체적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이나 스마트폰 등 정보화 기기 보급 환경이 좋은 서울지역 60대 이상 고령자에서 이용의 접근성 문제로 정보격차가 존재할까? 둘째, 정보격차가 존재한다면, 인구·사회학적으로 정보화 이용에 취약한 계층은 누구일까? 셋째, 고령자의 불건강 수준이나 활동제한 여부도 정보화 이용 격차에 영향을 미칠까?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의 2015년 인터넷 이용률은 어떠한가? 그러나 고령자의 정보 접근성과 정보 활용에 관련된 연령별 격차는 여전히 사회적 이슈이다. 한국은 2015년 현재 인터넷 이용률이 89.9%로 정보화 강국으로 일상생활이나 업무의 상당부분이 인터넷을 기반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의 정보화는 1980년대를 시작으로 끊임없이 발전을 거듭하였으며, 2000년에 본격적으로 전자정부가 시작되면서 2006년 u-KOREA 유비쿼터스 전략, 2008년 IT융합사업까지 발전하였다[9].
정보화는 고령자의 의료서비스에 어떤 것을 기여하고 있는가? 최근 모바일 기반의 정보환경이 보편화되면서 정보통신기술(ICT)의 활용은 더욱 확장되어 맞춤형 의료서비스 제공의 도구로 모바일헬스(mHealth)가 주목을 받고 있다[3]. 정보화는 또한 고령자 의료서비스의 접근성과 건강행태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최근 연구들은 정보화와 고령자의 긍정적인 주관적 건강상태와의 연관성을 지속적으로 밝히고 있다[4,5].
인터넷의 보급은 고령자의 건강과 삶에 어떠한 기여를 하고 있는가? 현대사회에서 급속한 인터넷의 보급은 고령자의 건강과 삶의 질에 많은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특히 인터넷의 활용을 통한 정보습득, 의사소통, 여가활동 등은 고령자의 삶의 만족 및 건강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1,2]. 최근 모바일 기반의 정보환경이 보편화되면서 정보통신기술(ICT)의 활용은 더욱 확장되어 맞춤형 의료서비스 제공의 도구로 모바일헬스(mHealth)가 주목을 받고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Y. J. Shin, M. J. Koo, "An explorative study on computer education for the elderly and their life satisfa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Vol. 13, No. 4, pp.119-147, 2010. 

  2. S. Y. Yong, H. J. Son, "Research on Relationships between Internet Use and the Elderly's Life Quality", The Korea Contents Society, Vol. 12, No. 4, pp.235-244, 2012. 

  3. H. K. Woo, E. Y. Shim, Y. T. Cho, "Big data and Mobile health: Values and Future Challenges in public health", Journal of The Korean Official Statistics, Special Issue, pp.96-111, 2016. 

  4. W. S. Jung, H. G. Kang, M. H. Suk, E. H. Kim, "The Use of the Internet Health Information for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ol. 25, No. 1, pp.48-60, 2011. 

  5. E. H. Kim, "The Effects of Internet Satisfaction Levels obtained from the Elderly Internet Users on their Subjective well-being", 2008. 

  6. H. S. Yoon, Othelia Lee, K. A. Beum, Y. J. Kim, "Effects of Online Social Relationship on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in South Korea", The Korea Contents Society, Vol. 15, No. 5, pp.623-637, 2016. 

  7. J. H. Ahn, K. C. Lim, Y. J. Lee, K. S. Kim, "Effects of Computer/Internet Game Play on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Self-Control", The Korea Contents Society, Vol. 11, No. 7, pp.406-417, 2011. 

  8. Y. J. Lee, "The effect of information conditions on mental health among elderly",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 11. No. 10. pp.17-29, 2013. 

  9. B. J. Lee, S. H. Myeong, "Comparative Analysis on the Information Use of the Elderly People in Metropolitan Cities", The Korean Association for Policy Science, Vol. 15, No. 1, pp.25-51, 2011. 

  10. DOI: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27&tblIdDT_MH001_MI003&conn_pathI2 

  11. B. J. Lee, "A Study on the Effective Direction of Information Policies to Enhance the Information Level for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Vol. 68, pp.107-132, 2015. 

  12. H. K. Kim, "The countermeasures for promoting 'Digital Aging' and solving 'Digital Divide' for the elderly" Institute for Information Technology Advancement. 2005. 

  13. S. G. Jin, "Analysis of the Trend in Changes in Digital Divid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gional Information Society, Vol. 16, No. 3, pp.161-188, 2013. 

  14. E. H. Hwang, S. J. Shin, D. Y. Jung, "A Study of the Pattern of Elderly's Internet Usage, Self-efficacy, and Self-esteem",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ol. 25, No. 1, pp.118-128, 2011. 

  15. S. W. Shim, S. K. Cheong, "A Multivariate Analysis of Changing Information Gaps in Korea",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Vol. 24, No. 2, pp.235-253, 2001. 

  16. M. S. Hong, "Study of Internet Usage of Elderly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23, No. 2, pp.187-203, 2003. 

  17. B. Tennant, M. Stellefson, V. Dodd, B. Chaney, S. Paige, J. Alber, "eHealth Literacy and Web 2.0 Health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Among Baby Boomers and Older Adults",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Vol. 17, No. 3, p.10, 2015. 

  18. B, J, Lee, S. H. Myeong, "The impact of the perception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Technology (ICT) and the use of Internet on social networks among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gional Information Society, Vol. 13, No. 4, pp.151-179, 2010(b). 

  19. T. Fokkema, C. P. M. Knipscheer, "Escape loneliness by going digital: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valuation of a Dutch experiment in using ECT to overcome loneliness among other adults" Aging and Mental Health, Vol 11, No 5, pp496-504. 2007. 

  20. N. G. Choi & D. M. DiNitto, "The Digital Divide Among Low-Income Homebound Older Adults: Internet Use Patterns, eHealth Literacy, and Attitudes Toward Computer/Internet Use",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Vol. 15, No. 5, p.12, 2013. 

  21. H. J. LEE, K. S. Hong, J. W. LEE, '2013 Survey on the Elderly People's Digital Divide,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