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생과 부모, 학생과 교사 관계의 매개효과: 초·중학생 차이를 중심으로
The mediative effect of student-parent, student-teacher relationship on the effect of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on depression: Difference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5 no.4, 2017년, pp.521 - 528  

최경일 (한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경로에서 학생이 부모나 교사와 맺은 관계가 이를 매개하는지를 구조적으로 검증하는 것과 동시에 초등학생과 중학생 간의 경로 차이를 발견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한국아동청소년종합실태조사에서 수집한 12세~18세의 청소년 자료 중 1,385명에 해당하는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자료를 활용하였고, 구조방정식의 다집단 분석 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초등학생이 부모나 교사와 맺은 관계가 매개역할을 하지 못하였지만, 중학생이 부모나 교사와 맺은 관계는 부정적인 매개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나 교사는 학교폭력 피해로 인해서 초등학생이 겪는 우울에 대해서 부모나 교사는 특별한 역할을 하지 않았지만, 중학생에게는 학교폭력 피해로 인해서 우울을 더 많이 겪게 하는 요인이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학교폭력 피해와 이로 인해서 겪는 우울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필요한 실제적인 역할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mediative effects of students' relationship with parents or teachers in the effective path of school violence experience on depression, and to find out the path difference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We used 1,385 students' data collected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그동안 중․고등학생에 초점을 맞추어서 이루어진 학교폭력 예방에 대한 대책을 초등학생에까지 확대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앞서 밝힌 학교폭력피해 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생과 부모 및 학생과 교사 간의 관계가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초등학생과 중학생 간 비교를 통하여 발견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학교폭력 피해 학생이 우울을 비롯한 부수적인 문제를 겪지 않도록 부모와 교사가 수행해야 할 역할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 또한 구조모형이 경험적 자료를 잘 반영하는지 알기 위해서 구조모형의 적합도 지수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χ2=1602.
  • 본 연구는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이들이 각각 부모나 교사와 형성하는 관계가 매개역할을 하는지와 초등학생과 중학생 간에 경로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따르는 연구 결과와 제언은 다음과 같다.
  • 이러한 사실은 국내의 연구에서도 입증되고 있는데, 부산의 중학생 91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연구[21]나 서울의 중학생 1,2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연구[22]에 따르면 교사가 학교폭력 문제에 관심을 갖고 있으면서 적극적으로 해결하려고 노력하는 태도를 많이 갖고 있으며, 학생들과 친밀하고 활발한 상호관계를 가질수록 학생들이 학교폭력의 피해를 입은 경우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내용은 학교폭력 피해로 인해서 심리정서적 혹은 육체적인 면 등에서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이 부모나 교사에게서 정서적인 지지를 받으면 우울 수준이 감소한다는 것으로서 가족과 학교 보호요인의 역할을 알게 한다.
  • 이에 대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대안을 이미 각급 학교에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해서 배치된 사회복지사 등과 같은 복지상담 전문가가 교사와 협력하고 융합하는 역할에서 찾고자 한다. 그동안 학교교육은 물론이고 학교폭력 예방을 위해서 학교와 가정 간의 연계와 협력이 중요하다는 것을 누구든지 알고 있었지만 교사는 시간적인 제약으로 쉽게 할 수 없었고 이에 대한 마땅한 대안자를 찾지 못하였다.
  • 측정동일성이 확보되었으므로 다음 단계로 잠재변수들 간의 인과경로에서 초등학생과 중학생 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구조동일성을 검증하였다. 이는 모든 구조계수까지 동일화 제약을 가한 후에 측정동일성 모형과의 적합도를 비교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폭력 피해가 우울을 야기하는 주된 이유는 무엇인가? 학교폭력 피해가 우울을 야기하는 주된 이유는 학교폭력의 피해를 입은 학생들은 가해자에 대한 반항감을 갖고 있지만 이를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면서 자신에 대해서 무력감을 느끼고, 현재의 상황을 극복하고 싶지만 반전을 꾀할 만한 계기나 주변에서 신뢰할 만한 사람이나 장소 등을 찾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청소년들이 학교폭력으로 인한 어려움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학교폭력의 발생을 예방하는대책과 동시에 학교폭력 피해 학생들이 우울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학생들이 학교폭력 피해를 입으면 어떤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가? 학생들이 학교폭력 피해를 입으면 심리적인 어려움과 갈등을 이기지 못하여 보복성 범행을 일으키거나 심지어는 자살을 하는 경우가 종종 일어난다. 이에 관련하여 전국 5,958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조사한 바에 따르면 학교폭력 피해를 경험한 응답자의 50%가 학교폭력 피해로 인하여 고통을 겪고 있다고 응답하였다[1].
자기보호요인을 발휘하고 그 수준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제시되는 것은? 청소년의 보호요인에는 자기보호요인을 비롯하여 가족, 친구, 학교 및 지역사회 보호요인이 있다고 여겨지며,학교폭력 피해 학생이 우울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그중에서도 청소년 자신의 내적인 특성, 즉 자기보호요인을 발휘하고 그 수준을 높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 청소년들이 자신감을 높이고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도움을 적극적으로 요청하며 긍정적인 생각을 가져야 한다는 등의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14,15]. 그러나 이것은 학교폭력으로 인해서 원치 않는 피해를 입고 있는 청소년들에게 학교폭력의 원인과 해결을 전가할 위험을 갖고 있다. 따라서 학교폭력의 피해를 입은 청소년들에게 작용하는 보호요인을 이들의 생활 근거인 가족과 학교에서 먼저 탐색하고 그 효과를 개인에게 확장시키는 것이 현실적으로 바람직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Foundation for Youth Violence Prevention, "2015 National report of school violence survey report and trend." 2015. 

  2. E. J. Lee, E. S. Lee, "Correlation between alienation and depression, suicidal ideation and delinquency in high school students." Vol. 9, No. 1, pp. 56-65, 2002. 

  3. M. Bolognini, B. Plancherel, J. Laget, & O. Halfon, "Adolescent's suicide attempts: Populations at risk, vulnerability and substance use." Substance Use & Misuse, Vol. 38, No. 11-13, pp. 1651-1669, 2003. 

  4. L. Greening & L. Stoppelbein, "Religiosity, attributional style, and social support as psychosocial buffers for African American and white adolescents' perceived risk for suicide." Suicide and Life Threat Behavior. Vol. 32, No. 4, pp. 404-417, 2002. 

  5. J. Y. Kim & K. Y. Lee,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drinking and smoking on school violence: Moderating effect of parent-child interaction."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Vol. 12, No. 2, pp. 53-74, 2010. 

  6. J. Y. Park, "The mediational effects of resiliency on school violence causing adolescent depression and suicide: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Vol. 41, No. 1, pp. 168-193, 2010. 

  7. J. Ozer & S. Weinstein, "Urban adolescents' exposure to community violence: The role of support, school safety, and social constraints in a school-based sample of boys and girls." Journal of Clinical Child and Adolescent Psychology, Vol. 33, No. 3, pp. 463-476, 2004. 

  8. R. Crick & A. Bigbee, "Relational and overt forms of peer victimization: A multiinformant approach." Journal of Counsel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 66, No. 2, pp. 337-347, 1998. 

  9. D. Flannery, K. Wester & M. Singer, "Impact of exposure to violence in school on child and adolescent mental health and behavior."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Vol. 32. pp. 559-573, 2004. 

  10. D. Gorman-Smith & P. Tolan, "The role of exposure to community violence and developmental problems among inner-city youth."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Vol. 10, No. 1, pp. 101-116, 1998. 

  11. S. Luthar, D. Cicchetti & B. Becker, "The construct of resilience: A critical evaluation and guidelines for future work." Child Development, Vol. 71, No. 3, pp. 543-562, 2000. 

  12. E. Ozer, "The impact of violence on urban adolescents: Longitudinal effects of perceived school connection and family support." Journal of Adolescent Research, Vol. 20, No. 2, pp. 167-192, 2005. 

  13. M. K. Kim, "Relationship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stress, depression, family resilience and internet game addict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7, No. 1, pp. 205-210, 2016. 

  14. L. Kumper & R. Alvarando, "Strengthening families to prevent drug use in multi-ethnic use." University of Utah, 1995. 

  15. E. Werner & S. Smith, "Overcoming the odds." Cornell University Press, 1992. 

  16. E. H. Lee, T. S. Choi & M. J. Seo, "Effects of stress related to school, self-esteem, parent-children communication and parents' internal support of adolescent depression."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Vol. 12, No. 2, pp. 69-84, 2000. 

  17. K. Barber & C. Rollins, "Parent-adolescent relationship." Lanham, M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1990. 

  18. S. Y. Yoon & M. S. Yoo, "The effect of school violence on adolescents's emotional/behavior problems: General strain theory." Korean Journal of Play Therapy, Vol. 14, No. 4, pp. 59-75, 2011. 

  19. J. Hughes, T. Cavell & V. Willson, "Further support for the developmental significance of the quality of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Vol. 39, No. 4, pp. 289-301, 2001. 

  20. G. Natvig, G. Albrektsen & U. Qvarnstrom, "School-related stress experience as a risk factor for bullying behavior."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Vol. 30, No. 5, pp. 561-575, 2001. 

  21. Y. S. Lee & K. N. Lee, "The individual variables, family and school environmental variables that affect victimization by peer aggression among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ol. 13, No. 5, pp. 1-14, 2004. 

  22. E. Y. Kim, "The effects of school climate on peer victimization for junior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Vol 26, pp. 87-110, 2008. 

  23. S. A. Kim,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family, school, peer-related variables, and school violence."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 14, No. 1, pp.101-126, 2007. 

  24. E. H. Lee, S. J. Kong & J. S. Lee, "Relationships among socio-environmental school violence risk factors, protective factors and bullying at school: Testing a mediational model of anger control and contact with delinquent friend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Vol 16, No. 1, pp.123-145,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