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활동능력수준 기반의 공공데이터 품질관리 성숙수준 평가 모델
Activity Capability Level-based Maturity Evaluation Model for Public Data Quality Management 원문보기

정보화 정책 = Informatization policy, v.24 no.1 = no.90, 2017년, pp.30 - 47  

김선호 (명지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  이진우 (투이컨설팅) ,  이창수 (강릉원주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정부는 공공데이터의 품질관리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국제표준을 기반으로 공공데이터 품질관리 조직 성숙도 모델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현장에 적용하기에는 평가항목이 너무 많다는 지적에 따라 평가지표 수를 축소한 새로운 모델을 보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프로세스를 통합 및 조정하여 프로세스 수를 축소하였으며 프로세스능력수준이 아닌 새로운 활동능력수준 기반의 평가 방식을 제안하였다. 또한, 공공데이터 품질관리 성숙수준을 다섯 개의 레벨로 표현하는 방식과 1~5 사이의 실수로 표현하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새로 제안한 모델의 특성을 기존의 조직 성숙도 모델과 비교 분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Korean government developed an organizational maturity model for public data quality management based on international standards to evaluate the data quality management level of public organizations, However, as the model has too many indicators to apply on the site, a new model with reduced nu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공공부문의 유사 평가/인증모델의 특성들을 고려하고 기 개발된 공공데이터 품질관리 조직 성숙도 모델(한국정보화진흥원, 2015c; 김선호, 2015)을 기초로 하여 새로운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 모델에서는 다른 평가/인증 모델의 실용성과 공공의 특성을 최대한 반영하며 현장중심의 효율적 평가가 가능하도록 평가지표 수를 축소하였다.
  • 본 모델은 개방데이터 관리를 중심으로 한 관련 DB의 품질관리 프로세스의 성숙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모델로 개발되었다. 앞으로 이 모델을 다양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기관 전체의 성숙수준을 평가하거나 기관 내부에서 성숙수준을 자체 진단할 수 있는 모델로 발전시키는 연구가 필요하다.
  • 기존에 개발한 프로세스 능력수준 기반의 공공데이터 품질관리 성숙수준 평가 모델은 현장에 적용하기에는 많은 평가지표를 가지고 있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프로세스의 하부 고유활동의 실행 목표 달성을 위한 고유활동의 평가지표를 확대하였고 프로세스의 관리화 및 체계화 목표 달성를 위한 공통활동의 평가지표는 축소하였다. 이로써 기존의 모델에 비해 제안한 모델에서는 평가지표 수가 22% 감소되었으며 성숙수준 5레벨까지 적용할 수 있는 누적 평가지표 수가 44% 감소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공데이터 품질관리 수준 평가 목적에 따라 정부에서 무엇을 개발하였는가? 이를 위해서는 공공데이터의 품질관리 수준을 평가하는 모델이 필요하며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공공데이터의 품질관리 수준 향상을 유도하고, 이를 통해 지속적·안정적인 고품질 공공데이터의 개방과 활용에 기여하는 평가 또는 인증 체계가 필요하다. 이러한 공공데이터 품질관리 수준 평가 목적에 따라 정부에서는ISO 8000-61의 데이터 품질관리 프로세스 참조모델(ISO 8000-61)과 CMMI의 프로세스 성숙도 평가방법(CMMI Product Team, 2010)을 이용하여 공공데이터 품질관리를 위한 조직 성숙도 평가모델을 개발하였다(한국정보화진흥원, 2014b; 김선호, 2015).
평가제 도입을 위해서 무엇이 필요한가? - 법·제도: 평가제 도입을 위해서는 개별적인 법적 근거를 확보하거나, 법적 효력을 갖는 평가제도와 연계하여 평가결과를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개인정보영향평가와 같이 독립적인 평가제를 시행하는 경우, 제도 시행을 위한 법적 근거를 확보하고 있다.
공공데이터 품질관리 체계 향상을 위한 평가제 도입이 필요한 배경은 무엇인가? 공공 기관의 공공데이터 개방은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시행으로 2013년 5,272건에서 2014년 9,677건으로 약 83% 증가하였다(한국정보화진흥원, 2015b). 이러한 양적인 증가와 아울러 민간의 활용수요가 높은 고품질의 공공데이터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는 공공기관의 데이터의 품질 진단을 실시해 왔으며 2013~2014년 진단 결과 공공기관의 데이터 품질관리 수준이 높아질수록 데이터 품질오류는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한국정보화진흥원, 2015b). 이는 고품질의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품질관리 프로세스가 기관에 내재화 되어야 하며 공공데이터 품질관리 체계 향상을 위한 평가제 도입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김선호.이창수.정승호.김학철.이창수 (2015). "공공데이터 품질관리를 위한 조직 성숙도 평가 모델." 정보화정책, 22(1): 28-46. 

  2. 남기찬.오승운.김성근.신다울 (2015). "한국 공공 부분의 EA 도입 사례 연구 : 가이드라인, 교훈, 그리고 향후 연구모델." 정보화정책, 22(4): 45-67. 

  3. 문화체육관광부 (2012). "데이터베이스 품질인증제도 운영지침." 문화체육관광부고시 제2012-17호. 

  4. 미래창조과학부 (2013a). "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 등에 관한 고시." 미래창조과학부고시 제2013-36호. 

  5. 미래창조과학부 (2013b). "소프트웨어프로세스 품질인증제도 운영지침." 미래창조과학부고시 제2013-150호. 

  6. 방송통신위원회 (2013).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 등에 관한 고시." 방송통신위원회고시 제2013-17호. 

  7. 한국인터넷진흥원 (2014). 공공기관 개인정보보호 관리수준 진단 매뉴얼. 

  8.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2014). 정보보호 준비도 평가 안내서. 

  9. 한국정보화진흥원 (2014a). 공공정보 품질관리 매뉴얼(v1.1). 

  10. 한국정보화진흥원 (2014b). 공공데이터 품질관리를 위한 조직 성숙도 평가모델 

  11. 한국정보화진흥원 (2015a). 범정부 EA 성숙도 모델 v3.4 해설서, 한국정보화진흥원 

  12. 한국정보화진흥원 (2015b). 공공데이터 품질관리 수준평가 모델(안) 한국정보화진흥원 제13차 개방품질 전문위원회 보고자료. 

  13. 한국정보화진흥원 (2015c). 공공데이터 품질관리 수준평가지표. 

  14. 행정자치부 (2014). "개인정보보호인증제 운영에 관한 규정." 행정자치부고시 제2014-1호. 

  15. 행정자치부 (2015). 개인정보 영향평가 수행안내서. 

  16. CMMI Product Team (2010). CMMI for Services, Version 1.3, Technical Report, CMU/SEI-2010-TR-034, Software Engineering Institute, Carnegie Mellon University. 

  17. ISO 15504-2, ISO/IEC 15504-2:2003 Information technology - Process assessment - Part 2: Performing an assessment, ISO. 

  18. ISO 8000-61, ISO/DIS 8000-61 Data quality-Part 61: Data quality management: Process assessment: Process reference model, ISO.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