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메타스터디를 통한 국내 디지털 포렌식 연구 동향
A Meta Study on Research Trend of Digital Forensic in Korea 원문보기

정보화 정책 = Informatization policy, v.24 no.3 = no.92, 2017년, pp.91 - 107  

곽나연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  이중정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  맹윤호 ,  조방호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  이상은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디지털 포렌식이란, 디지털자료를 수집, 분석, 보고하여 법적 효력을 갖도록 하는 기술로써,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라 국내 외 시장이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이와 같은 디지털 포렌식 시장 트렌드를 반영하여 미국을 비롯한 많은 국가들이 디지털 증거의 수집과 분석에 활발한 연구를 진행 중이고, 국내 역시 디지털 포렌식 관련 학술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관련 연구 동향과 성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디지털 포렌식 연구의 전반적 연구경향과 성과를 확인하고, 향후 연구방향의 제언을 위한 메타분석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논문은 지난 10년간(2007~2016) 발간된 KCI 저널 논문 470개 중, 포렌식 연구 정의에 맞는 239개를 선정하여 이를 대상으로 '대주제, 분석단계, 기술분야, 저자소속, 분석단위, 연구방법' 등의 측면에서 디지털 포렌식 연구 분야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국내 디지털 포렌식 연구의 중요한 연구 경향을 정리하였다. 본 분석을 통해 국내 디지털 포렌식 연구가 관련 기술 위주의 학계 주도적 특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추후 연구의 발전 및 활성화를 위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igital forensics is the process of uncovering and interpreting electronic data and materials found in digital device in relation to crime. The goal of the process is to preserve any evidence in its most original form which shall be having the force of law. The digital forensic market is increas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디지털 포렌식은 디지털 데이터를 체계적인 절차에 따라 수집, 분석하여 법적 효력을 갖게 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된다. 법적 효력을 갖은 데이터를 수사 분야의 어떤 분야에 활용하는지에 따른 구분을 <표 17>과 같이 살펴보면, 형사 사건 관련 연구가 67편(28%), 민사 사건 관련 연구가 26편(10.
  • 디지털 포렌식은 디지털 자료가 법적 효력을 갖도록 만드는 과정이기에, 법적 효력을 갖고 어떤 법률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를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법률 적용분야와 관련하여 민사, 형사, 감사로 분류 기준을 정하였으며, 저자의 소속은 공공, 민간, 학계로 나누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편향되고 있는 디지털 포렌식 연구의 문제를 인식하고, 디지털 포렌식 연구의 확장성과 다양성 확보에 기여 하고자 하며, 특히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디지털 포렌식 연구동향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디지털 포렌식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디지털 포렌식 연구의 그간 연구동향을 면밀히 살펴보고 향후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찾기 위해 종합적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 디지털 포렌식은 디지털 자료를 수집 및 분석 법적 효력을 갖도록 하는 과정에서 수집 및 분석 관련 기술, 법률, 관련 사회적 이슈 등의 여러 학문분야와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포렌식이 디지털 증거자료를 밝혀내는 공학(기술)적 분야뿐만 아니라 디지털 포렌식과 관련해 진행되는 전반적인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대상 논문은 학술논문검색 및 원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DBPIA(www.
  • 특히 기존 연구에서 주장하고자 하는 디지털 포렌식의 원칙과 절차는 디지털 증거물 수집 당시 합법적이고 절차적인 정당성 확보, 피해 당시와 동일한 결과가 도출되어야 한다는 재현성, 그리고 소멸되기 쉬운 휘발성 데이터를 신속히 수집하고 각 단계별 담당자 및 책임자의 명확성, 마지막으로 수집된 증거가 위·변조가 없는 무결성이 증명되어야 한다(신용태, 2006). 이와 같은 연구의 주된 목적은 디지털 포렌식 기법과 이를 통해 확보된 디지털 증거의 법적인 증거능력 확보에 주된 목적이 있었다. 그리고 결과적 형사소송법 개정에 필요한 법적은 근거 마련에 기여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디지털 포렌식이란 무엇인가? 디지털 포렌식이란, 디지털자료를 수집, 분석, 보고하여 법적 효력을 갖도록 하는 기술로써,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라 국내 외 시장이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이와 같은 디지털 포렌식 시장 트렌드를 반영하여 미국을 비롯한 많은 국가들이 디지털 증거의 수집과 분석에 활발한 연구를 진행 중이고, 국내 역시 디지털 포렌식 관련 학술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사이버 범죄 수사의 경우 대부분 디지털 포렌식 방법이 적용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와 같은 사이버 범죄율의 증가와 낮은 검거율로 사이버 범죄의 심각성이 대두됨과 동시에 사이버 범죄 검거에 있어 디지털 포렌식 방법론이 주목 받기 시작하였다. 특히 사이버 범죄의 경우는 일반 형사 사건에 비해 증거확보가 어려운 이유로 사이버 범죄 수사의 경우 대부분 디지털 포렌식 방법이 적용된다.
사이버 공간의 부정적인 측면은? 하지만 사이버 공간은 긍정적인 측면만 있는 것은 아니다. 사이버 범죄로 인해 개인 및 기업에게 심각한 피해 발생시키고 있다. Symantec(2016)의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 기준 4억 3,000만개의 신규 악성코드가 발견되었으며, 이 중 제로데이 취약점은 125%이상 증가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2016). "전체사이버범죄 발생 검거 현황." http://cyberbureau.police.go.kr/share/sub3.jsp?mid030300 

  2. 김혁준.이상진 (2008). "분석 사례를 통해 본 네트워크 포렌식의 동향과 기술." 정보보호학회지, 18(1): 41-48. 

  3. 신용태 (2006). 디지털증거의 무결성 유지를 위한 절차와 시설에 관한 연구. 대검찰청. 

  4. 양근원 (2006). "디지털 포렌식과 법적 문제 고찰." 형사정책연구, 17(2): 207-248. 

  5. 연규철.김문호.김도현.이상진 (2016). "스마트 기기에 설치된 내비게이션 어플리세이션의 위치 정보 흔적 연구." 정보보호학회논문지, 26(1): 109-115. 

  6. 윤신자.이상진 (2013). "전자정보의 압수 수색 절차 개선 방안 연구-국가안보사건을 중심으로-." 경찰학연구, 13(4): 227-252. 

  7. 윤종철.박용석 (2016). "KakaoTalk의 채팅 메시지 포렌식 분석 연구 및 WhatsApp의 Artifacts 와의 비교 분석."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20(4): 777-785. 

  8. 이경식 (2016). "맥 포렌식을 통한 아이폰 아티팩트 분석 기법." 정보보호학회지, 26(5): 17-21. 

  9. 이대명 (2016). "토픽브리핑-대해킹시대 사이버범죄가 증가하는 이유." http://www.itworld.co.kr/news/99229.IT WORLD. 5월 13일. 

  10. 이상복 (2008). "디지털 포렌식 업무의 법.제도적인 개선 방향." 서강법학연구, 10(2): 139-178. 

  11. 이영주.강경희.이중정.신재우 (2010). "한국의 전자정부 연구 동향 분석-국내 학술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정보화정책, 17(3): 36-56. 

  12. 이형우.이상진.임종인 (2002). "컴퓨터 포렌식스 기술." 정보보호학회지, 12(5): 8-16. 

  13. 장성민.박정흠.박찬웅.이상진 (2015). "Full Disk Encryption 환경에서 디지털 증거 수집 절차에 관한 연구." 정보보호학회논문지, 25(1): 39-48. 

  14. 전상덕.한기준.홍동숙 (2006). "디지털 포렌식의 기술 동향과 전망." 정보화정책, 13(4): 3-19. 

  15. 주정민.나형진 (2015). "사물인터넷(IoT)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정보화정책, 22(3): 3-15. 

  16. 탁희성 (2008). "디지털 증거의 신뢰성 확보의 전제로서 디지털 포렌식에 대한 소고." 경찰학논총, 3(1): 173-198. 

  17.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14). Market Report : 법과학(Forensic science) 감식 제품 및 서비스 - 국내 민간 시장 활성화 통한 성장기대. 서울: 한국과학 기술정보연구원 

  18.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16). Market Report : 디지털 포렌식-정부 유관기관들의 적극적 협조가 필요. 서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19. 한국정보보호진흥원 (2003). 라우터 보안관리 가이드. 서울: 한국정보보호진흥원 

  20. Credence Research (2016). Digital Forensics Market By Type (Computer Forensics, Mobile Devices Forensics, Cloud Forensics), By Service (Digital Investigation And Consulting Services, Incident Response, System Integrators, Training And Certification, Support And Maintenance) - Growth, Share, Opportunities & Competitive Analysis, 2016 - 2023. Credence research 

  21. David Lillis, Brett Becker, Tadhg O'Sullivan & Mark Scanlon (2016). "Current challenges and future research areas for Digital Forensic investigation", Annual ADFSL Conference on Digital Forensics, Security and Law. 

  22. Globe Newswire (2015). Digital Forensics Need to cooperate with government agencies. Newswire 

  23. Stephenson, P. (2003). A comprehensive approach to digital incident investigation. Elsevier. 

  24. Symantec (2016). Internet Security Threat Report , 5-7. Symantec 

  25. Iris Vessey, V. Ramesh & Robert L. Glass (2002). "Research in Information Systems: An Empirical Study of Diversity in the Discipline and Its Journals."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 19(2): 129-17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