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원봉사활동의 지속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uration of Volunteering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4, 2017년, pp.444 - 460  

송기영 (서울시립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김욱진 (서울시립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자원봉사활동의 지속성은 헌신도와 부착성의 측면으로 나누어 살필 수 있다. 선행연구들은 대부분 헌신도의 측면에서 자원봉사활동의 지속성을 조사하였다. 본 논문은 선행연구들이 간과한 부착성 개념에 초점을 맞추어, 비록 약한 강도에 비정기적이라 할지라도 평생 혹은 그에 버금가는 긴 시간 동안 봉사를 일종의 '업'으로 삼아 꾸준히 활동을 수행해 나가는 일부 지속적 자원봉사자들의 특징을 밝히고, 이를 토대로 부착성의 관련요인들을 알아내는 것을 연구의 주된 목적으로 삼았다. 분석자료는 한국복지패널 1차년도부터 10차년도까지 10년 간 실시된 설문조사에 모두 참여한 8,415명의 20세 이상 성인응답자 표본에서 추출하였다. 주된 분석방법으로는 영과잉 음이항 회귀모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산발적이고 비정기적일지라도 자원봉사로서의 사회적 역할에 단단히 부착되어 봉사현장에 꾸준히 나타나는 소수의 지속적 자원봉사자들은 종교가 있고 상호호혜의식이 강한 저학력자들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원봉사 관리조직의 운영체계 효율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uration of volunteering can be analyzed in terms of commitment and attachment. Previous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duration of volunteering predominantly from the perspective of commitment. Alternatively,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cept of attachment and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속성 개념의 하위차원 중 하나인 헌신도의 개념은? 상기 문제가 발생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자원봉사활동의 지속성 개념을 정의하는데 있어 ‘헌신도(commitment)’와 ‘부착성(attachment)’ 두 가지 하위차원을 구분하지 않고, 절대다수의 선행연구들이 오로지 헌신도 차원에서만 지속성 개념을 이해하고 조작적 정의를 내려왔기 때문이다[10][11]. 지속성 개념의 하위차원 중 하나인 헌신도는 동일 봉사업무에 한 개인이 얼마나 강렬히 몰입하여 활동하느냐와 관련된 지표이다. 반면, 부착성은 자원봉사자로서의 역할을 내면화한 한 개인이 자신의 전 생애에 걸쳐 얼마나 꾸준히 그러한 역할에 몰입하는지와 관련된 지표이다.
부착성 개념에서는 특정 봉사업무의 지속기간, 참여주기, 참여 시간 같은 내용들이 관심대상에서 제외되는 이유는? 부착성 개념에서는 특정 봉사업무의 지속기간, 참여주기, 참여 시간, 지속의지와 같은 내용들이 관심대상에서 제외된다[10]. 왜냐하면, 이 개념은 원칙적으로 봉사업무의 지속이나 중단, 정기성 여부와 같은 구체적이고 단기적인 사안들보다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어떤 한 개인이 일평생에 걸쳐 봉사활동 일반을 - 설령 비정기적이고 저강도일지라도 - 습관적으로 수행하였는지 여부를 더욱 중시하기 때문이다. 또한, 부착성 개념에서는 동일 봉사업무를 고정적으로 수행하였는지 여부도 관심대상에서 제외된다[11].
자원봉사자로서의 역할을 내면화한 한 개인이 자신의 전 생애에 걸쳐 얼마나 꾸준히 그러한 역할에 몰입하는지와 관련된 지표는? 지속성 개념의 하위차원 중 하나인 헌신도는 동일 봉사업무에 한 개인이 얼마나 강렬히 몰입하여 활동하느냐와 관련된 지표이다. 반면, 부착성은 자원봉사자로서의 역할을 내면화한 한 개인이 자신의 전 생애에 걸쳐 얼마나 꾸준히 그러한 역할에 몰입하는지와 관련된 지표이다. 따라서 헌신도 차원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내용은 동일 봉사업무의 지속기간, 참여주기, 참여시간 등이고, 이와 대조적으로 부착성 차원에서 중요하게 다뤄지는 내용은 습관화된 봉사활동 그 자체, 즉 중도이탈이나 업무교체, 정기성 여부 등에 관계없이 평생에 걸쳐 봉사현장에 꾸준히 나타났는지 여부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주성수, 자원봉사 - 이론, 제도, 정책, 아르케, 2005. 

  2. 표갑수, 자원봉사론, 나남출판사, 2010. 

  3. 류기형, 남미애, 박경일, 홍봉선, 강대선, 자원봉사론, 양서원, 2016. 

  4. 구혜영, 자원봉사 조직특성 및 업무특성의 자원봉사자 활동유효성에 대한 영향 구조,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5. 장덕희, 장지연, "자원봉사활동의 인정보상이 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개발연구, 제15권, 제3호, pp.301-322, 2009. 

  6. 김대홍, 자원봉사활동의 실태와 지속성 요인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7. 이정해, 김현주, "물질적 지원이 대학생 자원봉사 활동 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연구, 제21권, 제1호, pp.73-95, 2014. 

  8. J. Wilson and M. Musick, "Attachment to Volunteering," Sociological Forum, Vol.13, No.2, pp.243-272, 1999. 

  9. J. Wilson, "Somethings Social Surveys Don't Tell Us," In Processes of Community Change and Social Action, edited by A. Omoto, Psychology Press, pp.11-28, 2014. 

  10. 김욱진, 자원봉사 - 영향요인과 파급효과, 청목 출판사, 2015. 

  11. L. Hustinx and F. Handy, "Where Do I belong? Volunteer Attachment in a Complex Organization," Administration in Social Work, Vol.33, pp.202-220, 2009. 

  12. M. Musick and J. Wilson, Volunteers - A Social Profi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08. 

  13. 유용식, 손호중, "자원봉사활동의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비영리연구, 제8권, 제2호, pp.27-57, 2009. 

  14. 정진석, 조미정, 채현탁, "자원봉사활동의 적극성과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정보상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28권, pp.95-112, 2009. 

  15. 김정헌, "자원봉사활동의 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 대구 시민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제14권, 제3호, pp.117-138, 2010. 

  16. 구혜영, 김일동, "개인.업무.조직요인이 여성노인 자원봉사자의 봉사활동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비영리연구, 제11권, 제1호, pp.89-122, 2014. 

  17. 최영창, 장연심,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의 지속적 참여 및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청소년연구, 제19권, 제2호, pp.87-109, 2008. 

  18. 이해룡, 청소년의 자원봉사활동 경험이 이타성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19. 오효근, 김욱,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의 지속성 결정요인에 대한 경로분석," 사회복지정책, 제35권, pp.297-327, 2008. 

  20. 김범수, 권선진, 신승연, 이종복, 손영희, 정옥희, 정용충, 최은숙, 자원봉사론, 학지사, 2011. 

  21. 김희삼, "패널 자료를 이용한 연구 방법", 2015년 한국사회정책연합 공동학술대회: 방법론 강의, 2015. 

  22. 이은주, 교육자원봉사활동 지속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23. 권영섭, 정순둘, "재해구호 자원봉사활동의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방재학회, 제9권, 제3호, pp.75-79, 2009. 

  24. M. Planty and M. Regnier, Volunteer Service, Washington D.C.: National Center for Education Statistics, 2003. 

  25. S. Oesterle, M. Johnson, and J. Mortimer, "Volunteerism During the Adulthood," Social Forces, Vol.82, No.3, pp.1123-1149, 2004. 

  26. M. Musick and J. Wilson, "Volunteering and Depression," Social Science and Medicine, Vol.56, pp.259-269, 2003. 

  27. K. Johnson, K. Foley, and G. Elder, "Women's Community Service, 1940-1960," Sociological Quarterly, Vol.45, pp.45-66, 2004. 

  28. S. Barkan, S. Cohn, and W. Whitaker, "Beyond Recruitment: Predictors of Differential Participation in a National Anti-Hunger Organization," Sociological Forum, Vol.10, pp.113-134, 1995. 

  29. L. Penner, Reducing Delinquency through Service, Washington D.C.: Corporation for National Service, 2002. 

  30. J. Merrell, "You Don't Do It For Nothing," Health and Social Care in the Community, Vol.8, pp.31-39, 2000. 

  31. M. Flick, M. Bittman, and J. Doyle, The Community's Most Valuable Asset - Volunteering in Australia, Sydney: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Social Policy Research Centre, 2002. 

  32. J. Downton and P. Wehr, The President Activist: How Peace Commitment Develops and Survives, Westview Press, 1997. 

  33. E. Uslaner and M. Brown, "Inequality, Trust, and Civic Engagement," American Politics Research, Vol.33, No.6, pp.868-894, 2005. 

  34. 권순철, 김성봉, "중등교육과정에서 학생봉사활동과 봉사학습의 확장," 교육종합연구, 제13권, 제4호, pp.89-114, 2015. 

  35. 신재동, "한국복지패널로 본 한국인의 건강," 보건복지포럼, 제170권, pp.23-31, 2015. 

  36. https://www.1365.go.kr/vols/ 

  37. 장미희, 박창기, "영과잉 가산자료 분석방법을 이용한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노인학대 발생과 심각성에 미치는 위험요인 분석," 대한간호학회지, 제42권, 제6호, pp.819-832, 2012. 

  38. 최종후, 고인미, 전수영, "제로팽창 모형을 이용한 보험데이터 분석," 응용통계연구, 제24권, 제3 호, pp.485-494, 2012. 

  39. 정재풍, 최종후, "교통사고건수에 대한 포아송 회귀와 음이항 회귀모형 적합," 한국자료분석학, 제14권, 제1호, pp.165-172, 2014. 

  40. 송혜정, 류방란, 신희경, "고등학생의 무단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한국교육, 제38권, 제3호, pp.107-136, 2011. 

  41. H. Edwards and K. Allen, "Volunteer Demographics," Chapter 2, In The Volunteer Management Handbook, edited by T. Connors, Wiley Press, 2011. 

  42. J. Smith, "Shaping an Organizational Culture of Employee and Volunteer Commitment," Chapter 4, In The Volunteer Management Handbook, edited by T. Connors, Wiley Press, 2011. 

  43. 주성수, 나눔문화, 한양대학교 출판부, 2016. 

  44. 이용관, "누가 자원봉사를 더 많이 하는가?," 보건사회연구, 제35권, 제1호, pp.275-298, 2015. 

  45. 김태룡, 안희정, 사회자본과 자원봉사 - 관계와 대안, 집문당, 2011. 

  46. 김태연, 김욱진, "유급노동과 자원봉사의 관계 - 대체관계인가 보완관계인가?,"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57권, 제1호, pp.31-56,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