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커뮤너티 기반 그룹컨설팅에 참여한 유아교사들의 경험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 of Community-based Group Consulting for Curriculum Implementat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4, 2017년, pp.629 - 644  

박수경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  정미라 (가천대학교 유아교육과)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국가수준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교사커뮤너티에서 유아교사들이 그룹컨설팅에 참여하면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수도권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 교사 12명이었으며, 10개월 동안 커뮤너티 기반 그룹컨설팅에 참여하면서 교육과정 실행과 관련된 다양한 전략을 서로 나누고 실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교사들은 교육과정이라는 틀을 다시 바라보게 되면서 단지 문서상의 교육과정이 아닌 맥락화된 교육과정 실행의 주체자로서 스스로를 다시 생각해 보는 기회를 가졌다. 둘째, 교사들은 교육 계획과 실제를 넘나들면서 실천 가능성의 숲을 서로 공유하였다. 셋째, 그룹컨설팅 과정을 통해 교사들은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면서 교육과정 실행의 맥락에 대한 새로운 지평을 열게 되었다. 넷째,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육과정 실행에 있어 여전히 복잡하고 상황적인 딜레마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사의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커뮤너티 기반 그룹컨설팅의 유용성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research aims at exploring what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d in the teachers' community for the national-level curriculum implementation while participating in group consulting.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10 teachers working at the day care centers located in the capital ar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사의 교육과정 운영 능력은 어떤 지표로도 활용될 수 있는가? 최근 유아교육에서 강조되고 있는 교육과정 운영 역량[2][5][6]은 유아교사의 가장 중요한 핵심역량 중 하나이다. 교사의 교육과정 운영 능력은 유아교육기관 평가의 주요 지표 중의 하나로도 구성되어 있다. 교사의 체계적인 교육과정 운영 자체가 유아교육의 질적 수준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2012년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이 고시되면서 어떤 기초가 마련되었는가? 2012년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이 고시되면서 사실상 3, 4, 5세 유아를 위한 국가수준의 공통과정이 마련되었다[1]. 이는 교육과 보육 과정의 일원화를 향한 토대가 되었으며 유아교육과 보육의 공공성의 강화로 질 높은 교육이 실현될 수 있는 기초가 되었다. 새로운 교육과정 관련 정책 도입이 현장의 즉각적인 교육 변화를 이룰 수는 없겠지만 교육과정 실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아교사가 변화된 교육과정을 어떻게 인식하고 실천하려는 의지를 가지는지 살펴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2].
2012년 누리과정 이후 국가수준 교육과정을 바르게 이해하고 충실히 이행할 수 있도록 보급된 것은 무엇인가? 2012년 누리과정이 고시된 이후 국가수준 교육과정을 바르게 이해하고 충실히 이행할 수 있도록 연령별 누리과정 지도서가 현장에 보급되었다. 누리과정 지도서는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들이 교육 계획과 실행을 위해 활용할 수 있도록 생활주제 중심의 다양한 교육활동과 교육자료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 교육과정, 2012. 

  2. 박창현, 박찬옥, "유아교육기관장의 운영능력, 유아교사의 역량, 교육과정 실행 간의 구조적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제16권, 제3호, pp.245-270, 2012. 

  3.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 "3-5세 연령별 누리 과정," 2013. 

  4. 황해익, 서보순,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 유치원 지도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활용실태," 유아교육연구, 제30권, 제3호, pp.117-140, 2010. 

  5. 신은수, 박은혜, 조운주, 이경민, 유영의, 이진화, 이병호, "유치원 교원 핵심역량 구성방향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제15권, 제5호, pp.203-226, 2011. 

  6. OECD, Starting Stro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aris: OECD, 2004. 

  7. 김규수, "유아교육과정 자율화의 과제와 전망," 유아교육연구, 제32권, 제5호, pp.395-413, 2012. 

  8. 염지숙, "교육과정 실행 주체로서의 유치원 교사의 역할과 전문성," 유아교육학논집, 제15권, 제6호, pp.295-310, 2011. 

  9. 조혜영, 황인주, "5세 누리과정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담당교사들이 겪게 되는 긍정적 경험, 어려움과 개선방안," 유아교육연구, 제32권, 제5호, pp.181-205, 2012. 

  10. 권성민,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에 관한 고찰: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을 중심으로," 영유아교육연구, 제13권, pp.67-81, 2010. 

  11. C. McLachlan, M. Fleer, and S. Edwards, Early childhood curriculum: Planning, assessment, implementation,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12. 손승희, "교육과정 실행과 실행형태의 탐색: 연구동향과 발전방향," 제29권, 제2호, pp.1-20, 2008. 

  13. 이재용, "초등체육 수업 컨설팅을 통한 초등교사의 교수 실제 변화," 한국초등체육학회지, 제16권, 제1호, pp.1-15, 2010. 

  14. 서경혜, "학교 밖 교사학습공동체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2호, pp.53-80, 2008. 

  15. 이현옥, 김향자, 김혜선, 김연진, 양미현, 유아교육기관의 원내 자율장학, 공동체, 2010. 

  16. 진동섭, "교사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교원교육의 방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발표자료집, 2012. 

  17. 임숙희, "국가수준 유치원교육과정 실행에 있어 홀리스틱 관점의 의미," 홀리스틱교육연구, 제15권, 제1호, pp.43-60, 2011. 

  18. 성원경, 이춘자, 조인경, "국가수준 유치원 교육 과정과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육아지원연구, 제5권, 제1호, pp.5-26, 2010. 

  19. 허유진,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와 실행수준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20. 이성희, 박은혜, "유치원 교사의 교육과정 계획, 실행, 평가에 나타난 실천적 지식 분석," 열린유아 교육연구, 제17권, 제4호, pp.319-353, 2012. 

  21. 박은혜, 김명순, "유치원 자율장학에 대한 유아 교사들의 인식 및 요구," 교육과학연구, 제33권, 제1호, pp.171-185, 2002. 

  22. 이대균, 장영순, 김주영, "순환형 소집단 장학 경험의 의미,"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1호, pp.209-233, 2010. 

  23. 조부경, 백은주, "유치원 교사의 발달 수준을 고려한 장학 모형 개발," 유아교육연구, 제23권, 제1호, pp.105-131, 2003. 

  24. 최남정, 임부연, "유아교사의 심미적 수업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공동체의 역할에 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6권, 제5호, pp.353-375, 2011. 

  25. R. D. Sawyer, "Teacher decision making as a fulcrum for teacher development: Exploring structures for growth," Teacher Development, Vol.5, No.1, pp.39-58, 2001. 

  26. E. Mushayikwa and F. Lubben, "Self-directed professional development: Hope for teachers working in deprived environment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Vol.25, pp.375-382, 2009. 

  27. 고영미, 유치원 교사의 과학교육 학습공동체 형성 및 참여양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28. E. Wenger, Community of practice,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29. M. W. McLaughlin and J. E. Talbert, Professional communities and the work of high school teaching,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1. 

  30. T. H. Nelson, D. Slavit, M. Perkins, and T. Hathorn, "A culture of collaborative inquiry: Learning to develop and support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Teachers College Record, Vol.110, pp.1269-1303, 2008. 

  31. 박인심, "교사학습공동체의 교사효능감 제고 가능성 탐색," 사회과학논총, 제17권, pp.63-89, 2010. 

  32. 조형숙, 김민정, "실행연구를 통한 유아과학교육 학습공동체의 의미," 유아교육연구, 제31권, 제4호, pp.119-141, 2011. 

  33. G. Naughton and P. Hughes, Doing action research in early childhood studies: A step by step guide, NY: Open University Press, 2009. 

  34. M. Q. Patton, Qualitative research and evaluation methods, CA: Sage Publications, 2002. 

  35. S. Kemmis and R. McTaggart,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In N. K. Denzin and Y. S. Lincoln (Eds.), The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2nd Ed., pp.507-606, London: Sage Publications, 2000. 

  36. S. B. Merriam,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s in education, CA: Jossey-Bass, 1998. 

  37. F. Crowther, M. Ferguson, and L. Hann, Developing teacher leaders, CA: Corwin Press, 2009. 

  38. U. Flick, An introduction to qualitative research, CA: Sage, 2002. 

  39. N. K. Denzin and Y. S. Lincoln, Introduction: The discipline and practice of qualitative research. In N. K. Denzin and Y. S. Lincoln(Eds.), The SAGE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pp.1-32, CA: Sage Publications, 2005. 

  40. C. J. Marsh and G. Wills, Curriculum: Alternative approach, ongoing issues, 3rd Ed. NJ: Pearson Education, 2003. 

  41. 김두정, "전문학습공동체를 통한 교육과정 개혁: 하향식 및 상향식 의사결정의 균형과 통합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제33권, 제3호, pp.179-198, 2015. 

  42. 소경희, "국가수준에서 개발된 교육과정의 실행 양상에 대한 이해," 교육과정연구, 제21권, 제1호, pp.129-153, 2003. 

  43. 이경진, 교유과정 실행에 나타난 교육과정 변화의 내용과 요인에 대한 연구: 창의성 증진을 위한 초등 수학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44. 김병찬, "교사교육의 패러다임 변화," 한국교사 교육, 제17권, 제3호, pp.113-141, 2000. 

  45. 정미라, 김지원, 박수경, "액션러닝 기반 교사교육에 참여한 영아교사의 경험 탐구," 제35권, 제1호, pp.303-331, 2015. 

  46. 이은지, 정지현, "액션러닝에 기반한 교직실무수업 사례연구," 유아교육연구, 제32권, 제2호, pp.233-255, 2013. 

  47. 김미진, 김병만, "생태유아교육현장에서 경험하는 유아교사의 행복감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2호, pp.29-55, 2012. 

  48. 이경민, 최윤정, 이경애, "유아교사의 행복과 역할수행능력과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제32권, 제6호, pp.509-523, 2012. 

  49. A. N. Applebee, Curriculum as conversation: Transforming traditions of teaching and learning, IL: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6. 

  50. 정선아, "국가수준 영유아보육과정 실행의 관점에 관한 연구: OECD 6개국의 국가수준 영유아보육과정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제10권, 제1호, pp.147-164,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