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소 정형외과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 환자안전지식과 환자안전간호수행
Perceptions of Patient Safety Culture, Safety Care Knowledge and Activity among Nurses at an Orthopedic Hospital 원문보기

근관절건강학회지 =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24 no.1, 2017년, pp.14 - 23  

김미영 (효성시티병원) ,  은영 (경상대학교 간호대학.건강과학연구소 노인건강연구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ceptions of patient safety culture, safety care knowledge, and safety care activity among nurses at orthopedic hospital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during Feb. 16 and Feb. 26, 2017, from 195 nurses of 9 small to medi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중소 정형외과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 환자안전간호지식과 환자안전간호수행수준을 파악 하고, 이들의 관계를 분석하고, 환자안전간호수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탐색하여 중소 정형외과병원 간호사들의 환자안전간호활동수행을 증진시키기 위한 맞춤형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외에서 이루어진 환자안전에 대한 선행연구로는 무엇이 있는가? 환자안전에 대한 선행연구로 국외에서는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시스템적 중재와 문화적 중재를 동시에 제공하여 사고발생을 감소시킨 중재연구(Abstoss at al., 2011), 환자안전문화에서 근거기반과 환자중심간호를 비교한 연구(Olsson, Forsberg, & Bjersa, 2016), 병원조직에서의 환자안전을 증진시키기 위한 안전문화를 사정한 연구(Nieva & Sorra, 2003), 환자안전을 증진하기 위한 간호교육과정 개발연구(Vaismoradi, 2012) 등의 연구들이 이루어졌다. 반면, 국내에서는 대형 병원 간호사(Cha & Choi, 2015; Cho & Yang, 2012; Choi, Lee & Lee, 2010), 중소병원 간호사(Kim & Lee, 2013; Lee, 2014; Lee & Kim, 2011), 재활전문병원간호사(Kang & Park, 2016), 응급실 간호사(Yun & Park, 2014), 종양 간호사(Yoo & Kang, 2014)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환자안전간호수행에 관한 연구들이 이루어졌으며, 환자안전문화인식과 환자안전간호수행에는 양적인 상관관계가 있다고 하였다(Kim & Lee, 2013; Lee, 2014; Lee & Kim, 2011).
낙상사고는 주로 어떤 사람에게 발생하는가? 낙상사고는 주로 근골격계 환자나 근골격계 문제를 가진 노인에게서 발생하고, 이들은 주로 정형외과를 이용한다. 중소병원은 대형병원에 비해 낙상발생 시 입원 환자들의 신체적 손상비율과 중증 손상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Lee & Gu, 2015).
본 연구에서 환자안전간호수행 정도가 간호사의 학력에 따른 차이가 없던 이유는? 그러나 Olsson 등(2016)의 연구에서는 환자안전간호수행은 간호사의 학력에 따른 차이가 있다 고 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학력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 이유는 한국의 간호교육은 3년과 4년이 대학교육에서 전공 관련 이수학점이 큰 차이가 없어 학력보다는 경력에 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환자안전간호수행을 높이기 위해서는 병원내의 환자안전간호수행을 증진시키기 위한 환자안전간호 관련 교육과 환자안전관리를 위한 공식적인 기구를 마련하고 안전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안전간호수행을 증진시키는데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bstoss, K. M., Shaw, B. E., Owen, T. A., Juno, J. L., Commiskey, E. L., & Niedner, M. F. (2011). Increasing medication error reporting rate while reducing harm through stimulations cultural and system-level interventions in an intensive care unit. BMJ Quality and Safety, 20(11), 914-922. https://doi.org/10.1136/bmjqs.2010.047233 

  2.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2004). Hospital survey on patient culture (NO.04-0041). AHRQ publication. Retrieved at November 10, 2016. from http://wwwahrq.gov/qual/patientsaftyculture/hopsurvin dex.htm. 

  3. Cha, B. K., & Choi, J. (2015). A comparative study on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are activity: Comparing university hospital nurses and small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es Administration, 21(4), 405-416. https://doi.org/10.11111/jkana.2015.21.4.405 

  4. Cho, H. W., & Yang, J. H. (2012).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mong health personnel. Journal of Korea Academic Fundamentals of Nursing, 19(1), 35-45. https://doi.org/10.7739/jkafn.2012.19.1.035 

  5. Choi, J. H., Lee, K. M., & Lee, M. A. (2010). Relationship between hospital nurses'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and their safety care activity. Journal of Korea Academic Fundamentals of Nursing, 17(1), 64-72. 

  6. Gu, H. M. (2016, October). On the reporting and learning system for patient safety events. Health Welfare Policy Forum, 46-59. https://doi.org/10.1016/s1051-0443(01)70072-3 

  7. Institute of Medicine. (2001). To error is human: Building a safer health system.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8. Jang, H. N. (2012). Evaluation and application of patient safety competence assessment tool.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9. Kang, J. M., & Park, J. S. (2016).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performance for safety care activity in rehabilitation hospital nurs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19(1), 12-19. https://doi.org/10.7587/kjrehn.2016.12 

  10. Kim, H. Y., & Lee, E. S. (2013). Effects of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on safety care activities among nurses in general hospital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9(1), 46-54. https://doi.org/10.14370/jewnr.2013.19.1.046 

  11. Kim, J. E., Kang, M. A., An, K. E., & Sung, Y. H. (2007). A survey of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related to hospital culture and reports of medical errors. Journal of Korea Clinical Nursing Research, 13(3), 169-179. 

  12. Kim, S. Y., & Lee, K. H. (2015). Nurses' perceptions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patient safety activities in mental health hospitals. Journal of Korea Academy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24(2), 82-92. https://doi.org/10.12934/jkpmhn.2015.24.2.82 

  13. Korea Consumer Agency. (2006). A field survey on the medical disputes related to the hospital's safety management. Emseong: Author. 

  14.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2007). 2007 Guidelines for hospital evaluation programme.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15. Lee, M. J. (2014). Effects of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on safety care activity among nurses in small to midium hospita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Busan. 

  16. Lee, N. J., & Kim, J. H. (2011).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are activity among nurse in small-medium sized general hospitals. Journal of Korea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7(4), 462-473. https://doi.org/10.11111/jkana.2011.17.4.462 

  17. Lee, Y. J., & Gu, M. O. (2015). Circumstance, risk factors, and the predictors of falls among patients in the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s. Journal of Korean Clinical Research, 21(2), 252-265. 

  18. Nieva, V. F., & Sorra, J. (2003). Safety culture assessment: A tool for improving patient safety in health care organizations. Quality and Safety in Health Care, 12, 17-23. https://doi.org/10.1136/qhc.12.suppl_2.ii17 

  19. Olsson, C., Forsberg, A., & Bjersa, K. (2016). Safety climate and readiness for implementation of evidence and person centered practice-A national study of registered nurses in general surgical care at Swedish university hospitals. Biomedical Central Nursing, 15(54), 1-12. https://doi.org/10.1186/s12912-016-0174-2 

  20. Park, S. J. (2008). A study on hospital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are activ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Busan. 

  21. Vaismoradi, M. (2012). Nursing education curriculum for improving patient safety.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and Practice, 2(1), 101-104. https://doi.org/10.5430/jnep.v2n1p101 

  22. Yang, Y. S. (2015). Perceived safety reporting system and level of knowledge, attitude, compliance about patient's safety of the nurses in small and medium sizes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Gimhae. 

  23. Yoo, J. H., & Kang, K. A. (2014). Survey of oncology nurses' awareness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nursing care activities for patient safety. Asian Oncology Nursing, 14(2), 119-226. https://doi.org/10.5388/aon.2014.14.2.119 

  24. Yun, J. M., & Park, H. S. (2014). Perception of the patient safety risk factors and safety management by nurses in emergency service,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1(4), 380-391. https://doi.org/10.7739/jkafn.2014.21.4.3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