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 환자안전역량, 안전간호활동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Perception about Patient Safety Culture, Patient Safety Competence, and Safety Nursing Activities of Emergency Room Nurse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10, 2017년, pp.268 - 279  

김미정 (단국대학교 간호학과) ,  김종경 (단국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 환자안전역량, 안전간호활동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9개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1년 이상의 경력간호사 중 응급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2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도구는 환자안전문화, 환자안전역량, 안전간호활동의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은 5점 만점에 3.51, 개인차원의 환자안전 지식/태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환자안전역량은 5점 만점에 3.60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은 태도 3.91, 기술 3.47, 지식 3.24 순이었다. 안전간호활동은 5점 만점에 3.85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은 투약 간호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안전간호활동과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r=.40, p<.001), 환자안전역량과 안전간호활동(r=.70, p<.001), 환자안전역량과 환자안전문화(r=.40, p<.001) 모두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 환자안전역량, 안전간호활동에 차이를 보이는 특성 중 최근 1년 이내 안전교육을 받은 것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임상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안전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또한 환자안전역량의 하위영역 중 지식 영역의 점수가 가장 낮게 측정되어 환자안전 관련 지식수준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cognition about patient safety culture, patient safety competence, and safety nursing activities for emergency room nurs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1 nurses working in the emergency room among the nurses with more than...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 환자안전역량, 안전간호활동의 관계를 조사하여 응급실에서의 환자안전을 증진시키는데 필요한 전략을 모색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 환자안전역량, 안전간호활동의 관계를 조사하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장해나 [23]의 연구에서는 병동, 수술장, 중환자실보다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이 높게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 환자안전역량, 안전간호활동 정도와 관계를 조사하여 응급실에서의 환자안전을 증진시키는데 필요한 전략을 모색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응급의학 영역에서의 오류의 특징은 무엇인가? 응급의학 영역에서의 오류는 다양한 건강문제를 가진 많은 수의 환자를 짧은 시간 내에 적절한 치료 및 전원을 결정해야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특징적이며, 오류 발생률도 높다[11]. 응급실에서 발생하는 환자안전 사례를 살펴보면 오진, 치료의 지연, 부적절한 입원치료 등이 있으며 이는 환자의 사망률/사망자 수에 영향을 준다[12].
환자안전문화는 무엇인가? 환자안전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방안은 환자안전문화(patient safety culture)를 형성하는 것으로[18], 환자안전문화는 의료서비스 전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자의 부상이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공동의 믿음, 가치, 계속적인 탐구를 바탕으로 하는 개별적·조직적 패턴을 의미한다[19]. 긍정적인 환자안전문화는 낮은 사망률, 낮은 응급구조 실패율, 의료오류의 감소, 환자만족도 증가에 영향을 주며[20], 의료기관의 환자안전문화 점수가 직원들의 안전 수행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1].
안전간호활동의 특징은 무엇인가? 안전간호활동은 진료과정 중 발생, 또는 발생 가능한 문제를 찾아내어 개선하고 예방하는 일련의 활동으로써, 환자안전을 위한 병원내의 모든 활동을 말한다[26]. 국제적으로는 병원실무에서의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대한 미국의 TJC(The Joing Commison)의 표준이 대표적이며 환자안전의 정확성, 의료진 간 의사소통의 효율성, 약물 사용의 안전성, 정확하고 안전한 투약, 낙상으로 인한 환자의 손상 위험성 감소 등의 항목이 포함된다. 실제 의료기관에서 발생하는 환자안전사고 중 부적절한 간호활동으로 인한 사고는 전체 사고의 약 50%에 이른다[2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http://www.ahrq.gov/qual/patientsafetyculture/hospsurvindex.htm. 

  2. https://doi.org/10.1093/bja/aeq133 

  3. 정준, 서영우, 남은우, "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 영향요인 연구," 병원경영학회지, 제11권, 제1호, pp.91-109, 2006. 

  4. 채우리,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과 안전간호활동,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5. 안진선, 김연하, 김연주, "응급실 간호사의 감염노출, 예방행위 수행정도와 영향요인," 근관절건강학회지, 제22권, 제1호, pp.40-47, 2015. 

  6. 김명선,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안전에 대한 인식과 영향요인,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7. 윤정미, 박형숙,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안전 위험 요인에 대한 위험성 인식과 안전 간호활동," 기본간호학회지, 제21권, 제4호, pp.380-391, 2014. 

  8. Danette Alexander, Terry L. Kinsley, and Christine Waszinski, "Journey to a Safe Environment: Fall Prevention in an Emergency Department at a Level I Trauma Center,"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Vol.39, No.4, pp.346-352, 2013. 

  9. http://www.e-gen.or.kr/nemc/statistcs_report.do 

  10. http://www.mohw.go.kr/ 

  11. 대한환자안전학회, 환자안전 개념과 적용, 박영사, 2016. 

  12. Julius Cuong Pham, Leen Alblaihed, Dickson Sui Cheung, Frederick Levy, Peter Michael Hill, Gabor D. Kelen, Peter J. Pronovost, and Thomas D. Kirsch, "Measuring Patient Safety in the Emergency Department," American Journal of Medical Quality, Vol.29, No.2, pp.99-104, 2014. 

  13. J. Fordyce, Fidela S. J. Blank, P. Pekow, Howard A. Smithline, G. Ritter, S. Gehlbach, E. Benjamin, and Philip L. Henneman, "Errors in a busy emergency department," Annals of Emergency Medicine, Vol.42, No.3, pp.324-333, 2003. 

  14. http://www.ahrq.gov/professionals/quality-patient-safety/index.html 

  15. Stephen K. Epstein, David S. Huckins, Shan W. Liu, Daniel J. Pallin, Ashley F. Sullivan, Robert I. Lipton, and Carlos A. Camargo Jr, "Emergency department crowding and risk of preventable medical errors," Internal and Emergency Medicine, Vol.7, No.2, pp.173-180, 2012. 

  16. 정민영, 정여정, "음악 감상을 통한 음악중재가 응급실 간호사의 불안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 춘계종합학술대회, pp.1111-1117, 2009. 

  17. Carol L. Enns and Jo-Ann V. Sawatzky, "Emergency Nurses' Perspectives: Factors Affecting Caring,"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Vol.42, No.3, pp.240-245, 2016. 

  18. V. F. Nieva and J. Sorra, "Safety culture assessment: a tool for improving patient safety in healthcare organizations," Quality and Safety in Health Care, Vol.12, No.2, pp.17-23, 2003. 

  19. P. J. Pronovost, B. Weast, C. G. Holzmueller, B. J. Rosenstein, R. P. Kidwell, K. B. Haller, E. R. Feroli, J. B. Sexton, and H. R. Rubin, "Evaluation of the culture of Safety: survey of clinicians and managers in an academic medical center," Quality and Safety in Health Care, Vol.12, No.6, pp.405-410, 2003. 

  20. D. S. Havens and L. H. Aiken, "Shaping systems to promote desired outcomes: the magnet hospital model,"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29, No.2, pp.14-20, 1999. 

  21. N. G. Castle and K. E. Sonon, "A culture of patient safety in nursing homes," Quality and Safety in Health Care, Vol.15, No.6, pp.405-408, 2006. 

  22. 박미정, 김인숙, 함영림, "병원 의료종사자의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측정도구 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5호, pp.332-341, 2013. 

  23. 장해나, 환자안전역량 측정도구의 적합성 평가 및 적용: 간호사를 대상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24. F. Milligan and S. Dennis, "Improving patient safety and incident reporting," Nursing Standard, Vol.19, No.7, pp.33-36, 2004. 

  25. Graham D. Glancy and Gary Chaimowitz, "The clinical use of risk assessment," The Canadian Journal of Psychiatry, Vol.50, pp.12-17, 2005. 

  26. 김정자, 최신기본간호학, 정담미디어, 2006. 

  27. 이금옥, 간호관리자의 리더십과 환자안전관리활동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8. 이지은, 이은남,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환자안전관리활동," 중환자간호학회지, 제6권, 제1호, pp.44-56, 2013. 

  29. 이유정, 병원간호사가 지각한 환자안전문화 및 환자안전관리 활동, 을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30. 금주라,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 조직몰입과 환자안전관리활동의 관계,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31. 오정현,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이 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32. 노이나, 병원 근무 직종별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 분석,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33. 김정은, 강민아, 안경애, 성영희, "환자안전과 관련된 병원문화와 의료과오 보고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조사," 임상간호연구, 제13권, 제3호, pp.169-179, 2007. 

  34. 신은화,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 인식과 안전간호 활동에 관한 연구,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35. 유선화, 상급 종합병원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 의사결정능력이 환자안전역량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36. 김명희, 중환자실 간호사의 안전문화인식, 태도 및 환자안전간호활동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37. 신현식, 김지수, "중소병원 응급실 간호사 업무에 대한 영향요인," 간호행정학회지, 제21권, 제4호, pp.386-392, 2015. 

  38. 이순교, 한국형 환자안전문화 측정도구 개발 및 평가,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39. N. J. Lee, "Development of questionnaires to measure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patient safety competencies," 11th International Congress on Nursing Informatics, Montreal, Quebec, Canada, 2012. 

  40. 박소정, 강지연, 이연옥, "병원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안전간호활동에 관한 연구," 중환자간호학회지, 제5권, 제1호, pp.44-55, 2012. 

  41. C. Wagner, M. Smits, J. Sorra, and C. C. Huang, "Assessing patient safety culture in hospitals across countries,"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Vol.25, No.3, pp.213-221, 2013. 

  42. 이숙현, 중환자실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환자안전역량, 성균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43. 김기경, 송말순, 이계숙, 허혜경, "병원 간호사의 사건보고 불이행 경험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호행정학회지, 제12권, 제3호, pp.454-463, 2006. 

  44. 남문희, 최숙희, "간호관리료 등급별 환자안전 및 안전간호활동 인식 비교," 임상간호연구, 제17권, 제20호, pp.138-149, 2011. 

  45. http://www.law.go.kr/법령/환자안전법시행령 

  46. 김효선, 한정숙,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능력 및 자기효능감이 환자안전역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7권, 제6호, pp.598-608, 2016. 

  47. http://www.mw.go.kr/front_new/index.jsp, 

  48. 장금성, 간호사의 임상경력개발 모형구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