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환자안전 위험요인에 대한 병원간호사의 인식수준과 안전간호활동 수행정도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Risk Factors and Performance Level of Safety Care Activities among Hospital Nurses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4 no.2, 2018년, pp.190 - 200  

손영신 (인하대병원, 인하대 대학원 간호학과) ,  이영휘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김영신 (인하대병원 응급의료센터) ,  송은정 (인하대병원, 인하대 대학원 간호학과) ,  이혜련 (인하대병원, 인하대 대학원) ,  이주희 (인하대병원, 인하대 대학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evel of perception of safety risk factors and the degree of performance of safety nursing activities in order to develop an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the safety of patients. Methods: The subjects were 217 nurses from 3 university hospitals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러나 환자에게 안전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환자안전 위험요인에 대한 인식수준을 조사하고 임상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안전간호활동의 수행정도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병원에 종사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환자안전을 위협하는 위험요인 별 인식수준과 더불어 안전간호활동 수행정도를 파악하여 간호사를 위한 환자안전교육을 계획하는데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병원의 안전사고 발생은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 병원을 내원하는 모든 환자와 보호자들은 치료기간 동안 완벽하고 안전한 돌봄과 보호를 기대하지만 의료기술과 의료수준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이에 따른 의료서비스 복잡성과 중증환자의 증가, 의료의 전문화와 분업화 등은 오히려 환자의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을 증가시키고 있다(Han & Jung, 2017). 병원의 안전사고 발생은 의료진에 대한 신뢰감을 저하시킬 뿐 아니라 환자의 건강상태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Nieva & Sorra, 2003), 환자에게 안전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은 중요하다. 이러한 노력은 병원 이용자들과 모든 직원이 함께 팀을 이루어 협력해야 효과적인 결과를 나타낼 수 있다(Bleier, 2004).
환자안전 위험요인에 대한 병원 간호사의 인식 수준을 분석한 결과 일반적 특성은 어떠했으며 이는 이전 연구결과와 어떤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 위험요인에 대한 인식수준과 안전간호활동 수행정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대학원 졸업 이상인 대상자가 전문학사나 학사인대상자보다 안전간호활동 수행정도가 높았는데, 이는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하였다(Park et al., 2012).
환자의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을 증가시키고 있는 요인은 무엇인가? 최선의 의료서비스를 받을 권리에는 “안전하게” 받을 권리를 포함한다(Kim & Hwang, 2014). 병원을 내원하는 모든 환자와 보호자들은 치료기간 동안 완벽하고 안전한 돌봄과 보호를 기대하지만 의료기술과 의료수준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이에 따른 의료서비스 복잡성과 중증환자의 증가, 의료의 전문화와 분업화 등은 오히려 환자의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을 증가시키고 있다(Han & Jung, 2017). 병원의 안전사고 발생은 의료진에 대한 신뢰감을 저하시킬 뿐 아니라 환자의 건강상태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Nieva & Sorra, 2003), 환자에게 안전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은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n, S. H. (2006). Analysis of risk factors for patient safety manage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2(3), 373-384. 

  2. Bleier, R. A. (2004). Risk prevention means teamwork staff and "customers" must unite in this mission. Nursing Homes -Washington then Cleveland-, 53(10), 74-75. 

  3. Chai, W. (2016). Relationship between emergency nurses' patient safety competency and safety nursing activit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4. Choi, J. H., Lee, K. M., & Lee, M. A. (2010). Relationship between hospital nurses'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and their safety care activit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7(1), 64-72. 

  5. Dingley, C., Daugherty, K., Derieg, M. K., & Persing, R. (2008). Improving patient safety through provider communication strategy enhancements. In K. Henriksen, J. B. Battles, M. A. Keyes, & M. L. Grady (Eds.), Advances in patient safety: New directions and alternative approaches (Vol. 3: Performance and tools). Rockville: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6. Ginsburg, L., Norton, P. G., Casebeer, A., & Lewis, S. (2005). An educational intervention to enhance nurse leaders’ perceptions of patient safety culture. Health Services Research, 40(4), 997-1020. 

  7. Han, N. J. (2012). The awareness on patient safety culture and the degree of safe nursing activity of hospit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Daegu. 

  8. Han, M. Y., & Jung, M. S. (2017). Effect of hospital nurses'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health and patient safety culture on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3(2), 127-138. 

  9. Jung, S., & Choi, E. (2017). The impact of job stress on the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y among nurses in small-medium sized general hospital.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6(1), 47-54. 

  10. Kaiser, J. (2005). Epidemiology. radiation dangerous even at lowest doses. Science, 309(5732), 233. 

  11. Kim, H. J. (2017). A study on the knowledge, attitude, and activity for patient safety management of nursing students in one area. Journal of Korean Nursing Research, 1(2), 71-79. 

  12. Kim, M. S. (2012). Medication error management climate and perception for system use according to construction of medication error prevention syste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2(4), 568-578. 

  13. Kim, J., & Bates D. W. (2013). Medication administration errors by nurses: adherence to guideline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2(3-4), 590-598. 

  14. Kim, J. Y., & Hwang, E. A. (2014). A study on improvement of consumer safety in medical services - Based on patient safety. Eumsung: Korea Consumer Agency. 

  15. Kim, J. E., Kang, M. A., An, K. E., & Sung, Y. H. (2007). A survey of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related to hospital culture and reports of medical errors. Clinical Nursing Research, 13(3), 169-179. 

  16. Kim, H. Y., & Kim, H. S. (2011). Effects of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on safety nursing activities in the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7(4), 413-422. 

  17. Kim, M. J., & Kim, J. K. (2017).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perception about safety culture, patient safety competence and safety nursing activities of emergency room nurses. Journal of Korean Contents Society, 17(10), 268-279. 

  18. Lingard, L., Espin, S., Whyte, S., Regehr, G., Baker, G. R., Reznick, R., et al. (2004). Communication failures in the operating room: An observational classification of recurrent types and effects. BMJ Quality and Safety, 13(5), 330-334. 

  19. Mazer, S. E. (2010). Ways to improve patient safety: How the environment plays a critical role. Retreived from Healing Health Care System website: http://www.healinghealth.com 

  20. Milligan, F., & Dennis, S. (2004). Improving patient safety and incident reporting. Nursing Standard, 19(7), 33-36. 

  2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2014). KOIHA Survey criteria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ver. 2.0.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22. Nam, M. H., & Lim, J. H. (2013). The Influences of the awareness of patient safety culture on safety care activities among nurse in small-medium sized general hospital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1(1), 349-359 

  23. Nieva, V. F., & Sorra, J. (2003). Safety culture assessment: A tool for improving patient safety in healthcare organizations. Quality & Safety in Health Care, 12, Suppl ii17-ii23. 

  24. Paradis, A. R., Stewart, V. T., Bayley, K. B., Brown, A., & Bennett, A. J. (2009). Excess cost and length of stay associated with voluntary patient safety event reports in hospitals. American Journal of Medical Quality, 24(1), 53-60. 

  25. Park, S. J. (2009). A Study on Hospital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are activ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Dong-A University of Korea, Busan. 

  26. Park, S. J., Kang, J. Y., & Lee, Y. O. (2012). A study on hospital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are activity.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5(1), 44-55. 

  27. Seo, M. J., & Park, E. T. (2017). The awareness and performances of medical staffs on the infection control in health care facilit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adiology, 11(2), 130-138. 

  28. Sklar, D. P., Crandall, C. S., Zola, T., & Cunningham, R. (2010). Emergency physician perceptions of patient safety risks. Annals of Emergency Medicine, 55(4), 336-340. 

  29. Woodhall, L. J., Vertacnik, L., & McLaughlin, M. (2008). Implementation of the SBAR communication technique in a tertiary center.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34(4), 314-317. 

  30. Yun, J. M., & Park, H. S. (2014). Perception of the patient safety risk factors and safety management by nurses in emergency service,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1(4), 380-3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