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고령 노인의 우울증상 궤적: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The trajectory of depressive symptoms among the oldest-old: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34 no.1, 2017년, pp.25 - 34  

전해숙 (경북대학교 사회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Although the number of the oldest-old is rapidly increasing due to longevity, very little is known about the trajectory of depressive symptoms(DS)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the oldest-old. Much less is known about whether the trajectory of DS differs by gender among the oldest-old.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이유로 초고령 노인의 우울수준이나 성별차이에 대한 실증적 연구결과가 제한적이어서 초고령 노인의 우울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임상적 함의를 제공하는 데는 상당한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한국복지 패널 데이터를 이용하여 85세 이상 초고령 노인의 우울증상과 우울증상 궤적에 대해 알아보고 초고령 노인의 우울 증상 궤적이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 그러나 여전히 노년기 내 연령대별 다양성에 대해서는 간과해온 경향이 있으며 초고령 노인의 우울에 대해서 연구한 국내논문은 거의 없어 초고령 노인의 우울과 관련한 정신건강 증진 정책이나 우울에 대한 실천적 개입에 대한 함의를 제공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일정정도 해결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1) 초고령 노인의 우울증상 궤적에 대해서 살펴보고, (2) 우울증상 궤적이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후에, (3) 이를 토대로 초고령 노인의 정신건강과 관련한 지역사회보건정책 및교육과 실천적 함의에 대해서 논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질문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고령 노인의 우울증상 궤적은 어떠한가? 둘째, 초고령 노인의 우울증상 궤적은 성별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85세 이상 노인들은 중장년기나 연소 노인(young-old) 등 상대적으로 젊은 세대에 비하여 어떤 경험을 하게 되는가? 초고령 노인은 동시대 인구의 평균연령을 훌쩍 뛰어넘어 살아남은 ‘생물학적인 엘리트’로서 수적인 측면에서 그리고 그들 고유의 경험의 측면에서 인구구조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Menec, 1997). 85세 이상 노인들은 중장년기나 연소 노인(young-old) 등 상대적으로 젊은 세대에 비하여 통제감이나 자아존중감과 같은 심리적 자원의 감소와 퇴직, 사별 등으로 인한 사회적 관계망의 축소 등을 경험하기도 하고 만성질환의 증가나 신체기능상의 약화를 경험하게 된다(Dunkle & Jeon, 2015; Fung et al., 2001; Kahng & Jeon, 2012; Shaw & Krause, 2001).
연령과 우울증상에 대한 연구는 무엇이 있는가? 비록 노인들의 우울증상이 젊은 연령층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연령과 우울증상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즉, 노인의 우울 증상이 다른 연령 집단에 비해 더 낮게 나타나거나 시간의 흐름에 따라 노인의 우울이 감소한다는 결과(Jeon & Kahng, 2009; Weissman, 1991)와 우울과 연령은 관계가 없다는 결과 (Keith, 1987; Lee, Kahng, & Lee, 2009)가 있는 반면 연령과 우울이 정비례하여 나이가 많은 노인의 우울증상이 더 높은 것을 보여 주는 연구도 있다(Lee, 2013; Blazer et al., 1991). 이와 같이 연령과 우울에 대한 국내외 연구의 결과가 항상 일치하지 않으나 최근 정부에서 65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시행한 노인실태조사에 의하면 65-69세 노인들은 23.
초고령 노인의 인구는 어떻게 변화하고있는가? 인간발달의 마지막 단계에 도달한 85세 이상 초고령 노인(oldest-old)은 평균수명의 연장과 더불어 가장 빠른 속도로 증가함으로써 전 세계 인구지형의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초고령 노인은 2015년 517,844명(남성: 130,644명, 여성: 387,205명)으로 10년 전 대비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Statistics Korea, 2016), 2030년에는 1,422,451명, 2040년에는 2,248,020명으로 각각 총인구의 2.7%와 4.4%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된다(Statistics Korea, 2012). 초고령 노인은 동시대 인구의 평균연령을 훌쩍 뛰어넘어 살아남은 ‘생물학적인 엘리트’로서 수적인 측면에서 그리고 그들 고유의 경험의 측면에서 인구구조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Menec, 199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Blazer, D., Burchett, B., & George, L. K. (1991). The association of age and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an epidemiologic exploration. Journal of gerontology, 46(6), M210-M215. 

  2. Dunkle & Jeon(2015). The oldest old. In D. Kaplan & B. Berkman (Eds.), The Oxford Handbook of Social Work in Health and Aging(431-442). Oxford University Press. 

  3. Enders, C. K., & Bandalos, D. L. (2001). The relative performance of full information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for missing data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8(3), pp.430-457. 

  4. Frederick, J. T., Steinman, L. E., Prohaska, T., Satariano, W. A., Bruce, M., Bryant, L., & Sharkey, J. (2007). Community-based treatment of late life depression.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33(3), 222-249. 

  5. Fung, H. H., Carstensen, L. L., & Lang, F. R. (2001). Age-related patterns in social networks among European Americans and African American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52(3), 185-206. 

  6. Hu, L. T., & Bentler, P. M.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6(1), pp.1-55 

  7. Kahng, S. (2010). Does depression predict suicide?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41(2), 67-99. 

  8. Kahng, S., & Jeon, H. (2012). A Study on the predictors of depression improvement. Mental Health & Social Work, 40(3), 145-174. 

  9. Kang, E., & Choi, J. (2014). Multiple trajectories of depressive symptoms among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y Society, 34, 387-407. 

  10. Karlin, B. E. & Norris, M. P. (2006). Public mental health care utilization by older adults. Administration and Policy in Mental Health and Mental Health Services Research, 33(6), 730-736. 

  11. Jeon, H. S., & Dunkle, R. E. (2009). Stress and depression among the oldest-old: A longitudinal analysis. Research on aging, 31, 661-687. 

  12. Jeon, H., & Kahng, S. (2009). Predictors of depression trajectory among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29, 1611-1628. 

  13. Jeon, H., & Kahng, S. (2013). An Exploratory study on the predictors of depression trajectory among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17, 41-67. 

  14. Leach, L. S., Christensen, H., Mackinnon, A. J., Windsor, T. D., & Butterworth, P. (2008). Gender differences in depression and anxiety across the adult lifespan.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43(12), 983-998. 

  15. Lee, H. (2013). Longitudinal changes in depression in older adults.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61, 291-318. 

  16. Lee, H., Kahng, S., & Lee, J. (2008). The effects of socioeconomic position and health behavior on geriatric depressive symptom.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28, 1129-1145. 

  17. Lee, I. (2014). The effects of stressors and coping on depression of the oldest old.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4(4), 264-294. 

  18. Luppa, M., Heinrich, S., Angermeyer, M. C., Konig, H. H., & Riedel-Heller, S. G. (2007). Cost-of-illness studies of depression: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98(1), 29-43. 

  19. Menec, V. H., & Chipperfield, J. G. (1997). The interactive effect of perceived control and functional status on health and mortality among young-old and old-old adults.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52(3), P118-P126. 

  2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014).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among older adults.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7&tblIdDT_11771_2011N043&vw_cdMT_ZTITLE&list_id117_11771_002_F&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E1 

  21. Murray, C. J., & Lopez, A. D. (1996).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and injury series, volume 1. Cambridge. MA. 

  22. Nelson, E. A., & Dannefer, D. (1992). Aged heterogeneity: Fact or fiction? The fate of diversity in gerontological research. The Gerontologist, 32(1), 17-23. 

  23. Parker, G., & Brotchie, H. (2010). Gender differences in depression. International Review of Psychiatry, 22(5), 429-436. 

  24. Piccinelli, M., & Wilkinson, G. (2000). Gender differences in depression.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77(6), 486-492. 

  25. Ra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3), pp.385-401. 

  26. Ross, C. E., & Mirowsky, J. (2006). Sex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education on depression. Social Science & Medicine, 63(5), 1400-1413. 

  27. Rybarczyk, B., Garroway, A. M., Auerbach, S. M., Rodriguez, V. M., Lord, B., & Sadock, E. (2013). Primary Care Psychology: An Opportunity for Closing the Gap in Mental Health Services for Older Adults. Clinical Gerontologist, 36(3), 195-215. 

  28. Sartorius, N. (2001). The economic and social burden of depression.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62, 8-11. 

  29. Shaw, B. A., & Krause, N. (2001). Exploring race variations in aging and personal control.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56(2), S119-S124. 

  30. Statistics Korea. (2016). Estimation of population. http://kosis.kr/ 

  31. Statistics Korea. (2015). Statistics on cause of death.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34E01&vw_cdMT_ZTITLE&list_idD11&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E1 

  32. Statistics Korea. (2012). Estimation of future population: 2010-2060.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01001&vw_cdMT_ZTITLE&list_idA41_10_10&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E1 

  33. Stein, J., Pabst, A., Weyerer, S., Werle, J., Maier, W., Heilmann, K., & Mamone, S. (2016). The assessment of met and unmet care needs in the oldest old with and without depression using the Camberwell Assessment of Need for the Elderly (CANE).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93, 309-317. 

  34. Weissman, M. M., Bruce, M. L., Leaf, P. J., Florio, L. P., & Holzer, C. (1991). Affective disorders. Psychiatric Disorders in America, 53-80. 

  35. WHO(2013). Mental Health Action Plan 2013-2020. 

  36. WHO(2008).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2004 Update. Geneva: WHO Press 

  37. Zunzunegui, M. V., Beland, F., Llacer, A., & Leon, V. (1998). Gender differences in depressive symptoms among Spanish elderly.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33(5), 195-20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