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방홍보 만족도와 효과측정에 대한 연구
Study of the FireFighting publicity Satisfaction and an Estimate of the Effects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31 no.2, 2017년, pp.101 - 105  

정무헌 (한국소방안전협회) ,  박인선 (중앙대학교 교양학부)

초록

본 연구는 효과적인 소방홍보를 위하여 소방홍보 만족도와 홍보효과를 측정하고 소방안전의식 수준이 소방홍보 만족도에 어떤 영향이 있는지, 소방홍보 만족도는 소방홍보효과에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였다. 소방홍보를 접한 국민을 대상으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58.5점으로 보통수준에서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방홍보 효과를 측정한 결과 소방안전의식이 전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그중 소화능력의 향상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홍보매체별 소방안전의식의 향상은 인터넷/스마트폰이 가장 높았으나 효과적인 소방홍보매체로는 언론매체를 선호하였다. 소방안전의식 수준이 소방홍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의미하지 않으며 소방홍보 만족도는 홍보성과로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firefighting publicity satisfaction (FFPS) and the effects of firefighting publicity (EOFFP) on efficient firefighting publicity (FFP).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FFPS and EOFFP was analyzed. The result of the investigation of the FFPS was 58.5 points, which was sl...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효과적인 소방홍보를 위해 선행연구의 측정지표를 체계화내지 보완하여 소방홍보에 대해 국민의 만족도를 조사하고 이에 따른 홍보 성과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소방홍보의 만족도와 성과, 그리고 국민소방안전의식 수준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연구를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제기되었던 소방홍보효과측정의 필요성에 이어 효과측정을 객관적으로 하였고, 소방안전의식의 5개 핵심영역인 화재예방, 경보, 대피, 소화, 피해확대 방지의 5가지 영역에서 홍보효과를 측정함으로써 부족한 부분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아울러 전략적 홍보를 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효과적인 소방홍보를 위해 선행연구의 측정지표를 체계화내지 보완하여 소방홍보에 대해 국민의 만족도를 조사하고 이에 따른 홍보 성과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소방홍보의 만족도와 성과, 그리고 국민소방안전의식 수준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이 연구는 소방홍보 관련 국내 선행연구 자료를 파악하여 어떤 내용이 연구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선행연구 자료 검토에서 이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소방홍보 효과측 정에 대한 필요성을 찾을 수 있었다.
  • 따라서 효과적인 소방홍보를 위한 선행조건으로 그간 행해져온 소방홍보가 국민이 얼마나 만족할 만한 수준이었으며 어떤 효과가 있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소방홍보를 접한 국민들의 만족도와 이의 영향에 의한 소방안전의식의 변화를 파악하고, 소방안전의식이 소방홍보 만족도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소방홍보 전략 수립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략적이고 효과적인 소방홍보가 필요한 이유는? 또한 경제발전에 따른 국민소득의 증가와 세월호 참사 이후에 국민안전에 대한 관심과 욕구가 크게 높아지고 있어 이에 걸맞는 자율소방안전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런 현실에서 국민의 화재예방 및 화재 시 적절한 초동대응을 위해서는 높은 소방안전의식이 필요하고, 높은 소방안전의식을 유인하기 위해서는 전략적이고 효과적인 소방홍보가 필요하다.
효과적인 소방홍보 전략을 위해 무엇이 필요한가? 더욱이 급속히 변화하며 매일매일 많은 양의 새로운 정보가 지상파 방송, 인터넷, SNS (Social Network Service) 등을 통해 공급되는 현대사회에서는 효과적인 소방홍보 전략이 필요하다. 따라서 효과적인 소방홍보를 위한 선행조건으로 그간 행해져온 소방홍보가 국민이 얼마나 만족할 만한 수준이었으며 어떤 효과가 있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소방홍보를 접한 국민들의 만족도와 이의 영향에 의한 소방안전의식의 변화를 파악하고, 소방안전의식이 소방홍보 만족도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소방홍보 전략 수립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소방안전의식이란 무엇인가? 소방홍보를 접하기 전과 후의 소방안전의식을 조사하였다. 소방안전의식은 “화재의 위험 및 피해를 낮추고자 하는 의식”으로 정의하고 5가지 핵심개념영역으로 구분하여 소방홍보를 접하기 전의 의식수준과 소방홍보를 접하고 난뒤의 의식 수준을 자기기입식으로 조사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J. A. Jang, "Study on ways of active fire fighting publicity for nationwide safety awareness", Seoul Municip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City Technology Majoring Prevention Engineering, Master Thesis (2013). 

  2. Y. M. Park, "A study on development plan of fire fighting publicity in the era of new media", Fire Prevention Department College of Industry and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Master Thesis (2014). 

  3. J. G. Kim, "A study on Practical Uses of 4 PR Models in Fire Public Administration", Journal of Policy Development, Vol. 13. No. 1. pp. 119-142 (2013). 

  4. H. C. Shin, "A study on Promoting the fire.Disaster Defense Adminstration PR", Graduate School Yeungnam University, Master Thesis (2005). 

  5. M. J. Kim, "A study on Reinforcement of Public Relations for Fire Fighting",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Dong Kuk University, Master Thesis (2004). 

  6. M. H. Jeong and I. S. Park, "Fire Safety consciousness Indicators Development and National Fire Safety Consciousness Research",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29, No. 4, pp. 89-94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