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소소생기 Oxylator EM-100, MicroVenT CSI-3000, OXY-LIFE II의 환기량과 기도내압 비교 - 마네킨 연구 -
Comparison of the Ventilatory Volume and Airway Pressures using Oxylator EM-100, MicroVenT CSI-3000, OXY-LIFE II -A manikin study -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31 no.2, 2017년, pp.113 - 118  

심규식 (나사렛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김은미 (나사렛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노상균 (선문대학교 응급구조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산소소생기 Oxylator EM-100, MicroVenT CSI-3000, OXY-LIFE II을 이용하여 인공호흡을 시행할 때 환기량과 기도내압을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기간은 2017년 2월 13일로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평균 환기량은 Oxylator EM-100이 551.44 ml (${\pm}18.70$), MicroVenT CSI-3000은 527.26 ml (${\pm}17.89$), OXY-LIFE II는 369.46 ml (${\pm}12.30$)의 환기량을 보였고, 평균 기도내압은 Oxylator EM-100이 $11.89cmH_2O$ (${\pm}.41$), MicroVenT CSI-3000은 $11.66cmH_2O$ (${\pm}.34$), OXY-LIFE II는 $8.02cmH_2O$ (${\pm}.25$)로 측정되었다. 이 연구는 현장에서 Oxylator EM-100, MicroVenT CSI-3000, and OXY-LIFE II에 따라 적절한 환기량 전달을 위한 방법을 검증하여 사용방법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ventilatory volume and airway pressure using Oxylator EM-100, MicroVenT CSI-3000, OXY-LIFE II. The data were obtained from February 13 in 2017 andanalyzed using the SPSS WIN 18.0 program. The results of theventilatory volume showed the Oxylator EM-100 551...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산소소생 기는 백-밸브마스크에 비해 사용방법이 비교적 쉽고, 심폐 소생술 중 흡기 산소농도를 100%로 유지할 수 있어서 고농도의 산소 공급이 가능하지만, 산소소생기 종류별 환기 량과 기도내압을 분석한 연구는 없다. 따라서 이 연구는 3 종류 산소소생기의 환기량과 기도내압을 비교하고자 한다.
  • 이 연구는 Oxylator EM-100, MicroVenT CSI-3000, OXYLIFE Ⅱ를 이용하여 폐에 전달되는 환기량과 기도내압을 RespiTrainer ® Advance로 측정하여 비교 분석한 연구이다.
  • 이 연구는 기관내삽관이 시행된 상태에서 산소소생기 Oxylator EM-100, MicroVenT CSI-3000, OXY-LIFE Ⅱ을 이용하여 호흡보조를 시행할 때 산소공급을 1초 동안 버튼을 누르거나 방아쇠를 당길 때 폐에 전달되는 환기량과 기도 내압을 비교하여 심정지 환자에게 산소소생기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 이 연구는 소방 구급차에 비치되어 있는 산소소생기 수동방식을 이용하였을 경우 Oxylator EM-100, MicroVenT CSI-3000, OXY-LIFE Ⅱ의 환기량과 기도내압을 비교분석한 연구이다. 기존의 연구결과와 비교해보면 Oxylator EM-100과 MicroVenT CSI-3000은 대략 500 ml의 산소를 공급할 때 필요한 기도내압은 11 cmH2O인 것으로 생각해볼 수 있었고, 1 초 동안 산소공급 버튼을 눌러 환기를 시행할 경우 일회호흡량(500-600 ml)이 전달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 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소소생기는 무엇인가? 산소소생기는 산소공급 버튼을 누르거나 방아쇠를 잡아당기는 시간만큼 고압으로 산소가 공급되는 기기로 사용자가 누르거나 당기는 시간에 따라 폐에 전달되는 환기량의 차이를 보일 수 있다. 이로 인한 과환기(hyperventilation) 및 과다량(high volume)의 인공호흡은 기도내압과 흉강내압을 증가시켜 심장으로 유입되는 혈류량을 방해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가슴압박을 시행하여도 심박출량의 감소로 인해 뇌혈류량이 감소되며, 위장관 내용물의 역류를 유발시켜 역류성 및 흡입성 합병증을 유발시킬 수 있다(10-12).
병원 전 단계에서 산소소생기를 사용하는 이유는? 그러나 백-밸브마스크의 사용은 사용자의 숙련도에 따라 일회 환기량, 환기빈도, 흡기-호기 비율, 백-압착 정도, 마스크와 안면 밀착정도 등이 변화하므로 성공적인 인공 환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7). 특히 병원 전 단계에서의 백-밸브마스크를 이용한 인공 환기는 구급차의 흔들림, 이송환경의 불안정성 등으로 인해 더 많은 실패 요인이 상존하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산소소생기가 많이 활용된다. 산소소생기는 호흡이 없는 환자에서 마스크만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전문기도삽관을 시행한 후에 마스크를 제거하고 산소소생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장 상황에 따라 사용방법을 달리할 수 있다.
산소소생기의 부작용은? 산소소생기는 산소공급 버튼을 누르거나 방아쇠를 잡아당기는 시간만큼 고압으로 산소가 공급되는 기기로 사용자가 누르거나 당기는 시간에 따라 폐에 전달되는 환기량의 차이를 보일 수 있다. 이로 인한 과환기(hyperventilation) 및 과다량(high volume)의 인공호흡은 기도내압과 흉강내압을 증가시켜 심장으로 유입되는 혈류량을 방해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가슴압박을 시행하여도 심박출량의 감소로 인해 뇌혈류량이 감소되며, 위장관 내용물의 역류를 유발시켜 역류성 및 흡입성 합병증을 유발시킬 수 있다(1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T. P. Aufderheide, G. Sigurdsson, R. G. Pirrallo, D. Yannopoulos, S. McKnite, C. von Briesen, C. W. Sparks and C. J. Conrad, et al. "Hyperventilation Induced Hypotension Dur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irculation, Vol. 109, No. 16, pp. 1960-1965 (2004). 

  2. V. Dorges, H. Ocker, S. Hagelberg, V. Wenzel and P. Schmucker, "Optimisation of Tidal Volumes Given with Self-inflatable Bags without Additional Oxygen", Resuscitation, Vol. 43, No. 3, pp. 195-199 (2000). 

  3. S. M. Jo and H. K. Jung, "Differentiation of Ttidal Volume & Mean Airway Pressure with Different Bag-Valve-Mask Compression Depth and Compression Rat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Vol. 16, No. 2, pp. 67-74 (2012). 

  4. T. P. Aufderheide and K. G. Lurie, "Death by Hyperventilation: A Common and Life-Threatening Problem Dur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rit Care Med, Vol. 32 , No. 9, pp. 345-351 (2004). 

  5. J. F. O''Neill and C. D. Deakin, "Do We Hyperventilate Cardiac Arrest Patients?", Resuscitation, Vol. 73, No. 1, pp. 82-85 (2007). 

  6. B. S. Abella, J. P. Alvarado, H. Myklebust, D. P. Edelson, A. Barry, N. O'Hearn, T. L. Vanden Hoek and L. B. Becker, "Quality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uring In-Hospital Cardiac Arrest", JAMA, Vol. 293, No. 3, pp. 305-310 (2005). 

  7. S. Y. Shin, J. G, Lee and S. G. Roh, "Comparative Analysis of Tidal Volume and Airway Pressure with a Bag-valve Mask using RespiTrainer",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28, No. 6, pp. 76-81 (2014). 

  8. Law for Rescue.Emergency Medical Services,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9. J. M. Murray and D. C, Seaberg. "Demand Valve Ventilation in a Swine", American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Vol. 14, No. 1, pp. 13-15 (1996). 

  10. J. Joseph, Osterwalder and W. Schuhwerk, "Effectiveness of Mask Ventilation in a Training Mannikin. A Comparison Between the Oxylator EM100 and the Bag-Valve Mask Device", Resuscitation, Vol. 36, pp. 23-27 (1998). 

  11. V. N. Jr Mosesso, K. Lukitsch, J. Menegazzi and J. Mosesso, "Comparison of Delivered Volumes and Airway Pressures when Wentilating Through an Endotracheal Tube with Bag-Valve Wersus Demand-Valve", Prehosp Disaster Med, Vol. 9, No. 1, pp. 24-28 (1994). 

  12. R. R. Jr Fluck and J. G. Sorbello, "Comparison of Tidal Volumes, Minute Ventilation, and Respiratory Frequencies Delivered by Paramedic and Respiratory Care Students with Pocket Mask Versus Demand Valve", Respir Care, Vol. 36, No. 10, pp. 1105-1112 (1991). 

  13. S. Y. Shin and S. G. Roh, "Comparative of Ventilatory Volume and Airway Pressures using Oxylator EM-100",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29, No. 5, pp. 104-109 (2015). 

  14. J. Joseph, Osterwalder and W. Schuhwerk, "Effectiveness of Mask Ventilation in a Training Mannikin. A Comparison Between the Oxylator EM100 and the Bag-valve Mask device", Resuscitation, Vol. 36, pp. 23-27 (1998). 

  15. R. M. Walls, M. F. Murphy and R. C. Luten, "Manual of Emergency Airway Management 3rd ed", Philadelphia, USA (2008). 

  16. A von Goedecke, K. Bowden, V. Wenzel, C. Keller and A. Gabrielli : "Effects of Decreasing Inspiratory Times During Simulated Bag-Valve-Mask Ventilation", Resuscitation, Vol. 64, No. 3, pp. 321-325 (2005). 

  17. S. M. Jo and H. K. Jung, "Differentiation of Tidal Volume & Mean Airway Pressure with Different Bag-Valve-Mask Compression Depth and Compression Rat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Vol. 16, No. 2, pp. 67-74 (2012). 

  18. Y. C. Cho, S. W. Cho, S. P. Chung, K. Yu, O. Y. Kwon and S. W. Kim, "HOW can a Single Rescuer Adequartely Deliver Tidal Volume with a Manual Resuscitator? An Improved Device for Device for Delivering Regular Tidal Volum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Vol. 28, No. 1, pp. 40-43 (2010). 

  19. H. Y. Lee, K. W. Jeung, B. K. Lee, S. J. Lee, Y. H. Jung, G. S. Lee, Y. I. Min and T. Heo, "The Performances of Standard and ResMed Masks During Bag-Valve-Msak Ventilation", Prehosp Emerg Care, Vol. 17, No. 2, pp. 235-240 (2013). 

  20. J. S. Moon, J. H. Oh, C. W. Kim, S. E. Kim and S. J. Lee, "Effects of Audio Tone Guidance on Performance of Positive-pressure Ventilation using a Bag-valve Devi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Vol. 23, No. 4, pp. 464-469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