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상실현 기반 구급차에서 루카스와 수기에 의한 가슴압박과 인공호흡 비교 -마네킨 연구-
Comparison of chest compression and ventilation volume using LUCAS and manual in virtual reality-based ambulance simulation -A manikin study- 원문보기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v.22 no.3, 2018년, pp.67 - 76  

이재국 (선문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김진수 (중앙 119 구조본부 교육훈련과) ,  노상균 (선문대학교 응급구조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quality of chest compressions and ventilation when using an mechanical device(LUCAS) and 2-men manual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CPR) performed on a minikin, as well as to propose a more effective CPR method during transit. Methods: Data were...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는 마네킨을 대상으로 가상실현 모의 구급차 내에서 자동심폐소생기(이하 루카스)를 활용한 경우와 수기가슴압박 상태의 두 그룹에서 가슴압박의 질을 알아보고, 더불어 가슴압박을 유지한 상태에서 두 그룹간 백-마스크만을 이용한 환기, 아이겔·후두튜브·기관내삽관 후 백-마스크를 이용한 환기를 분석하여 이송 중 효과적인 심폐소생술 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 연구의 목적은 가상실현 모의구급차 시나리오에서 자동심폐소생기인 루카스와 수기심폐소생술 상태에서 가슴압박의 깊이, 속도, 불완전이완과 인공호흡량을 비교하여 이송 중 효과적인 심폐소생술을 제공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심폐 소생술을 실시할 때에 정확한 가슴 압박과 이완이 필수적인 이유는 무엇인가? 구급대원들은 정기적인 교육과 훈련으로 양질의 심폐소생술을 시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현장 출동인력의 부족, 심정지 현장으로 부터 구급차까지 이송의 어려움, 협소하고 흔들리는 구급차 안에서의 심폐소생술 시행, 긴 이송 시간에 의한 구급대원의 피로 누적 등으로 인해 고품질의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3, 4]. 뇌 혈류량과 관상동맥 관류압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확한 가슴 압박과 이완이 필수적임에도 불구하고 이송거리가 길고, 구급대원 혼자서는 효과적인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을 기대하기 어려운 일이다.
심폐소생술에 사용한 마네킨은 Resusci Anne QCPRⓇ인데, 어떠한 기능이 있는가? 심폐소생술에 사용한 마네킨은 Resusci Anne QCPRⓇ (Laerdal, Stavanger, Norway)이다. 가슴 압박과 전문기도삽관이 가능하고, 가슴압박의 깊이, 속도, 불완전 이완과 호흡량 등을 평가할 수 있다.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의 결과는 SimPad PLUS with SkillReporter(Laerdal, Stavanger, Norway)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고품질의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무엇인가? 병원 전 심정지 환자의 생존에는 심정지가 발생된 현장 및 구급차로 이송 중에 시행되는 심폐 소생술의 질이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2]. 구급대원들은 정기적인 교육과 훈련으로 양질의 심폐소생술을 시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현장 출동인력의 부족, 심정지 현장으로 부터 구급차까지 이송의 어려움, 협소하고 흔들리는 구급차 안에서의 심폐소생술 시행, 긴 이송 시간에 의한 구급대원의 피로 누적 등으로 인해 고품질의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3, 4]. 뇌 혈류량과 관상동맥 관류압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확한 가슴 압박과 이완이 필수적임에도 불구하고 이송거리가 길고, 구급대원 혼자서는 효과적인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을 기대하기 어려운 일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Stiell IG, Brown SP, Nichol G, Cheskes S, Vaillancourt C, Callaway CW et al. What is the optimal chest compression depth during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resuscitation of adult patients?. Circulation 2014;130:1962-70. https://doi.org/10.1161/CIRCULATIONAHA.114.008671 

  2. Christenson JD, Andrusiek S, Everson-Stewart P, Kudenchuk D, Hostler J, Powell J et al. Chest compression fraction determines survival in patients with out-of-hospital ventricular fibrillation. Circulation 2009;120(13):1241-7. https://doi.org/10.1161/CIRCULATIONAHA.109.852202 

  3. Thomas SH, Stone CK, Bryan-Berge D. The ability to perform closed chest compressions in helicopters. Am J Emerg Med 1994;12(3):296-8. https://doi.org/10.1016/0735-6757(94)90142-2 

  4. Kramer-Johansen J, Myklebust H, Wik L, Fellows B, Svensson L, SoreboH et al. Quality of out-of-hospital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with real time automated feedback: a prospective interventional study. Resuscitation 2006;71(3):283-92. https://doi.org/10.1016/j.resuscitation.2006.05.011 

  5. www.nfa.go.kr/nfa 

  6. Shin SY, Kim JH, Kim GY, Kang SW, Bang SH, Yun JG et al. A study on th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method in ambulance. Korean Institute of Fire Sci Eng 2014;28(4):104-11. https://doi.org/10.7731/KIFSE.2014.28.4.104 

  7. Jang MS, Tak YJ. The variation of elapsed time on fatigue and quality of single rescue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J Emerg Med Ser 2013;17(1):9-19. 

  8. Wik L, Olsen JA, Persse D, Sterz F, Lozano M, Brouwer MA et al. Manual vs. integrated automatic load-distributing band CPR with equal survival after out of hospital cardiac arrest. The randomized CIRC trial. Resuscitation 2014;85(6):741-8. https://doi.org/10.1016/j.resuscitation. 2014.03.005 

  9. Rubertsson S, Lindgren E, Smekal D, Ostlund O, Silfverstolpe J, Lichtveld RA et al. Mechanical chest compressions and simultaneous defibrillation vs conventional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the LINC randomized trial. JAMA 2014;311(1):53-61. https://doi.org/10.1001/jama.2013.282538 

  10. Perkins GD, Lall R, Quinn T, Deakin CD, Cooke MW, Horton J et al. PARAMEDIC trial collaborators. Mechanical versus manual chest compression for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PARAMEDIC): a pragmatic, cluster randomised controlled trial. Lancet 2015;385(9972):947-55. https://doi.org/10.1016/S0140-6736(14)61886-9 

  11. Mitten MJ, Zipes DP, Maron BJ, Bryant WJ. Eligibility and disqualification recommendations for competitive athletes with cardiovascular abnormalities: task force 15: legal aspects of medical eligibility and disqualification recommendations: a scientific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and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Circulation 2015;132(22):e346-9. https://doi.org/10.1161/CIR.0000000000000251 

  12. Chi AR, Cho YS, Lee HJ, Lee JH, Cho GC, Kim WY et al. The influence of vertical location of cardiac arrest and application of mechanical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 on out of hospital cardiac arrest in a community: a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J Korean Soc Emerg Med 2016;27(6):530-9. 

  13. 2015 AHA Guidelines for CPR and ECC. AHA. 2015. 

  14. Kim GY. The effect of EMT belt on chest compressions in moving ambula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2014, Samcheok, Korea. 

  15. Hong SG. Son IA.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ccuracy of chest compression dur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ying in a moving ambulance. J Korean Soc Emerg Med 2009;20(4):343-54. 

  16. Braunfels S, Meinhard K, Zieher B, Koetter KP, Malech WH, Petroianu GA.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the efficacy of closed chest compressions in ambulances. Prehospital Emergency Care 1997;1(3):128-31. https://doi.org/10.1080/10903129708958804 

  17. Ochoa FJ, Ramalle-Gomara E, Lisa V, Saralequi I. The effect of rescuer fatigue on the quality of chest compressions. Resuscitation 1998;37(3):149-52. PMID:9715774 

  18. Shin SY, Roh SG. Comparison of ventilatory volume and airway pressures using oxylator EM-100. Fire Sci Eng 2015;29(5):104-9. https://doi.org/10.7731/KIFSE.2015.29.5.104 

  19. Jo SM, Jung HK, Differentiation of tidal volume & mean airway pressure with different bag-valve-mask compression depth and compression rate. Korean J Emerg Med Ser 2012;16(2):67-74. 

  20. Cho YC, Cho SW, Chung SP, Yu K, Kwon OY, Kim SW. How can a single rescuer adequately deliver tidal volume with a manual resuscitator? An improved device for device for delivering regular tidal volume. J Korean Soc Emerg Med 2011;28(1):40-3. 

  21. Aufderheide TP, Sigurdsson G, Pirrallo RG, Yannopoulos D, McKnite S, von Briesen C et al. Hyperventilation induced hypotension dur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irculation 2004;109(16):1960-5. https://doi.org/10.1161/01.CIR.0000126594.79136.61 

  22. Han GK, Ryu SY, Kim HJ, Lee SL, Cho SJ, Oh SC. Comparison of CPR outcomes between AutopulseTM and manual compression in adult out of hospital cardiac arrest. J Korean Soc Emerg Med 2009;28(6):256-63. 

  23. Cho YS, Choi SC, Lee CA, Jung YS, Kim GW. Comparison of manual versus mechanical chest compression during simulation out of hospital cardiac arrest. J Korean Soc Emerg Med 2009;23(4):486-92. 

  24. Kim TH, Hong KJ, Shin SD, Kim CH, Song SW, Song KJ et al. Quality between mechanical compression on reducible stretcher versus manual compression on standard stretcher in small elevator. Am J Emerg Med 2016;34(8):1604-9. https://doi.org/10.1016/j.ajem.2016.05.0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