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청소년의 보건교육 실태분석: 2005년, 2010년 및 2015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The Status Analysis of Health Education for Adolescents: Using Data from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of 2005, 2010 and 2015 원문보기

韓國學校保健學會誌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30 no.1, 2017년, pp.59 - 69  

이재영 (경성대학교 간호학과) ,  주현옥 (동아대학교 간호학과) ,  박소연 (동아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health education conducted for adolescents in the past 10 years by 5-year cycle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targeting 200,008 students attending junior high school and high school, using the data of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in 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보건교육은 시대적으로 건강문제의 특성을 조속히 파악하고 이에 대비하여 개인과 지역사회 주민들의 건강문제를 예방적인 단계에서부터 건강회복단계에 이르기까지 스스로 실천할 수 있도록 보건교육의 기회를 넓혀나가는 역할을 강조해야 한다[19]. 학교보건교육은 보건교육 정책과 실시 현황을 평가하는 것을 통하여 개선안을 제시할 수 있으므로[6], 본 연구는 지난 십 년간 시행된 청소년 보건교육을 5년 주기로 분석하여, 이를 통해 향후 보건교육 활성화와 정책수립 방향을 돕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건교육의 정의는 무엇인가? 보건교육이란 건강증진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는 것과 더불어 개인과 공동체의 건강에 유익한 건강정보 활용능력(health literacy)을 개선하기 위한 의사소통 및 이와 연관된 구조화된 학습 기회를 의미한다[1]. 과거와는 다르게 과학기술이 발전하여 생활양식이 변화함에 따라, 활동량의 감소, 스트레스의 증가, 식습관의 변화 등으로 인하여 만성질환이나 퇴행성 질환이 건강을 위협하고 있는데[2,3], 이러한 질환들은 발병 후 치료하는 것보다 보건교육을 제공함으로써 예방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며[2], 건강한 생활습관과 자기건강관리를 통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보건교육은 매우 중요하다[4].
보건교육은 왜 중요한가? 보건교육이란 건강증진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는 것과 더불어 개인과 공동체의 건강에 유익한 건강정보 활용능력(health literacy)을 개선하기 위한 의사소통 및 이와 연관된 구조화된 학습 기회를 의미한다[1]. 과거와는 다르게 과학기술이 발전하여 생활양식이 변화함에 따라, 활동량의 감소, 스트레스의 증가, 식습관의 변화 등으로 인하여 만성질환이나 퇴행성 질환이 건강을 위협하고 있는데[2,3], 이러한 질환들은 발병 후 치료하는 것보다 보건교육을 제공함으로써 예방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며[2], 건강한 생활습관과 자기건강관리를 통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보건교육은 매우 중요하다[4]. 성인의 경우 오랜 기간 동안 고착된 생활방식으로 인하여 새로
보건교육이 성인보다 아동기, 청소년기에 더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과거와는 다르게 과학기술이 발전하여 생활양식이 변화함에 따라, 활동량의 감소, 스트레스의 증가, 식습관의 변화 등으로 인하여 만성질환이나 퇴행성 질환이 건강을 위협하고 있는데[2,3], 이러한 질환들은 발병 후 치료하는 것보다 보건교육을 제공함으로써 예방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며[2], 건강한 생활습관과 자기건강관리를 통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보건교육은 매우 중요하다[4]. 성인의 경우 오랜 기간 동안 고착된 생활방식으로 인하여 새로 운 생활양식을 배우고 익히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아동기 또는 청소년기부터 건강한 생활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5]. 또한 최근 보건교육의 효용범위는 더욱 확장되어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조건과 관련한 소통, 수행 동기 및 자기효능감을 고양하는 것까지 포괄적으로 포함하고 있으므로[1], 향후 보건교육의 역할은 더욱 확대되고 강조될 것으로 여겨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World Health Organization. Health education: Theoretical concepts, effective strategies and core competencies: A foundation document to guide capacity development of health educators. Cairo: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2. p. 1-13. 

  2. Lawman HG, Wilson DK. A review of family and environmental correlates of health behaviors in high risk youth. Obesity. 2012;20(6):1142-1157. https://doi.org/10.1038/oby.2011.376. 

  3. Song YL, Lee KS. The factors influencing Korean health behavi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6;36(2):330-340. 

  4. Lee GY.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and Health Risk Behaviors in Adolescents: Results of the 2013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15;29(2):257-271. https://doi.org/10.5932/JKPHN.2015.29.2.257 

  5. Kim TK, Kang YE, Kim JM, Hong WJ, Kim KS, Kim HJ, et al. Effects of diabetic camp in type 2 diabetic patient.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2012;83(2):210-215. https://doi.org/10.3904/kjm.2012.83.2.210 

  6. Kim HK, Ko SD. Future directions of school health education policy and practice in Korea.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07;24(4):217-228. 

  7. Park ES, Park YJ, Ryu HS, Han KS, Hwang Rl, Im YJ, et al. A nationwide survey on current conditions of school health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6;36(2):381-388. 

  8. Jun SJ, Jung JH. Post-adolescent types of development between transition and moratorium. Korean Journal of Sociology. 2006;40(6):261-285. 

  9. Kim CM, Choi JM, Hyun HJ. A study on the health behavior of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00;13(1):109-115. 

  10. Nutbeam D. Health literacy as a public health goal: A challenge for contemporary health education and communication strategies into the 21st century.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2000;15(3):259-267. https://doi.org/10.1093/heapro/15.3.259 

  11. Wang LY, Yang Q, Lowry R, Wechsler H. Economic analysis of a School Based obesity prevention program. Obesity. 2003;11(11):1313-1324. https://doi.org/10.1038/oby.2003.178 

  12. Fullerton G, Tyler C, Johnston CA, Vincent JP, Harris GE, Foreyt JP. Quality of life in Mexican American children following a weight management program. Obesity. 2007;15(11):2553-2556. https://doi.org/10.1038/oby.2007.306 

  13. Lee GY, Sim IO, Mun YJ, Song YH. Effects on health educational curriculum revised in 2008 for middle school students,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10;23(2):151-161. 

  14. Lee GY, Ahn YH, Ko YS, Jun EK, Mun YJ, Kuk SH. The study for effective supporting system to improve the school health education. Issue Brief. Seoul: Korea Health Promotion Foundation, & Red Cross College of Nursing; 2009 September. Report No.: 09-28. 

  15. Kim HS. History and development strategy of school health education in Kor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12;25(2):147-158. 

  16. Kim YS, Ha YM, Park HJ, Jung HS, Kwon EH. Survey on current state and strategies for strengthening school health educatio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2011;17(3):353-374. 

  17. Kwon SJ. Domestic research trends in health education.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13;30(3):75-84. https://doi.org/10.14367/kjhep.2013.30.3.075 

  18. Song KH, Kang HS. Analysis of the direction and features of Health Education curriculum unde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2015;6(4):329-339. https://doi.org/10.14257/AJMAHS.2016.04.42 

  19. Lee SB. Recent changes of public health problems and the role of health education.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1993;10(1):1-8. 

  20.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six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2010 Report. Youth Risk Behavior Report. Cheongwo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1 December. Report No.: 11-1460736-000038-10. 

  21.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eleven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2015 Report. Youth Risk Behavior Report.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5 December. Report. No.: 11-1460736-000038-10. 

  22.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twelf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2016 Report. Youth Risk Behavior Report.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 December. Report No.: 11-1460736-000038-10. 

  23.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Health Promotion Foundation. The 4th health plan 2016-2020. Health Promotion Strategy Report. Sejong: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5 December. Report No.: 11-1352000-000285-13. 

  24. Cho HJ. A meta-analysis on the factors related to adolescents' alcohol use: From 1990 to 2012.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14;21(6):191-221. 

  25. Cho HC, Hwang SD. The effectiveness of school-based alcohol prevention programs for adolescents in Korea: A meta-analysi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16;23(3):523-547. 

  26. Donovan JE. Adolescent alcohol initiation: A review of psychosocial risk factors.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2004;35(6):529.e7-18. https://doi.org/10.1016/j.jadohealth.2004.02.003 

  27. Byun HJ. The vision and method of policies on gender sensitive sexuality education for health promotion of youth.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14;18(1):60-74. 

  28. Lee GY. A study on the difficulties that middle school sex education teachers face.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14;14(12):469-488. 

  29. Cho CB, Lee H. The effect of physical child abuse on date violence in youth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aggression. Studies on Korean Youth. 2013;24(4):31-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