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물리적 처리조건 변화에 따른 아로니아(Aronia melancocarpa) 유래 안토시아닌 함량변화 특성
Changes in Anthocyanin Content of Aronia (Aronia melancocarpa) by Processing Conditions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30 no.2, 2017년, pp.152 - 159  

김보미 (소람한방병원) ,  이경민 (영동건강주식회사 부설연구소) ,  정인찬 (한서대학교 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식품의 가공 시 농축, 건조, 살균 등을 목적으로 가열공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또한 다양한 원료가 혼합될때 원료 본연의 pH는 타 혼합원료의 영향으로 변화되게 된다. 본 연구는 아로니아의 가공조건에 따른 안토시아닌의 함량감소에 영향에 미치는 인자인 온도, pH, 가온시간, 수분함량 및 citric acid 첨가 등에 따른 안토시아닌 함량감소 억제효과를 검토하였다. 가공공정에서 안토시아닌 함량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는 pH, 온도, 가온시간, 수분함량이 가장 영향을 주었다. 아로니아에 함유된 안토시아닌은 산성에서 안정하다고 보고된 바가 있으나, 수분함량 9%이하의 분말의 경우 pH 6이하에서는, 가열온도와 시간에 따른 안토시아닌 함량감소가 고수분함량 시료에 비하여 적었다. 가열온도에 따른 총 안토시아닌 함량변화는 $40^{\circ}C$이하에서는 안정한 편이나, $40^{\circ}C$ 이상 $60^{\circ}C$는 감소속도가 서서히 증가하고, $60^{\circ}C$ 이상에서 급격하게 감소속도가 증가되었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열풍순환건조기를 이용한 건조에서 건조효율을 참작한 적정최저온도라 할 수 있는 $65^{\circ}C$에서 수분함량 9%의 아로니아 분말은 40시간 가열처리로 50%가 소실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아로니아를 건조할 때 유효성분인 안토시아닌의 감소를 억제하기 위하여 가열온도를 $40^{\circ}C$ 이상에서 장시간 건조하지 않아야 함을 나타낸다. Juice 상태의 $65^{\circ}C$ 수용액 중에서는 10시간 만에 50%가 감소되었으며, juice 상태의 $85^{\circ}C$ 수용액 중에서는 4시간만에 50%가 감소되었다. 저수분 함유 조건에서 아로니아 분말에 함유된 안토시아닌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온도 및 시간 변수가 가장 큰요인이며, 이러한 요인은 아로니아 뿐만 아니라 안토시아닌을 함유하는 과일류에 공통으로 적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아로니아에 함유된 안토시아닌의 함량을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총 안토시아닌 분석은 이전부터 사용하던 UV-VIS 분광광도계를 이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이 방법은 최근 방법인 LC-MS/MS 분석법에 비하여 신속하다는 장점은 있지만 정확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안토시아닌 종류(Cyanidin-3-Galactoside, Cyanidin-3-Glucoside, C3-Arabinoside)별 함량의 구분도 불가능하다. 이러한 분석의 어려움으로 2013년, 2015년 특허(Jang and Park et al., 2013; Lee and Jung et al., 2015)에서도 아로니아에 함유된 주종 안토시아닌으로 Cyanidin-3-glucoside를제시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LC-MS/MS 분석결과 아로니아에 함유된 주종 안토시아닌은 Cyanidin-3-galactoside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basic data for using Aronia as a functional food material. The composition of anthocyanin was characterized and quantitated by LC-MS/MS, HPLC, and UV-VIS spectrophotometer techniques, respectively. The anthocyanin content was analyzed by temperature, time, p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다양한 원료가 혼합될때 원료 본연의 pH는 타 혼합원료의 영향으로 변화되게 된다. 본 연구는 아로니아의 가공조건에 따른 안토시아닌의 함량감소에 영향에 미치는 인자인 온도, pH, 가온시간, 수분함량 및 citric acid 첨가 등에 따른 안토시아닌 함량감소 억제효과를 검토하였다. 가공공정에서 안토시아닌 함량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는 pH, 온도, 가온시간, 수분함량이 가장 영향을 주었다.
  • 아로니아 분말제품 중 총 안토시아닌의 건조 및 가공 중 가열온도에 대한 안정성를 보기 위하여, 수분함량 약 9%의 폴란드 수입 동결건조 아로니아 분말을 온도별로 24시간 처리 후 총 안토시아닌 함량변화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가공중 안토시아닌 함량감소를 최소로 억제하면서 가열을 이용한 적정한 가공조건을 규명하기 위하여 5℃ 간격으로 온도조건을 설정하여 감소량을 확인하였다. 처리온도 –25~40℃까지는 안정성이 유지되었으며, 40℃ 이상에서 60℃까지는 완만한 감소를 보였고, 60℃이상의 온도부터는 급격한 감소를 일어났으며, 70℃에서는 24시간 만에 총 안토시아닌 함량이 반감되었다(Fig.
  •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에서 재배한 아로니아를 기능성 식품원료로 사용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국내외 아로니아 제품 중 안토시아닌 함량을 분석하였고, 아로니아에 함유된 안토시아닌의 유기산 첨가, 온도, 수분함량, 가온시간 경과에 따른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가공 중 안토시아닌 성분들의 함량을 유지하면서 가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아로니아 함유된 안토시아닌은 산성에서 안정하다고 보고된 바가 있다(Hwang and Ki, 2013). 본 연구에서는 온도와 시간에 따라, 또한 citric acid 첨가우무에 따라 아로니아 추출물 가공중 안토시아닌의 함량변화를 관찰하였다. 위의 각 조건별 아로니아 juice에 대하여 16시간 경과에 따른 경시적 변화를 시험하였다(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안토시아닌이란 무엇인가? , 2003). 안토시아닌은 베리류, 포도, 적색 양배추, 사과, 순무 등의 식품에도 분포되어 있는 페놀화합물 중 하나로 물체의 줄기, 잎, 뿌리 등에 폭넓게 분포되어 있는 적색, 자색, 청색 등을 나타내는 색소이다(Francis, 1989; Bridle and Timberlake, 1997). 안토시아닌은 Cyanidin계의 고유의 색을 지닌 수용성물질이어서 식품으로 섭취하는 것이 비교적 용이한 천연의 식용색소이다(Cho et al.
안토시아닌이 많은 식품가공에 제약을 받는 이유는? , 2004). 그러나 안토시아닌은 다른 색소 성분에 비해 가공 및 저장조건에서 불안정한 것으로 알려져있어 식품가공에 많은 제약을 받고 있다(Francis, 1989; Cho et al., 2003; Chung et al.
Citric acid 첨가에 따른 안토시아닌 안정성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진행된 실험에서 65℃ 조건 하에 citric acid를 첨가했음에도 안토시아닌 함량감소에 대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지 못한 이유는? 급격히 안토시아닌의 함량감소를 보인 65℃ 조건에서 citric acid를 첨가하한 결과, 첨가시료는 무첨가시료에 비하여 효과적인 안토시아닌 함량감소에 대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으며, 온도 의존적으로 감소가 일어났다. 이러한 결과는 pH 안정성에서 나타난 결과에서와 같이 citric acid 첨가로 pH를 7이상에서 7 이하로 낯추는 경우라면 효과적이지만 아로니아 juice의 pH가 이미 pH 3 수준이므로 citric acid 첨가에 따른 pH의 변동이 미미하여 분해억제효과를 니타내지는 못한 것으로 생각된다. 아로니아 착즙액 복합제품에서는 다른 혼합물로 인하여 pH 7이상으로 변할 경우에는 citric acid 첨가로 pH를 6이하로 낮추어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Hwang and Ki,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ridle, P. and C.F. Timberlake. 1997. Anthocyanin as natural food coloursselected aspects. Food Chem. 58:103-109. 

  2. Cho, S.B., H.J. Kim, J.I. Yoon and H.S. Chun. 2003. Kinetic study on the color deterioration of crude anthocyanin extract from Schizandra fruit. Korean J. Food Sci Technol. 35:23-27 (in Korean). 

  3. Chung, K.W., Y.H. Joo and D.J. Lee. 2004. Content and color difference of anthocyanin by different storage periods in seed coats of black soybean [Glycine max (L) Merr]. Kor J. Int Agric. 16:196-199 (in Korean). 

  4. Degenhardt, A., H. Knapp and P. Winterhalter. 2000. Separation and purification of anthocyanins by high-speed countercurrent chromatography and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J. Agr Food Chem. 48:338-343. 

  5. Durge, A.V., S. Sarkar and R.S. Singhal. 2013. Stability of anthocyanins as preextrusion colouring of rice extrudates. Food Res Int. 50:641-646. 

  6. Francis, F.J. 1989. Food colorants: Anthocyanins. Crit Rev. Food Sci. 28:273-314. 

  7. Giusti, M.M. and R.E. Wrolstad. Characterization and measurement of anthocyanins by UV-visible spectroscopy. In Handbook of Food Analytical Chemistry. John Wiley & Sons, Hoboken, NJ (USA). pp. 19-31. 

  8. Heier, A., W. Blaas, A. Dross and R. Wittkowski. 2002. Anthocyanin analysis by HPLC/ESI-MS. Am J. Enol Viticult. 53:78-86. 

  9. Hong, J.H., H.S. Chung and K.S. Youn. 2002. Storage stability of anthocyanin pigment isolated from a wasted grape peels. Korean J. Food Preserv. 9:327-331 (in Korean). 

  10. Hwang, E.S. and K.N. Ki. 2013. Stability of the anthocyanin pigment extracted from aronia (Aronia melancocarpa). Korean J. Food Sci Technol. 45(4):416-421 (in Korean). 

  11. Jang, B.G. and J.E. Park. 2013.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chokeberry for preventing and treating arteriosclerosis and hypertension. Korea Patent 10-1246694. (in Korean). 

  12. Jekobek, L., M. Drenjancevic, V. Jukic and M. Seruga. 2012. Phenolic acids, flavonoids, anthocyanins and antiradical activity of "Nero", "Viking", "Galicianka" and wild chokeberries. Sci Hortic-Amsterdam 147:56-63. 

  13. Kang, C.S., S.J. Ma, W.D. Cho and J.M. Kim. 2003. Stability of anthocyanin pigment extracted from mulberry frui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960-964 (in Korean). 

  14. Ku, K.M., S.K. Kim and Y.H. Kang. 2009. Antioxidant activity and functional components of corn skik (Zea mays L.). Korean J. Plant Res. 22(4):323-329 (in Korean). 

  15. Kulling, S.E. and H.M. Rawel. 2008. Chokeberry (Aronia melanocarpa)-A review on the characteristic components and potential health effects. Planta Med. 74:1625-1634. 

  16. Lee, B.Y. and O.S. Jung. 2015. Manufacturing Process for Rice Syrup by Added C3G Ingredient. Korea Patent 10-150788 (in Korean). 

  17. Lee, H.H., J.W. Lee and J.W. Rhim. 2000. Characteristics of anthocyanins from various fruits and vegetable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7:285-290 (in Korean). 

  18. Lee, H.J., E.Y. Choi, Y.J. Sim, O.S. Kim, H.J. Yoo, W.N. Do and Y.H. Kim. 2009. Anthocyanin-contents and pigment stability of black soybean by different extract condition and stabilize. Korean J. Food Nutr. 22:150-157 (in Korean). 

  19. Lee, S.H., S.K. Kim, E.Y. Hong, S.H. Chun, I.C. Son and D.I. Kim. 2014. Effect of harvest time on the several phenolic compounds and fruit quality of grape cultivars. Korean J. Plant Res. 27(2):119-124 (in Korean). 

  20. Malik, M., C. Zhao, S. Norberta, M. Guisti, M. Moyer, P.M. Magnuson and A. Bernadene. 2003. Anthocyanin-rich extract from Aronia meloncarpa E. induces a cell cycle block in colon cancer but not normal colonic cells. Nutr Cancer. 46:186-196. 

  21. Markakis, P. 1974. Anthocyanins and their stability in foods. Crit Rev Food Sci. 4:437-456. 

  22. Park, J.S., J.O. Bae, B.W. Chung, M.Y. Jung and D.S. Choi. 2011. Degradation kinetics of anthocyanin pigment solutions from purple-fleshed sweet potato cultivars. Korean J. Food & Nutr. 24: 559-566 (in Korean). 

  23. Park, Y.J., H.J. Kim and B.G. Heo. 2006. Stability of anthocyanin pigment extracted from Begonia semperflorens 'Red' with ethanol. Flower Res J. 14:203-210 (in Korean). 

  24. Skoczynska, A., Jedrychowska, I., Poreba, R., AffelskaJercha, A., Turczyn, B., Wojakowska, A. and R. Andrzejak. 2007. Influence of chokeberry juice on arterial blood pressure and lipid parameters in men with mild hypercholesterolemia. Pharmacol Rep. 59(1):177-182. 

  25. Sun, C., Y. Zheng, Q. Chen, X. Tang, M. Jiang, J. Zhang, X. Li and K. Chen. 2012. Purification and anti-tumor activity of cyanidin-3-O-glucoside from Chinese bayberry fruit. Food Chem. 131:1287-1294. 

  26. Valcheva-Kuzmanova, S.V. and A. Belcheva. 2006. Current knowledge of Aronia melanocarpa as a medicianal plant. Folia Med. 48:11-17. 

  27. Wang, D., T. Zou, Y. Yang, X. Yan and W. Ling. 2011. C3-Glu with the aid of its metabolite protocatechuic acid, reduces monocyte infiltration in apolipoprotein E-deficient mice. Biochem Pharmacol. 82:713-719. 

  28. Wang, H., G. Cao and R.L. Prior. 1997. Oxygen radical absorbing capacity of anthocyanins. J. Agr Food Chem. 45:304-309. 

  29. Won, J.Y., H.S. Shin. Y.J. Oh. H.D. Han, K.S. Kim, S.W. Oh and D.I. Kim. 2017. Comparison of quality and cell enlargement of 'Nero' black chokeberry fruits according to different soil water conditions. Korean J. Plant Res. 30(1):88-95 (in Korean). 

  30. Wu, X., L. Gu, R.L. Prior and S. McKay. 2004. Characterization of anthocyanins and proanthocyanidins in some cultivars of Rives, Aronia and Sambucus and their antioxidant capacity. J. Agr Food Chem. 52:7846-7856. 

  31. Yang, H.C., J.M. Lee and K.B. Song. 1982. Anthocyanins in cultured Omija (Schizandrae chinensis Baillon) and its stability. J. Korean Agric Chem Soc. 25:35-43 (in Korean). 

  32. Yoon, J.M., M.H. Cho, T.R. Hahn, Y.S. Paik and H.H. Yoon. 1997. Physicochemical stability of anthocyanins from a Korean pigmented rice variety as natural food color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211-217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