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야산국립공원 기후변화취약종의 분포 및 보전방안
Conservation Measures and Distribution of Vulnerable Species for Climate Change in Gayasan National Park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30 no.2, 2017년, pp.167 - 175  

김윤영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  임효선 (국립생태원 생태평가연구실) ,  한세희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  지성진 (국립중앙과학관 시설창조관리과) ,  소순구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가야산국립공원 내의 기후변화 취약 산림식물 및 국가기후 변화 지표 생물종을 파악하기 위해 2016년 3월부터 10월까지 총 28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그 결과 기후변화 취약종은 총 39분류군이 분포하였고 북방계 11분류군, 남방계 2분류군, 관심식물은 26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이중 자생종은 33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가야산국립공원의 아고산지역에 분포하는 기후변화 취약종으로는 전나무, 구상나무, 잣나무, 사스래나무, 매발톱나무, 흰참꽃나무, 산앵도나무, 설앵초, 기생꽃, 백리향, 병풍쌈, 솔나리가 해당되었으며, 이들은 수직적 분포역이 매우 좁은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지구온난화의 영향에 취약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기후변화 취약종에 포함되지 않지만 본 지역의 산정에 자생하고 있는 한라송이풀, 세모산부추, 숙은처녀치마 등의 고유종과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V등급에 해당하는 여우꼬리풀, 구름병아리난초 등도 기후변화에 매우 취약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들에 대한 보전 방안이 절실하게 요구되며, 산정에 분포하는 잔존종에 대한 장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하여 기후변화취약종을 보다 객관적이고 타당한 분류군으로 재선정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conducted a total of 28 surveys from March to October 2016 in Gayasan National Park, to identify threatened plants for climate change, as well as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biological organisms and resources against climate changes in Korea. Regarding threatened plants for climate change, 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취약종에 대한 보다 정확한 기초 정보를 수집하여 기후변화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며, 생물다양성의 보존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야산국립공원을 구성하는 지질은 무엇인가? 가야산국립공원의 지질은 선캠브리아기의 흑운모편마암, 반상변정질편마암, 그리고 백악기의 해인사화강암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2007). 가야산지역의 암석들은 정상인 상왕봉을 중심으로 동서방향의 능선은 회장암, 해인사 북동측 산록이나 계곡 그리고 단지봉에서 오봉산, 남산제일봉, 매화산을 지나 청량사에 이르는 남산제일봉 능선은 해인사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해인사 북서 측에 위치한 두리봉에서 단지봉에 이르는 깃대봉 능선은 흑운모편마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야산국립공원 지역은 식생학적으로 어디에 포함되는가? 6%로 나타났다(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0). 본 지역은 식생학적으로 냉온대에 포함되고, 식물구계 구분에서 중일구계, 한국구에 속하며, 한반도 식물구계의 남부아구에 속한다(Lee and Yim, 1978, 2002).
국립공원 지역의 특징은 무엇인가? 국립공원 지역은 타 지역에 비해 생물다양성이 특히 높은 보호지역이지만 기후변화에 따라 생태계 변화가 민감하게 나타날 수 있는 지역이기도 하다. 이중 가야산국립공원은 경위도상 북위 35°45´00˝~35°49´30˝, 동경 128°02´30˝~128°09´30˝ 사이에 위치하며, 경상북도 고령군과 성주군, 경상남도 합천군의 경계지역에 속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Chung, J.M., S.W. Son, S.Y. Kim, G.W. Park and S.S. Kim. 2013. Genetic diversity and geographic differentiation in the endangered Primula farinosa subsp. modesta, a subalpine endemic to Korea. Korean J. Pl. Taxon. 43:236-243 (in Korean). 

  2. Gayasan National Park Office. 2013. Monitoring of Resource in Gayasan National Park. Gayasan National Park Office, Hapcheon, Korea (in Korean). 

  3. IPCC, 2014: Climate Change 2014: Synthesis Report.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s I, II and III to the Fif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ore Writing Team, R.K. Pachauri and L.A. Meyer (eds.)]. IPCC, Geneva, Switzerland. 

  4. Jang, C.S., S.G. Yang, H.D. Jang, R.Y. Lee, M.S. Park, K.H. Kim and B.U. Oh. 2015. Floristic study of Woraksan National Park in Korea. Korean J. Plant Res. 28:35-63 (in Korean). 

  5. Kim, B.D, S.G. Kang, S.T. Yu, H.T. Shin, K.H. Park, M.H. Yi, J.W. Yoon, G.S. Kim and J.W. Sung. 2012. A study on the plants for phenology of the Mt. Gaya National Park. Journal of Climate Research 7:174-186 (in Korean). 

  6. Kim, H.J., J.K. Hong, S.C. Kim, S.H. Oh and J.H. Kim. 2011. Plant phenology of threatened species for climate change in sub-alpine zone of Korea. Korean J. Plant Res. 24:549-556 (in Korean). 

  7. Kim, M. 2004. Korean Endemic Plants. Solkwahak, Seoul, Korea (in Korean). 

  8. Kim, Y.Y., N.R. Na, H.I. Song and C.G. Jang. 2016. Floristic Study of Mt. Segeolsan in Korea. Korean J. Plant Res. 29:110-127. 

  9. Kong, W.S., Kim K., Lee S.G., Park H.N. and S.H. Cho. 2014. Distribution of high mountain plants and species vulnerability against climate change.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3:119-136 (in Korean). 

  10.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0.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Retrieved Nov. 05. 2016. from the World Wide Web: http://www.kma.go.kr. 

  11.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2007. Natural Resource Survey in Gaya National Park. Korea National Park. Namwon. Korea (in Korean). 

  12. Lee, S., H. Choi, W.K. Lee, T. Park, S. Oh and S.N. Kim. 2011. Vulnerability assessment of forest distribution by the climate change scenarios. J. Korean For. Soc. 100:256-265 (in Korean). 

  13. Lee, S., H. Jung and J. Choi. 2012. Projection climate change impact on the potential distribution of endemic plant (Megaleranthis saniculifolia) in Korea. Korean Env. Res. Tech. 15: 75-84 (in Korean). 

  14.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 II. Hayangmunsa, Seoul, Korea (in Korean). 

  15. Lee, W.T. 1996. Coloured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ublishing Co., Seoul, Korea (in Korean). 

  16. Lee, W.T. and Y.J. Yim. 1978.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Pl. Taxon. 8:1-33 (in Korean). 

  17. Lee, W.T. and Y.J. Yim. 2002. Plant Geograph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ress, Chuncheon, Korea (in Korean). 

  18. Lee, Y.N. 2006. New Flora of Korea, Vol. I, II. Kyohak publishing Co., Ltd, Seoul, Korea (in Korean). 

  19. Lim, D.O and I.C. Hwang. 2006. Exotic plants and conservation in Gaya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20:281-288 (in Korean). 

  20.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A Guide to the 4r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Korea (in Korean). 

  21. Nam, B.M., J.Y. Kim, S. Jeong, J.H. Lee, M.J. Nam, B.U. Oh and G.Y. Chung. 2015. A flora of vascular plants in Mt. Cheongnyangsan (Bonghwa-gun, Andong-si). Korean J. Plant Res. 28:616-634. 

  22.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0. Management of Biological Organisms and Biological Resources against Climate Change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Korea (in Korean). 

  23.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1. Endemic Species of Kor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Korea (in Korean). 

  24.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06. Indicator species for climate change impact assessment in Korean peninsula.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Korea (in Korean). 

  25. Oh, B.U., D.G. Jo, S.C. Ko, B.H. Choi, W.K. Paik, G.Y. Chung, Y.M. Lee and C.G. Jang. 2010. 300 Target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in Korean). 

  26. Oh, S.H., Y.M. Lee, J.C. Yang, J.W. Jang, J.G. Byeon, J.E. Yun, B.D. Kim, C.H. Bae, J.S. Sim, C.H. Lee, G.Y. Lee, J.M. Park, C.J. Oh, J.S. Sin and D.S. Kim. 2013. Manual of Conservation Project of Threatened Plants for Climate Change.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in Korean). 

  27. Park, K.W., W.H. Kwon, K. Choi, S.H. Oh, D.K. Kim and J.H. Kim. 2005. Forest vegetation and floristic studies of Mt. Gaya National Park. Korean J. Environ. Biol. 23:1-20 (in Korean). 

  28. Park S.U., K.A Koo and W.S. Kong. 2016. Potential impact of climate change on distribution of warm temperate evergreen broad-leaved trees in the Korean peninsula. J. Korean Geographic. Soc. 51:201-217 (in Korean). 

  29. Shin, H., J. Sung and M. Yi. 2013. Studies on biological phenology of plant species in Yeungnam Region. Journal of Climate Research 8:55-65 (in Korean). 

  30. Shin, J., N. Yu, H.G. Kang and H.T. Shin. 2011. A study on the plants for phenology of the Mt. Jiri National Park. J. Korean Env. Res. Tech. 14:47-57 (in Korean). 

  31. Yamazaki, T. 2003. Intraspecific taxa in Primula farinosa L. subsp. modesta (Bisset & Moore) Pax. J. Jap. Bot. 78:259-299 (in Japanese). 

  32. You, J.H., S.K. Jeon and J.W. Seol. 2013. Flora and conservation plan of Gayasan National Park. J. Korean Env. Res. Tech. 16:109-130 (in Korean). 

  33. Yoo, K.O. 2013. Korean Violets. Jisungsa, Seoul, Korea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