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등학교 공용공간의 패러다임 변화 분석 - 우수시설학교로 지정된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nalysis of Paradigm Change in Common Space of High School - Focused on High Schools selected as Excellent School Facilities - 원문보기

교육시설 : 한국교육시설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v.24 no.6, 2017년, pp.55 - 64  

신지은 (Dept. of Architecture, Hanyang Univ.) ,  황희준 (Dept. of Architecture, Hanyang Univ.)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s the common space of the high schools before and after the decade of 2009 which starts Subject-centered clusters school plan, and proposes the direction of common space planning for the future. Based on the floor plans of high schools awarded as excellent school facilities every 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과교실제를 실시하면서 변화된 학교 내 공용공간을 추적 조사하여 공간 및 기능변화를 밝히고자 한다. 이는 향후 학교 리모델링 혹은 설계 시 공용공간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과교실제를 실시하면서 변화된 학교 내 공용공간을 추적 조사하여 공간 및 기능변화를 밝히고자 한다. 이는 향후 학교 리모델링 혹은 설계 시 공용공간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가설 설정

  • 이러한 체류공간은 특히 실내에서 청소년의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공간으로서 가능성을 가지면서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체류의 가능성에 따라 공간의 이용이 달라질 것으로 판단되며, 체류 면적에 따라 담길 수 있는 경험과 행위, 변화되는 프로그램이 달라질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간적 성격이라 함은? 7) 또한 공용공간은 전용공간과의 이분법적 분류에 따라 구분, 표시되는 공간으로 전용공간과 전용공간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적 성격의 공간을 말한다. 중간적 성격이라 함은 물리적 위치에서 뿐만 아니라 공간 역할에 있어서도 딱히 공간의 성격을 규정지을만한 나름의 역할을 부여받지 못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시설환경 전체를 놓고 보면 출입과 통행 등 제외할 수 없는 다양한 역할을 수용하는 공적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오늘날 공용공간의 개념은? 공용공간에 대한 전통적인 개념은 개인의 독자적인 소유를 인정하지 않고 모든 사람들이 누구나 자유롭게 접근 가능하고 이용할 수 있는 공공적 가치에 바탕을 두는 ‘공용(公用)’공간으로서의 의미가 강조되었지만 오늘날 공용공간의 개념은 공간적인 측면에서 ‘더불어 함께 사용한다’ 는 의미에 무게를 둔 ‘공용(共用)’공간으로서의 의미에 조금 더 근접하고 있다.7) 또한 공용공간은 전용공간과의 이분법적 분류에 따라 구분, 표시되는 공간으로 전용공간과 전용공간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적 성격의 공간을 말한다.
국내 고등학교 시설의 특징은? 국내 고등학교 시설은 1965년 701개였던 것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6년 기준 2393개의 고등학교가 개설되어있고 교과교실제를 중심으로 교육하는 일반계 고등학교는 64%인 1545개가 개설되어있다3). 하지만 대부분의 학교들이 교육기능만을 중심으로 설계되어있고, 특히 교과교실제가 도입되기 전의 학교들은 기본적인 복도공간을 포함한 아이들의 휴식과 활동을 담는 공용공간이 부족한 실태이다. 대부분의 학교에서 휴식 및 사회적 활동들이 이루어지는 공간은 복도 및 운동장으로 한정되어있으며, 이 공간 이외에 다양한 활동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의 구축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Kim, Byung-Joo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hysical Self - Description Questionnai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12(2), pp.69-990, 2001. 

  2. Kim, Su-Mi and Shim, Woo-Gab, A Study on the Utilization Ways and Planning Characteristics Common Spaces in Commercial Multi-Complexes in Korea,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5(5), pp.13-22. 2012. 

  3. Lee, Kyoung-Sook, A study on Communicative Compatibility of Public Spaces in Middle School Building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16. 

  4. Lim, Jae-Ok, A Study on the Methods of Using School Space for Students' Club Activity : Focused on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13. 

  5. Mun, Jae-Eun and Lee, Kyung-Sun, A study on the Human Sensibility Space Types of Elementary Public Space - Focusing on the cases of schools in northern Europ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31(10), pp.23-32, 2015. 

  6. Park, Jong-Rae, A Elementary school Proposal by the Analysis of Common space, Gwangju University, 2009 

  7. Son, Ji-Hye and Yang, Nae-Won, A Study on the Change of Paradigm and Analysis of Qualitative Space in Public Spac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23(6), pp.212-220, 2014. 

  8. Song, Hee-Sook, A Study on The Effects of Club Activities on High School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School Life, Education Inha University, 2002. 

  9. Yoon, Dong-Min, A study on the Concept of Architectural Publicness in the Planning Elements of Common space in Middle and High schools, Daejin University, 201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