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태계교란식물의 부산광역시 분포 실태
Distribution of Invasive Species in Metropolitan Busan, South Korea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7 no.4 = no.204, 2017년, pp.408 - 416  

류태복 (국립생태원 생태보전연구실) ,  임정철 (국립환경과학원 국립습지센터) ,  이철호 (동의대학교 분자생물학과) ,  김의주 (동의대학교 분자생물학과) ,  최병기 (동의대학교 분자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부산광역시에 분포하는 생태계교란식물에 대해 종 다양성과 분포현황을 규명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부산광역시에는 10종의 생태계교란식물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국내에서 높은 종 다양성을 보이는 지역으로 확인되었다. 집괴분석을 통해 미국쑥부쟁이 우점군락, 가시상추 우점군락, 돼지풀 우점군락, 애기수영 우점군락, 도깨비가지 우점군락 등이 높은 유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생태계 교란식물은 우점군락 내에서 다른 생태계 교란식물이 함께 혼생하는 경향을 보여, 유사한 서식처를 공유하고 있는 것올 밝혀졌다. 부산시에서 가장 광범위한 분포경향을 보이는 종은 가시상추(16개 구)이며, 돼지풀(11개 구), 미국쑥부쟁이(11개 구), 애기수영(10개 구) 등이 넓은 분포를 보였다. 행정구역 중 가장 다양한 생태계교란식물이 출현한 지역은 강서구(8종)와 북구(8종)이며, 인위적 간섭이 높으면서 다양한 서식처가 존재하는 지역들로 확인되었다. 부산광역시의 종별 서식처 환경정보가 수집되었다. 본 연구를 통한 결과는 부산광역시 내 생태계교란식물의 현황파악과 더불어 효율적 관리와 확산 방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aimed to identify the diversity and the distribution of invasive alien plant species in the metropolitan city of Busan, South Korea. According to our results, we discovered 10 species of invasive alien plants distributed in Busan, demonstrating that this urban area has a high domestic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전역에 분포하고 있는 생태계교란식물을 대상으로 이들 종의 다양성과 분포현황 및 그 특성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한 결과는 부산광역시 내 생태계교란식물의 현황파악과 더불어 효율적 관리와 확산 방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침투외래종의 발생에 따른 문제점은? 침투외래종의 발생으로부터 야기되는 문제점은 자생종의 생태적 지위를 위협함으로써 지역의 고유생태계에 교란을 발생시키거나, 토지의 이용 및 자연환경의 패턴을 변화시킴으로인해, 농업 및 산업 전반에 걸쳐 직/간접적으로 부정적 영향을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39, 41, 42]. IUCN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세계자연보전연맹)은1992년 생물다양성협약을 통해 고유의 생태계와 서식처 또는 지역 생물 종을 위협하는 종에 대하여 침투외래종으로 규정하고, 이들 종을 선정하여 국제적인 관리대상으로 고지하여 관리하고 있다[33].
애기수영은 확인된 분포지에서 어떤 군락을 형성하는가? 애기수영(Rumex acetosella)은 부산광역시 전역에 걸쳐 넓은 분포영역을 나타내고 있으나, 강서구,사상구 및 기장군 등에서는 분포가 확인되지 않았다. 확인된 분포지의 분포면적은 300 m2이하로 일반적으로 소형군락을형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가시박(Sicyos angulatus)은 강서구, 수영구, 사상구 및 북구에 제한적인 분포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세계자연보전연맹에서 침투 외래종에 대한 관리를 위해 맺은 협약은? 침투외래종의 발생으로부터 야기되는 문제점은 자생종의 생태적 지위를 위협함으로써 지역의 고유생태계에 교란을 발생시키거나, 토지의 이용 및 자연환경의 패턴을 변화시킴으로인해, 농업 및 산업 전반에 걸쳐 직/간접적으로 부정적 영향을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39, 41, 42]. IUCN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세계자연보전연맹)은1992년 생물다양성협약을 통해 고유의 생태계와 서식처 또는 지역 생물 종을 위협하는 종에 대하여 침투외래종으로 규정하고, 이들 종을 선정하여 국제적인 관리대상으로 고지하여 관리하고 있다[33]. 국내에서도 1998년 3종을 시작으로 최근 환경부고시 제2016-112호를 포함할 때, 현재 환경부 지정 생태계교란외래동식물은 총 20종이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Allred, K. W. 1982. Paspalum distichum L. var. indutum Shinners (Poaceae). Great Basin Nat. 42, 101-104. 

  2. Busan 2004. Research of Environmental in Busan city, Report 3rd, p. 333, Busan. 

  3. Busan 2014. Research of Environmental in Busan city: eastern region, Report 2nd, p. 378, Busan. 

  4. Busan 2015a. Research of Environmental in Busan city: central region, Report 2nd, p. 381, Busan. 

  5. Busan 2015b. Distribution status of invasive plant for native species protection and healthy ecosystem conservation, p. 71, Busan. 

  6. Busan 2015c. http://www.busan.go.kr. 

  7. Busan 2015d. Population statistics of resident registration in Busan, Busan. 

  8. Busan Regional Office of Meteorology 2015. http://www. kma.go.kr. 

  9. Ha, S. H. 2012. Succulent plants, p. 409, Academy, Seoul. 

  10. Hong, S. H. and Kim, Y. H. 1993. Studies on exotic plant of Pusan Area. J. Environ. Stud. 11, 109-140. 

  11. Jegal, E. K. 2011. A Study on the selecting locally protected plant species : Focusing on Jeollanam-do Province. Ph. M. Dissertation, Honam University, Gwangju. 

  12. Jeong, L. J. 2014. The flora of Busan Galmaes road. Ph. M. Dissertation, Kyungsung University, Busan. 

  13. Jeong, S. C., Lee, D. H., Lee, J. Y., Yoo, I. S. and Kim, K. D. 2015. Distribution status of invasive plant species in Seoul and its vicinity.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Education Conferences, Kongju University, Kongju. 

  14. Jo, J. H. 2006. The flora of Mt. Bongrae in Busan. Ph. M. Dissertation, Kyungsung University, Busan. 

  15. Jung, S. Y. 2014. A study on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Invasive Alien Plant (IAP) in South Korea. Ph. D. Dissertation, Andong University, Andong. 

  16. Kang, D. S. 2004. The flora of northern region in Gyeonggi- Province. Ph. M. Dissertation, Daejin University, Pocheon. 

  17. Kim, B. S. 2009. Studies on the flora and vegetation of Molundae. Ph. M. Dissertation, Donga University, Busan. 

  18. Kim, D. H. 2012. A study on the floral changes of urban restoration stream : On the case of Cheonggye-cheon, Ph. M. Dissertation, Sangmyung University, Seoul. 

  19. Kim, E. K., Kil, J. H., Joo, Y. K. and Jung, Y. S. 2015. Distribution and botanical characteristics of unrecorded alien weed Spartina anglica in Korea. Weed Turf. Sci. 4, 65-70 

  20. Kim, G. Y. 2001. Study on the distribution and growth of Vascular hydrophythes in the lower part of the Nakdong river, Ph. M. Dissertation, Donga University, Busan. 

  21. Kim, J. K. 2014. Analysis on the floral change before and after the rainy season in natural stream restoration work : a case study of Pocheon cheon river, Ph. M.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22. Kim, J. S. 2016. A research review for establishing effective management practices of the highly invasive cordgrass (Spartina spp.). Weed Turf. Sci. 5, 111-125. 

  23. Kim, Y. H. 2015. A model of risk assessment for alien plants in urban area : The case of Seoul. Ph. D. Dissertation, Dongguk University, Seoul. 

  24. Lee, C. B. 2006. Coloured flora of Korea (I, II), p. 914 / 910, Hyangmoonsa, Seoul. 

  25. Lee, C. W., Cho, H. J., Kang, M. j., Huh, M. K., Hawng, I. C. and Choi, B. K. 2015a. Study of the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Busan city, South Korea. J. Life Sci. 25, 1244-1254. 

  26. Lee, C. W., Hwang, I. C., Lee, H. H. M., Song, H. R. and Kim, J. M. 2015b. Classification review and ecological character of Paspalum distichum L., invasive species, in Korea. Proceedings of the Korean Ecology and Environmental Science Conferences. February 17-19. Hanyang University, Seoul. 

  27. Lee, D. B. and Kim, Y. C. 1961. A Historical review of some plants of American origin in Korea. J. Plant Biol. 4, 25-30. 

  28. Lee, J. H. and Moon, S. G. 2007. The flora of Jangsanbong. J. Environ. Sci. 16, 881-889. 

  29. Lee, K. R., Moon, S. G. and Lee, J. H. 2011. The flora of Mt. Jang in Busan. J. Environ. Sci. 20, 443-455. 

  30. Lee, W. C. 1996. Coloured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 624, Academy, Seoul. 

  31. Lee, Y. J. 2000. Flora and vegetation of the Naktong river mouth. Ph. M.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Daegu. 

  32. Lee, Y. N. 2007. New flora of Korea (I,II), p. 975 / 886, Kyohak, Seoul. 

  33. McNeely, J. A. 2001, The great reshuffling: Human dimensions of invasive alien species, p. 212, IUCN. 

  34. Ministry of Environment and NIER 2012. Invasive species, NIER, 178. 

  35. Moon, S. G., Sung, J. S. and Lee, J. H. 2008. The flora of delta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J. Environ. Sci. 17, 1331-1341. 

  36.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4. Invasive species monitoring (I), p. 212, NIER. 

  37. Park, S. H. 2009a.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p. 572, Ilchokak, Seoul. 

  38. Park, K. H. 2009b. The flora of Mt. Yun in Busan, Ph. M. Dissertation, Kyungsung University, Busan. 

  39. Pimentel, D. 2002. Biological invasions: economic and environmental costs of alien plant, animal, and microbe species, p. 548, CRC press. 

  40. Shinners, L. H. 1954. Notes on North Texas Grasses. Rhodora, 56, 25-38. 

  41. Vitousek, P. M. and Walker, L. R. 1989. Biological invasion by Myrica fayain Hawaii: plant demography, nitrogen fixation, ecosystem effects. Ecol. Monogr. 59, 247-265. 

  42. Vivrette, N. J. and Muller, C. H. 1977. Mechanism of invasion and dominance of coastal grassland by Mesembryanthemum crystallinum. Eco. Mono. 47, 301-318. 

  43. Yang, S. Y., Jang, H. D., Nam, B. M., Chung, G. Y., Lee, R. Y. and Oh, B. U. 2015. Original article : A floristic study of Ulleungdo island in Korea. Sigmul Bunryu Hag-hoeji 45, 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