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드라미 쌀 품종의 취반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Cooking Properties of 'Bodeurami' Rice Cultivar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33 no.2, 2017년, pp.209 - 217  

정희남 (순천대학교 생명산업과학대학 조리과학과) ,  최옥자 (순천대학교 생명산업과학대학 조리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ooking properties of Bodeurami and Ilmi to promote consumption of rice. Methods: The properties of Bodeurami and Ilmi such as proximate composition, Hunter's color value, water absorption rate, and cooking properties as well as Hunter's color valu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쌀의 소비를 증가시키고 주식으로 폭 넓게 소비되기 위해서는 고품질 쌀의 개발과 더불어 품종별 쌀의 품질특성과 취반특성의 규명을 통하여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쌀 소비확대와 취반미의 다양화를 위해 최근 개발된 쌀 품종인 보드라미 백미와 현미의 취반특성, 물성, 보온 및 실온저장 중 특성, 관능검사 등을 일반미 품종의 백미, 현미와 비교분석하여 보드라미 백미와 현미의 다양한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쌀 소비 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보드라미 및 일미 현미와 백미의 취반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쌀의 조단백, 조지방, 조회분 함량은 보드라미와 일미 모두 현미에서 높게 나타났다.
  • 설갱과 흑진주를 교배 조합한 연질흑미 품종인 흑설은 현미밥 특성이 우수하다고 발표되었으나, 폭넓게 소비되지 못하고 있다(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0). 최근 현미의 취반성 개선을 통해 국민건강을 향상시키고 쌀 가공적성을 높여 쌀 소비촉진에 기여할 목적으로 일반미에 비하여 쌀의 경도가 낮은 보드라미 품종을 개발하였다. 보드라미 품종에 대한 연구로 보드라미 백미를 이용한 쌀 식빵(Choi OJ 등 2015a), 잉글리쉬 머핀(Choi OJ 등 2015b)에 대하여 보고되었는데 쌀의 경도가 낮은 보드라미의 백미의 경우 일반 백미에 비하여 제빵 및 가공적성이 높아 가공식품 원료로 우수하다고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밥의 식미 차이를 유발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밥의 식미는 쌀의 품종, 산지, 재배조건에 따른 성분특성, 건조, 저장, 도정 등 가공특성 및 가수량, 수침, 가열 등의 취반조건에 따라 차이가 있다(Min BK 등 1992,Han GJ 등 2008).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찰기가 있고 윤기가 있으며, 완립도가 높은 밥이 우수하게 평가되기 때문에(Cho EK 등 2014), 현미를 밥의 형태로 이용할 경우, 취반이 용이하고 적절한 식감을 줄 수 있는 쌀품종의 개발과 가공방법 선정이 중요하다(Kang EJ 등 2013).
보드라미 및 일미 현미와 백미의 취반특성을 비교한 결과, 수분흡수력과 부피팽창율에서 나타나는 차이는? 침지시간에 따른 쌀의 수분흡수특성은 백미가 현미보다 더 높았고, 백미는 75분, 현미는 4시간까지 수분흡수율이 급속하게 증가하였다. 취반특성을 분석한 결과, 수분흡수력, 부피팽창율은 현미에 비해 백미에서 높았고, 보드라미와 일미 간에 차이가 있었다. 취반 직후와 보온(70°C) 및 실온(25°C) 저장 후 쌀밥의 경도는 모든 시료에서 저장 후 증가하였고, 보드라미 백미와 일미 현미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저장 후 경도의 증가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백미 대비 현미의 특징은 무엇인가? 최근 사회·문화적 변화로 인한 1인 가구 가족형태가 증가하면서 즉석밥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고, 건강, 웰빙 트랜드가 지속되면서 현미밥, 흑미밥, 오곡밥 등 잡곡류 제품 시장이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Foodtoday 2017). 현미는 백미에 비해 식이섬유를 비롯한 각종 영양성분들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쌀가루, 시리얼, 죽, 즉석밥, 누룽지 등의 다양한 가공품으로 생산되고 있으나, 밥 짓기가 어렵고 거친 식감으로 인해 소비자의 요구에도 불구하고 소비가 크게 확대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Kim JM 등 2012). 취반 시 불림과정 없이 취반이 용이하고, 부드러운 식감, 높은 소화 흡수율을 가진 가정용 밥쌀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어, 삼각김밥, 도시락, 냉동밥, 무균포장밥 등의 가공밥 시장에도 가공특성과 영양성이 우수한 쌀 품종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OAC. 200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7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p 33-36. 

  2. Cho EJ, Kim SK. 1990.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rown and milled rices during storage. J Korean Agric Chem Soc 33(1):24-33. 

  3. Cho EK, Wu HJ, Kim BC, Yoo YM, Jung HY, Lee MY. 2014. Effect of cooking conditions on the quality of cooked rice in home meal replacement products. Food Eng Prog 18(1): 7-14. 

  4. Choe JS, Ahn HH, Nam HJ. 2002. Comparison of nutritional composition in Korean ric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5):885-892. 

  5. Choi ID. 2010.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ice cultivars with different amylose cont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9):1313-1319. 

  6. Choi OJ, Jung HN, Shin SH, Kim YD, Shin JH, Shim KH. 2015a. Quality characteristics of gluten-free rice bread formulated with soft-type rice flour mixed with black-rice flour.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26(3):447-456. 

  7. Choi OJ, Shim KH, Ma EB, Lee S, Son KS, Jung HN. 2015b. Quality characteristics of english muffin with powdered, soft and hard type rice flour by different grinding methods. Korean J Food Cook Sci 31(5):544-550. 

  8. Chun A, Song J, Hong HC, Son JR. 2005. Improvement of cooking properties by milling and blending in rice cultivar Goami2. Korean J Crop Sci 50(S):88-93. 

  9. Chun A, Song J, Kim KJ, Kim JH, Son JR, Oh YJ. 2007. Sensory and quality evaluation of aseptic-packaged cooked rice by cultivar. Korean J Crop Sci 52(4):439-446. 

  10. Foodtoday. 2017. A 20-year-old 'Hetbahn' become a home food for 'Honbapjok' (the tribe of people who eat alone). Available from: http://www.foodtoday.or.kr/news/article.html?no146415. Accessed April 18, 2017. 

  11. Han GJ, Park HJ, Lee HY, Park YH, Cho YS. 2008. Cooking techniques to improve the taste of cooked rice: Optimal cooking conditions for top rice cultivars. Korean J Food Cook Sci 24(2):188-197. 

  12. Jun HI, Cha MN, Song GS, Yoo CS, Kim YT, Kim YS. 2011.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cooking quality of naked waxy barley (Saechalssal bori). Korean J Food Preserv 18(2):165-170. 

  13. Kang EJ, Yoo YM, Cho EK, Choi EH, Jeon HR, Lee JK. 2013. Effects of infrared heating on cooking properties of brown rice. Food Eng Prog 17(1):19-23. 

  14. Kang KJ, Lho IH. 1998. Hydration and hot-water solublilization of milled rice during cook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0(3):502-508. 

  15. Kang MY, Choi YH, Choi HC. 1997. Comparison of some characteristics relevant to rice bread processing between brown and milled rice. Korean J Soc Food Sci 13(1):64-69. 

  16. Kim HW, Oh SK, Kim DJ, Yoon MR, Lee JH, Choi IS, Kim YG, Cha KN. 2012. Changes in contents of nutritional components and eating quality of brown rice by pericarp milling. Korean J Crop Sci 57(1):35-40. 

  17. Kim JH, Moon JE, Kang MY, Lee SC. 2013. A comparison of cooking quality on commercial eco-friendly functional rice. Korean J Crop Sci 58(4):451-458. 

  18. Kim JM, Yu M, Shin M. 2012. Effect of mixing ratio of white and germinated brown rice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xtruded rice flours. Korean J Food Cook Sci 28(6):813-820. 

  19. Kim KJ, Woo KS, Lee JS, Chun A, Choi YH, Song J, Suh SJ, Kim SL, Jeong HS. 2008.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ikhye (Korean traditional rice beverage) with specialty rice variet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11):1523-1528. 

  20. Kim YA. 1998. Microwave cooking of rice (II) -The comparison with pressure and electric cooker. Korean J Soc Food Sci 14(4):416-420. 

  21. Lee MK, Park JS, Na HS. 2010.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Olbyossal (parboiled rice). Korean J Food Preserv 17(2): 208-213. 

  22. Lee SH, Km MY, Kim HY, Ko SH, Shin MS. 2010. Comparison of rice properties between rice grown under conventional farming and one grown under eco-friendly farming using hairy vetch.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11):1684-1690. 

  23. Lee SJ, Kong TI, Cheong C. 2015. Characteristics of steeping of rice and fermentation of rice koji depending on the milling degrees. J Korea Acad-Ind Coop Soc 16(8):5384-5393. 

  24. Lee SJ, Lee YC, Kim SK. 2008. Comparison of cooking properties between imported and domestic rices according to cooking method and added water ratio. Korean J Food Nutr 21(4):463-469. 

  25. Min BK, Hong SH, Shin MG, Jung J. 1992.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the amount of added water for rice cooking by extrusion test of cooked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26(1):98-101. 

  26. Moneytoday. 2016. "Bopsim is an archaic word", in over 30 years, rice consumption cut in half. Available from: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6012909581911787&outlink1. Accessed October 1, 2016. 

  27.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2016. Development of Bodeurami with brown rice only. Available from: http://www.nics.go.kr/bbs/view.do?bbsIdresearch&bbsSn202831&m100000126. Accessed December 21, 2016. 

  28. Oh SK, Kim DJ, Cheun A, Yoon MR, Hong HC, Choi IS, Oh YJ, Oh KB, Kim YK. 2010. Quality evaluation of Juanbyeo as aseptic-packaged cooked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42(6):721-726. 

  29. Park JH, Shin MS. 2016. Physicochemical and cooking characteristics of non-waxy soft brown rice. Korean J Food Cook Sci 32(5):531-540. 

  30.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0. Heugseol (Suwon 505). Available from: http://www.nongsaro.go.kr/portal/ps/psz/psza/contentMain.ps?menuIdPS00112&sTypesCntntsSj&tabAtFC&sText%ED%9D%91%EC%84%A4(%EC%88%98%EC%9B%90505%ED%98%B8)&totalSearchYnY. Accessed April 9, 2017. 

  31. Soft Brown Rice. 2010. Soft brown rice. Available from: http://www.부드러운현미.kr/product_info/product_info_5.asp. Accessed November 10, 2016. 

  32. Statistics Korea. 2016. Food grain consumption in 2015.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7/10/index.board?bmoderead&aSeq351289. Accessed October 9, 2016. 

  33. Yoon MR, Chun A, Oh SK, Ko SH, Kim DJ, Hong HC, Choi IS, Lee JH. 2011.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ndosperm starch and breadmaking quality of rice cultivars. Korean J Crop Sci 56(3):219-225. 

  34. Yoon MR, Lee JS, Lee JH, Kwak J, Chun A, Won YJ, Kim BK. 2014. Comparison of textural properties in various types of brown rice. Korean J Food Nutr 27(2):294-301. 

  35. Yoon MR, Oh SK, Lee JH, Kim DJ, Choi IS, Lee JS, Kim CK. 2012. Varietal variation of gelatinization and cooking properties in rice having different amylose contents. Korean J Food Nutr 25(4):762-7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