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어린이집 유아들이 공용으로 사용하는 수건의 미생물 오염도와 분리된 식중독 미생물의 장독소 유전자 및 장독소 생산 특성을 분석하여 어린이집 유아 사용 수건의 위생안전성을 확보하고자 어린이가 손 씻은 후 공용으로 사용하는 수건 22개 (사용 전 7개, 사용 중 15개)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일반세균수는 평균 6.2 log CFU/100 $cm^2$로 검출되었고 진균수는 평균 4.1 log CFU/100 $cm^2$로 검출되었으며 대장균군은 사용 전 수건의 경우 7건 중 4건 (57.1%), 사용 중인 수건의 경우 15건 모두에서 (100%) 검출되었다. 어린이 사용 수건의 미생물 오염도가 높게 나타나 수건의 위생적인 살균 세탁 및 상대습도가 낮은 곳에 보관하는 등의 보관 방법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Salmonella spp.의 경우 실험에 사용된 모든 수건에서 검출되지 않았으나, Staph. aureus는 22건 중 5건 (22.7%), B. cereus는 11건 (50.0%)에서 검출되어 B. cereus 오염이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Staph. aureus 장독소 유전자와 독소 단백질은 모두 불검출 되었으나 분리 동정된 11균주의 B. cereus 장독소 유전자 실험 결과 hblC, hblD, hblA 유전자가 각각 72.7, 72.7, 54.5% 검출되고 nheA, nheB, nheC 유전자가 각각 81.8, 72.7, 54.5% 검출되었으며 cytK, entFM 장독소 유전자는 각각 45.5, 90.0% 검출되었다. B. cereus 장독소 실험결과 HBL 장독소는 11균주 중 8균주 (72.7%), NHE 장독소는 5균주 (45.5%) 검출되었고 HBL과 NHE 장독소 중 하나 이상을 생산하는 B. cereus 균주는 10균주 (90.9%)로 나타났다. 수건에 오염된 B. cereus 균주의 교차오염에 따른 식중독 위험성이 상존하는 것으로 나타나 개인별 수건 또는 종이 타올 사용을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on commonly used hand towels in the child care centers and to investigate the toxin gene and toxin production ability of food-borne pathogens. A total of 22 commonly used hand towels including 7 for before use and 15 for during 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유아들이 공용으로 사용하는 수건의 미생물 오염도와 분리된 식중독 미생물의 장독소 유전자 및 장독소 생산 특성을 분석하여 어린이집 유아 사용 수건의 위생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발생 환자 수를 기준으로 분석했을 때 식중독 발생에 가장 취약한 장소는? 7%, 가정집 0.7%로 단체급식을 제공하는 집단급식소가 식중독 발생에 가장 취약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 집단급식소의 식중독 발생 원인은 조리기구, 스폰지, 행주 등에 의한 교차오염과2) 식재료의 안전성 확보 미흡과 시설 설비의 부족3), 손 위생관리 부적절 등 불결한 개인위생 관리가 주요 원인으로 보고되고 있어4) 손 씻기 등 개인위생 관리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다고 보고 되고 있다5).
단체급식을 제공하는 집단급식소에서 식중독이 발생하는 주요 원인은? 7%로 단체급식을 제공하는 집단급식소가 식중독 발생에 가장 취약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 집단급식소의 식중독 발생 원인은 조리기구, 스폰지, 행주 등에 의한 교차오염과2) 식재료의 안전성 확보 미흡과 시설 설비의 부족3), 손 위생관리 부적절 등 불결한 개인위생 관리가 주요 원인으로 보고되고 있어4) 손 씻기 등 개인위생 관리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다고 보고 되고 있다5).
어린이집 유아들이 손 씻은 후 공용 수건을 이용하면 어떤 위험이 있는가? 그러나 대부분의 보육시설에서는 설치 및 운영의 곤란함으로 열풍 건조기나 종이 타올보다는 공용 수건을 이용 어린이 들의 손을 건조하고 있다. 따라서 어린이집 유아들이 손 씻은 후 사용하는 공용 수건에 대한 위생관리가 불충분하면 미생물에 오염된 수건을 통한 교차오염으로 보육시설 내집단식중독 발생 가능성이 상존한다 하겠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면 학생 손 위생에 대한 미생물학적 위해 평가16), 조리종사자의 손 위생에 관한 연구17), 살균소독제를 이용한 조리기구 등에 대한 소독 효과 연구18) 등 초등학생 이상의 손과 조리기구의 미생물학적 위해분석에 국한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Information of Food Poison. Available at: http://www.kfda.go.kr/e-stat. Retrieved date: 2012 October 17. 

  2. Zhao, P., Zhao, T., Dolyle, M.P., Rubino, J.R. and Meng, J.: Development of a model for evaluation of microbial crosscontamination in the kitchen. J. Food Prot., 61(8), 960-963 (1998). 

  3. Kim, J.H., Kim, Y.S. and Han, J.S.: Disinfection state and effective factors of facilities and utilities of elementary school in Busan-based in the characteristics of dietitian, employee and foodservice. J. Korean Diet. Assoc., 10(1), 34-46 (2004). 

  4. Kang, Y.J.: Handwashing, essential for safe food preparation, a technical review. J. Korean Public Health Assoc., 27(4), 269-276 (2001). 

  5. Jeong, J.S., Choi, J.K., Jeong, I.S., Paek, K.R., In, H.K. and Park, K.D.: A nationalwide survey on the hand washing behavior and awareness. J. Prev. Med. Public Health, 40(3), 197-204 (2007). 

  6. Kim, J.B., Park, Y.B., Kim, K.C., Kim, D.H., Kang, S.H., Lim, Y.S., Park, P.H., Yoon, M.H., Lee, J.B.: Evaluation and reduction of microbiological hazards of spoon and spoon case carried by nursery school childre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1), 116-122 (2011). 

  7. Lee, Y.M.: The different view point of child education center food service program between the parents and the teachers. Korean J. Comm. Nutr., 10(5), 654-667 (2005). 

  8. Central Childcare Information Center: Statistics on Child Care Service. Available at: http://central.childcare.go.kr. Retrieved date: 2012 October 17. 

  9. Jang, M.L. and Kim, Y.B.: A study of the actual conditions of kindergarten meals program. J. Korean Soc. Early Childhood Education, 23(3), 261-284 (2003). 

  10. Min, J.H. and Lee, Y.K.: Microbiological quality evaluation for implementation of HACCP system in day-care center foodservice operation. I. Focus on heating process and afterheating process. Korean J. Nutr., 37(8), 712-721 (2004). 

  11. Min, J.H. and Lee, Y.K.: Microbiological quality evaluation for implementation of HACCP system in day-care center foodservice operation. II. Focus on non-heating process. Korean J. Nutr., 37(8), 722-731 (2004). 

  12. Lee, M.H., Kim, H.O., Hyoung, H.K., Kim, H.S.: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related to obesity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J. Korean Academy Community Nursing, 18(3), 469-479 (2007). 

  13. Kim, J.E., Moon, J.H., Shin, H.A., Lee, J.S., Kwon, S.H., Lee, J.S., Om, A.S.: Microbiological effect of hand safety after hand washing education for preschool children in a day care center. Korean J. Culinary Research, 17(3), 141-150 (2011). 

  14. Park, J.S., Kim, D.B., Min, H.G.: Comparison of desiccation methods after hand washing for removing bacteria. J. Korean Biol. Nurs. Sci., 13(1), 8-15 (2011). 

  15. The National Center of Hand washing Campaign: The correct hand washing. Available at: http://www.handwashing.or.kr. Retrieved date: 2012 October 17. 

  16. Lee, H. and Choi, S.M.: Hand washing awareness among students in Seoul and antibiotic resistance of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on their hands. J. Env. Hlth. Sci., 35(4), 278-286 (2009). 

  17. Park, J.Y., Kim, J.S. and Kim, J.G.: A study on the hand washing awareness and practice of food-service employees and the load of index microorganisms on the hands. J. Env. Hlth. Sci., 36(2), 95-107 (2010). 

  18. Kim, Y.J., Choi, K.D., Shin, I.S.: Bactericidal activity of strongly acidic electrolyzed water on various vegetables and kitchen apparatu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5), 776-781 (2010). 

  19. Seol, H.R., Park, H.S., Park, K.H., Park, A.K., Ryu, K.: Microbiological evaluation of food and kitchen environments in childcare center and kindergarten foodservice opera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2), 252-260 (2009). 

  20. Chung, J.K., Kim, M.J., Kee, Y.H., Choi, M.H., Seo, J.J., Kim, S.H., Park, J.T., Kim, M.G. and Kim, E.S.: Prevalence of food poisoning bacteria on hands in various age groups. J. Fd. Hyg. safety, 23(1), 40-50 (2008). 

  21. Kim, J.B., Hur, E.S., Kang, S.H., Kim, D.H., Do, Y.S., Park, P.H., Park, Y.B., Yoon, M.H., Lee, J.B.: Prevalence of microbiological hazard on nursery school children's hands and effect of hand washing education. J. Fd. Hyg. safety, 27(1), 30-36 (2012). 

  22.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ood Code of Korea, Seoul, Korea. pp. 97-117 (2005). 

  23. Kim, J.B., Kim, J.M., Park, Y.B., Han, J.A., Lee, S.H., Kwak, H.S., Hwang, I.G., Yoon, M.H., Lee, J.B., Oh, D.H.: Evaluation of Various PCR Assays for Detection of Emetic-Toxin-Producing Bacillus cereus. J. Microbiol. Biotechnol. 20(7), 1107-1113 (2010). 

  24. Kim, J.B., Kim, J.M., Kim, C.H., Seo, K.S., Park, Y.B., Choi, N.J., Oh, D.H.: Emetic toxin producing Bacillus cereus Korean isolates contain genes encoding diarrheal-related enterotoxins. Int. J. Food. Microbiol., 144(1), 182-186 (2010). 

  25. Kim, J.G., Park, J.Y. and Kim, J.S.: A study on the hand hygiene of food handlers of food court and cafeteria in university campus. J. Fd. Hyg. safety, 25(2), 133-142 (2010). 

  26. Park, H.J. and Bae, H.J.: Evaluation of microbiological hazards of hygiene by the customers' hands in university foodservice oper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7), 940-944 (2006). 

  27. Doyle, M.P., Ruoff, K.L., Pierson, M., Weinberg, W., Soule, B. and Michaels B.S.: Reducing transmission of infectious agents at home. Dairy Food Environ. Sanit., 20(5), 330-337 (2000). 

  28. Kim, N.Y., Kim, Y.R., Kim, M.K., Cho, D.W., Kim, J.S.: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irborne bacteria and fungi in indoor environment of elementary school. Korean J. Microb., 43(3), 193-200 (2007). 

  29. Lee, K.H., Lyu, E.S. and Lee, K.Y.: A study on the sanitary status at various types of restaurants in Changwon c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4), 747-759 (2001). 

  30. Dinges, M.M., Orwin, P.M. and Schli, evert. P.M.: Exotoxins of Staphylococcus aureus. Clin. Microbiol. rev., 13(1), 16-34 (2000). 

  31. Jo, S.H., Kim, C.I. and Ha, S.D.: Outbreak pattern forecasting of food-borne disease in group food services in Korea. J. Fd. Hyg. Safety, 24(1), 19-26 (2009). 

  32. Kim, J.B., Jeong, H.R., Park, Y.B., Kim, J.M., Oh, D.H.: Food poisoning associated with emetic-type of Bacillus cereus in Korea. Foodborne Pathog. Dis., 7(5), 555-563 (2010). 

  33. Kim, J.B., Kim, J.M., Cho, S.H., Oh, H.S., Choi, N.J. and Oh, D.H.: Toxin genes profiles and toxin production ability of Bacillus cereus isolated from clinical and food samples. J. Food Sci., 76(1), T25-29 (2011). 

  34. Schoeni, J.L., Wong, A.C.L.: Heterogeneity observed in the components of haemolysin BL, an enterotoxin produced by Bacillus cereus. Int. J. Food Microbiol., 53(2-3), 159-167 (1999). 

  35. Kim, J.B., Park, J.S., Kim, M.S., Hong, S.C., Park, J.H. and Oh, D.H.: Genetic diversity of emetic toxin producing Bacillus cereus Korean strains. Int. J. Food Microbiol., 150(1), 66-72 (2011). 

  36. Kim, J.B., Kim, J.M., Kim, S.Y., Kim, J.H., Park, Y.B., Choi, N.J. and Oh, D.H.: Comparison of enterotoxin production and phenotypic characteristics between emetic and enterotoxic Bacillus cereus. J. Food Prot., 73(7), 1219-1224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