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장을 첨가한 밥의 식미와 기능성 함량을 높이고자 하여 첨가비율에 따른 취반방법을 달리하여 밥을 제조하고, 그 취반특성과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다. 기장 첨가비율에 따른 호화특성은 첨가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강하점도를 제외한 항목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기장 첨가비율별 수분결합력과 팽윤력은 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용해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취반 밥에 대한 식감 특성은 기장 첨가비율에 따라 백미와 유사한 결과를 보여 영향을 많이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장 첨가비율 취반방법에 따른 취반 밥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기장 20% 첨가구에서 발효주정을 첨가하여 취반한 경우가 일반밥솥 및 압력밥솥에서 각각 $184.33{\pm}2.69$$179.80{\pm}5.22{\mu}g\;GAE/g$ sample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기장 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취반방법별 백미의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2.97~5.19 mg TE/100 g sample로 나타났으며, 기장 첨가구는 4.20~7.50 mg TE/100 g sample로 나타났다.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백미에서 14.07~15.83 mg TE/100 g sample로 나타났으며, 기장 첨가구는 14.36~27.92 mg TE/100 g sample로 나타났다. 기장 20% 첨가구에서 발효주정을 첨가하여 취반한 경우 일반밥솥 및 압력밥솥에서 모두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기장을 첨가하여 밥을 지을 경우, 소량의 발효주정을 첨가하여 취반하는 것이 높은 항산화성분과 항산화 활성을 보여 산업적으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cooked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with of cooked mixed grain rice with an addition rate (0, 5, 10, 15 and 20%) of proso millet and various cooking methods. Mixed grain rice with added proso millet was cooked by general and high pressure cooking methods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잡곡류 중 하나인 기장은 대부분 혼반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기능성 증진을 위한 적정 혼합비율에 대한 연구와 기능성 강화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장을 첨가한 밥의 식미와 기능성 함량을 높이고자 첨가비율에 따른 취반방법을 달리하여 밥을 제조하고, 그 취반특성과 항산화활성 분석을 통하여 추후 잡곡류 혼합비율 산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또한 곡류에 열처리시 알코올 첨가가 기능성이 향상되는 연구(Lee 등 2016b)를 기초로 기장 첨가 잡곡밥의 기능성 증진을 위해 발효주정 첨가효과를 확인하였다.
  • 쌀을 3회 수세한 다음 물에 침지(25℃, 30분)한 후, 체에 받쳐 물기를 제거하였으며, 가수량은 물 120 mL를 첨가하여 취반하였다. 또한 곡류에 열처리시 알코올 첨가가 기능성이 향상되는 연구(Lee 등 2016b)를 기초로 기장 첨가 잡곡밥의 기능성 증진을 위해 발효주정 첨가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발효주정을 첨가하여 취반 할 경우는 예비 실험을 통하여 적정 첨가비율을 설정하였으며, 물 100 mL와 발효주정 20 mL를 넣어 취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잡곡은 무엇을 말하는가? 잡곡은 식량작물 중 백미와 찹쌀을 제외한 보리, 율무, 콩, 조, 기장, 수수, 옥수수 등을 말하며, 쌀과 비교하여 열등 작물로서 여겨져 왔으나, 잡곡에는 비타민, 무기질 및 식이섬유가 쌀의 2~3배 정도 많고, 기타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건강을 유지시키는 보조식량으로서의 역할이 중요시되고 있다(Kim & Lee 2006). 주식으로 섭취하는 쌀은 식감 등 때문에 밥을 지어먹을 때는 보통 백미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잡곡이 건강을 유지시키는데 중요시되는 이유는? 잡곡은 식량작물 중 백미와 찹쌀을 제외한 보리, 율무, 콩, 조, 기장, 수수, 옥수수 등을 말하며, 쌀과 비교하여 열등 작물로서 여겨져 왔으나, 잡곡에는 비타민, 무기질 및 식이섬유가 쌀의 2~3배 정도 많고, 기타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건강을 유지시키는 보조식량으로서의 역할이 중요시되고 있다(Kim & Lee 2006). 주식으로 섭취하는 쌀은 식감 등 때문에 밥을 지어먹을 때는 보통 백미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기장의 주성분은? )은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의 한해살이풀로 수확량이 적고 주식으로 이용하기도 부적합하여 재배가 많지 않다. 주성분은 당질이고, 쌀에 비해 소화율은 떨어지나, 단백질, 지방질, 비타민 A 등이 풍부하고, 떡을 만들면 소화율이 향상된다(Ha & Lee, 2001). 또한 기장은 다른 millet 종류에 비하여 단백질 및 무기성분 함량이 다소 높은 편이며, 개간지, 척박지와 가뭄에 적응성이 매우 높으며, 배수불량이나 건조환경 등 불량환경에도 잘 적응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Park 등 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Choi BH. 1992. Traditional pearl millet foods in Africa and Asia. Korean J Breed 24:376-385 

  2. Dewanto V, Xianzhong W, Liu RH. 2002 Processed sweet corn has higher antioxidant activity. J Agr Food Chem 50:4959-4964 

  3. Ha YD, Lee SP. 2001. Characteristics of proteins in Italian millet, sorghum and common millet.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8:187-192 

  4. Jang HL, Im HJ, Lee Y, Kim KW, Yoon KY. 2012. A survey on the preferences and recognition of multigrain rice by adding grains and legum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853-860 

  5. Jeong MS, Ko JY, Song SB, Lee JS, Jung TW, Yoon YH, Oh IS, Woo KS. 2014.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ikhye (Korean traditional rice beverage) using foxtail millet, proso millet, and sorghum.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1785-1790 

  6. Jong KS, Cho DS. 1995. Possible utilization of Panicum dichotomiflorum Michx. as a forage crop. Korean J Crop Sci 40:351-358 

  7. Jung ES, Shin DH, Doo JK, Chae SW, Kim YS, Park YM. 2010. Status of mixed grain diet by people with diabetes in Jeollabukdo and sensory evaluation of different composition of mixed grai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1049-1055 

  8. Jung HN, Choi OJ. 2014.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rice flour with different milling degree of rice cultivar "Deuraechan". Korean J Food Cook Sci 30:139-145 

  9. Kim DJ, Oh SK, Lee JH, Yoon MR, Choi IS, Lee DH, Kim YG. 2012. Changes in quality properties of brown rice after germin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4:300-305 

  10. Kim JE, Joo SI, Seo JH, Lee SP. 2009. Antioxidant and ${\alpha}$ -glucosidase inhibitory effect of tartary buckwheat extract obtained by the treatment of different solvents and enzym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989-995 

  11. Kim JM, Yu MY, Shin MS. 2012. Effect of mixing ratio of white and germinated brown rice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ies of extruded rice flours. Korea J Food Cookery Sci 28:813-820 

  12. Kim SM, Cho YS, Sung SK. 2001. The antioxidant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plan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626-632 

  13. Kim YS, Lee GC. 2006. A survey on the consumption and satisfaction degree of the cooked rice mixed with multi-grain in Seoul. Kyeonggi and Kangwon area. Korean J Food Culture 21:661-669 

  14. Konik-rose CM, Moss R, Rahman S, Appels R, Stoddard F, McMaster G. 2001. Evaluation of the 40 mg swelling test for measuring starch functionality. Starch 53:21-26 

  15. Lee HK, Hwang IG, Kim HY, Woo KS, Lee SH, Woo SH, Lee J, Jeong HS. 2010.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 and antioxidant activites of cereals and legumes in Ko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1399-1404 

  16. Lee JS, Woo KS, Chun A, Na JY, Kim KJ. 2009. Waxy rice variety-dependent variation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gokju, a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Korean J Crop Sci 54:172-180 

  17. Lee KH, Ham H, Kim HJ, Park HY, Sim EY, Oh SG, Kim WH, Jeong HS, Woo KS. 2016a. Functional components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germinated brown rice according to variety. Korean J Food Nutr 19:145-152 

  18. Lee KH, Ham H, Kim MJ, Ko J, Kim HJ, Oh SK, Jeong HS, Woo KS. 2016b. Effects of heating condition and cultivar on phenolic compounds and their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n sorghum. Academia J Biotech 4:347-352 

  19. Lee KH. 2015. Antioxidant component and sensory evaluation of mixed cereals. Korean J Food Nutr 28:196-201 

  20. Middleton E, Kandaswami C. 1994. Potential health-promoting properties of citrus flavonoids. Food Technol 48:115-119 

  21. Nieva MM, Sampietro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J Ethnopharmacol 71:109-114 

  22. Park HS, Ko MS, Kim JT, Oh KW, Pae SB. 1999.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common millet (Panicum miliaceum L.) varieties. Korean J Breed 31:428-433 

  23. Park HY, Shin DS, Woo KS, Sim EY, Kim HJ, Lee SK, Won YJ, Lee SB, Oh SK. 2016. Mechanical quality evaluation of rice cultivars that could potentially be used to produce processed cooked rice. Korean J Crop Sci 61:145-152 

  24. Wi E, Park J, Shin M. 2013.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cooking quality of Korean organic rice varieties. Korean J Food Cookery Sci 29:785-794 

  25. Woo KS, Ko JY, Kim JI, Lee JS, Song SB, Cho JM, Jung TW, Kim KY, Oh IS. 2013. Cooking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ooked rice according to the addition of glutinous and non-glutinous sorghum. Korean J Crop Sci 58:399-407 

  26. Woo KS, Ko JY, Song SB, Lee JS, Kang JR, Oh BG, Nam MH, Jeong JH, Jeong HS, Seo MC. 2010.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vinegars fermented from cereal cops with incalgyu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1171-1178 

  27. Yoon ST Xu, ZY, Kim SM, Kim CY. 2008.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common millet germplasm. Korean J Crop Sci 53:394-400 

  28. Yun HR. 2007. Properties of milled, brown and germinated brown rice flours preparation of poundcake using them. Master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honnam,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