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위축 마우스 모델에서 한국산 겨우살이 추출물에 의한 단백질 합성 신호전달 경로의 활성화
Activation of Signaling Pathways for Protein Synthesis by Korean Mistletoe (Viscum album coloratum) Extract in a Mouse Model of Muscle Atrophy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30 no.2, 2017년, pp.371 - 377  

정주성 (한동대학교 생명과학부) ,  박춘호 ((주) 미슬바이오텍) ,  김인보 (한동대학교 생명과학부) ,  김종배 (한동대학교 생명과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uscle atrophy is characterized by a decrease in the mass of the muscle. With an increase in life expectancy and chronic illnesses, the incidence of muscle atrophy is increasing and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is decreasing. Thus, reducing muscle atrophy is of high clinical and socio-economic i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의 보고에서 겨우살이 추출물은 분화된 생쥐의 근육 세포주와 근위축 모델에서 근육단백질의 분해에 관여하는 Atrogin-1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이 확인되었다(Jeong 등 201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겨우살이 추출물에 의한 운동 및 근육기능 향상 능력에 대한 또 다른 분자기전을 살펴보기 위하여 신경절단(denervation)시켜 근위축이 유발된 생쥐에 겨우살이 추출물을 급여한 후, 이들의 대퇴사두근(quadriceps)에서 근위축을 억제하고, 근비대(muscle hypertrophy)를 촉진할 수 있는 단백질 합성을 유도하는 신호전달경로가 활성화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겨우살이 추출물을 이용한 근기능 개선 및 근위축 억제기능이 있는 기능성 식품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본 연구에서는 겨우살이 추출물에 의한 근위축 억제 및 근육비대 활성에 대한 분자기전을 밝히기 위하여 근위축이 유도된 생쥐모델에서 겨우살이 추출물이 기존에 알려진 근육단백질의 합성을 유도하는 신호전달 경로를 활성화 시키는지의 여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겨우살이 추출물은 효과적으로 단백질 합성에 관여하는 Akt/mTOR/S6K 신호전달 경로를 활성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위축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사과껍질 유래 성분은? 따라서 근위축을 효과적으로 저해하기 위해서는 단백질 분해경로에 관련되는 신호전달 경로를 억제할 뿐 아니라, 근육의 양의 증가와 근육세포의 활성에 필수적인 단백질의 생합성에 관련된 신호전달 경로들을 상승조절(up-regulation)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최근 미국 아이오와 대학 연구진은 노화에 의해 근육이 쇠약해지는 근위축(muscle atrophy)을 억제하는 물질을 스크리닝하여 사과껍질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우르솔산(ursolic acid)의 효능을 보고한 바 있다. 우르솔산을 투여한 생쥐들은 대조군에 비해 근육이 비대해지고 근력도 강화되었다고 발표하였는데, 특히 대퇴사두근에서 단백질 합성에 필요한 Akt의 활성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Kunkel 등 2012).
근육이란? 근육(skeletal muscle)은 정상인의 체중의 약 40~50% 차지하는 우리 몸에서 가장 큰 조직이며, 운동과 호흡, 심장박동 등과 같은 필수적인 기능을 담당한다(Nader GA 2005; Ehrenborg& Krook 2009; Frontera & Ochala 2015). 이처럼 인체의 활동에 중요한 근육의 양은 사람의 경우, 50세 이상이 되면 해마다 1~2%씩 줄어들기 시작하여 80세가 되면 최대 근육량의 약 절반 정도로 그 양이 크게 감소하여 많은 노인들이 근육감소증(sarcopenia) 또는 근위축증(muscle atrophy)을 겪게 되고, 이에 따른 신체기능의 감소, 장애 및 낙상 등으로 인한 삶의 질의 저하가 빈번히 일어나고 있다(Won HS 1991; Rosenberg IH 1997; Rossi 등 2008).
근위축과 관련된 단백질분해 촉진 단백질은? 근위축의 발생은 근섬유 단백질(myofibrillar protein)들의 분해는 증가하는 반면에, 단백질분해를 촉진하는 Atrogin-1 및 Murf-1과 같은 단백질은 증가하는 것과 관련된 것으로 보고되었다(Jackman & Kandarian 2004). 구체적으로 근위축 현상에서 마이오신(myosin)을 비롯한 근육 단백질들을 분해하는 유비퀴틴-프로테아좀(ubiquitin-proteasome) 시스템이 활성화 되어 근육을 구성하는 단백질들의 분해가 가속화 되고, 한편으로는 근육관련 단백질 합성에 관여하는 PI3K-Akt-mTOR 신호전달 경로의 활성이 낮아지면서 근육 단백질 합성의 억제가 함께 일어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Gomes 등 2001; Latres 등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rvisais EW, Romanelli A, Hou X, Davis JS. 2006. AKTindependent phosphorylation of TSC2 and activation of mTOR and ribosomal protein S6 kinase signaling by prostaglandin F2alpha. J Biol Chem 281:26904-26913 

  2. Bianchi L, Volpato S. 2016. Muscle dysfunction in type 2 diabetes: a major threat to patient's mobility and independence. Acta Diabetol 53:1-11 

  3. Cohen S, Nathan JA, Goldberg AL. 2015. Muscle wasting in disease: molecular mechanisms and promising therapies. Nat Rev Drug Discov 14:58-74 

  4. Cruz-Jentoft AJ, Landi F, Topinkova E, Michel JP. 2010. Understanding sarcopenia as a geriatric syndrome. Curr Opin Clin Nutr Metab Care 13:1-7 

  5. Ehrenborg E, Krook A. 2009. Regulation of skeletal muscle physiology and metabolism by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delta. Pharmacol Rev 61:373-393 

  6. Frontera WR, Ochala J. 2015. Skeletal muscle: a brief review of structure and function. Calcif Tissue Int 96:183-195 

  7. Gomes MD, Lecker SH, Jagoe RT, Navon A, Goldberg AL. 2001. Atrogin-1, a muscle-specific F-box protein highly expressed during muscle atrophy. Proc Natl Acad Sci USA 98:14440-14445 

  8. Jackman RW, Kandarian SC. 2004. The molecular basis of skeletal muscle atrophy. Am J Physiol Cell Physiol 287:C834-843 

  9. Jeong J, Park CH, Kim IB, Kim YH, Yoon JM, Kim KS, Kim JB. 2017. Korean mistletoe (Viscum album coloratum) extract regulates gene expression related to muscle atrophy and muscle hypertrophy. BMC Complement Alternat Med 17:68-77 

  10. Jung HW, Kim JW, Kim JY, Kim SW, Yang HK, Lee JW, Lee KW, Kim DW, Kang SB, Kim KI, Kim CH, Kim JH. 2015. Effect of muscle mass on toxicity and survival in patients with colon cancer undergoing adjuvant chemotherapy. Support Care Cancer 23:687-694 

  11. Jung HY, Lee AN, Song TJ, An HS, Kim YH, Kim KD, Kim IB, Kim KS, Han BS, Kim CH, Kim KS, Kim JB. 2012. Korean mistletoe (Viscum album coloratum) extract improves endurance capacity in mice by stimulating mitochondrial activity. J Med Food 15:621-628 

  12. Jung HY, Kim YH, Kim IB, Jeong JS, Lee JH, Do MS, Jung SP, Kim KS, Kim KT, Kim JB. 2013. The Korean mistletoe (Viscum album coloratum) extract has an antiobesity effect and protects against hepatic steatosis in mice with high-fat diet-induced obesity.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168207 

  13. Kienle GS, Kiene H. 2010. Review article: Influence of Viscum album L (European mistletoe) extracts on quality of life in cancer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of controlled clinical studies. Integr Cancer Ther 9:142-157 

  14. Kim IB, Jeong JS, Yoon TJ, Kim JB. 2013. Safety evaluation of Korean mistletoe extract. Korean J Food and Nutr 26: 383-390 

  15. Kim KW, Yang SH, Kim JB. 2014. Protein fractions from Korean mistletoe (Viscum album coloratum) extract induce insulin secretion from pancreatic beta cells.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e703624 

  16. Kunkel SD, Elmore CJ, Bongers KS, Ebert SM, Fox DK, Dyle MC, Bullard SA, Adams CM. 2012. Ursolic acid increases skeletal muscle and brown fat and decreases diet-induced obesity, glucose intolerance and fatty liver disease. PLoS One 7:e39332 

  17. Latres E, Amini AR, Amini AA, Griffiths J, Martin FJ, Wei Y, Lin HC, Yancopoulos GD, Glass DJ. 2005. Insulin-like growth factor-1 (IGF-1) inversely regulates atrophy-induced genes via the phosphatidylinositol 3-kinase/Akt/mammalian target of rapamycin (PI3K/Akt/mTOR) pathway. J Biol Chem 280: 2737-2744 

  18. Lee SH, An HS, Jung YW, Lee EJ, Lee HY, Choi ES, An SW, Son H, Lee SJ, Kim JB, Min KJ. 2014. Korean mistletoe (Viscum album coloratum) extract extends the lifespan of nematodes and fruit flies. Biogerontology 15:153-164 

  19. Magnuson B, Ekim B, Fingar DC. 2012. Regulation and function of ribosomal protein S6 kinase (S6K) within mTOR signalling networks. Biochem J 441:1-21 

  20. Nader GA. 2005. Molecular determinants of skeletal muscle mass: getting the "AKT" together. Int J Biochem Cell Biol 37: 1985-1996 

  21. Ohanna M, Sobering AK, Lapointe T, Lorenzo L, Praud C, Petroulakis E, Sonenberg N, Kelly PA, Sotiropoulos A, Pende M. 2005. Atrophy of S6K1(-/-) skeletal muscle cells reveals distinct mTOR effectors for cell cycle and size control. Nat Cell Biol 7:286-294 

  22. Rosenberg IH. 1997. Sarcopenia: origins and clinical relevance. J Nutr 127:990S-991S 

  23. Rossi P, Marzani B, Giardina S, Negro M, Marzatico F. 2008. Human skeletal muscle aging and the oxidative system: cellular events. Curr Aging Sci 1:182-191 

  24. Sandri M. 2008. Signaling in muscle atrophy and hypertrophy. Physiology (Bethesda) 23:160-170 

  25. Schiaffino S, Mammucari C. 2011. Regulation of skeletal muscle growth by the IGF1-Akt/PKB pathway: insights from genetic models. Skelet Muscle 1:4 

  26. Stefanovsky V, Langlois F, Gagnon-Kugler T, Rothblum LI, Moss T. 2006. Growth factor signaling regulates elongation of RNA polymerase I transcription in mammals via UBF phosphorylation and r-chromatin remodeling. Mol Cell 21:629-639 

  27. Strniskova M, Barancik M, Ravingerova T. 2002.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and their role in regulation of cellular processes. Gen Physiol Biophys 21:231-255 

  28. Won HS. 1991. Age-related changes in body growth, muscle protein content and cellular-mediated immunity and rats fed stock diets. Korean J Food and Nutr 4:133-139 

  29. Zarogoulidis P, Lampaki S, Turner JF, Huang H, Kakolyris S, Syrigos K, Zarogoulidis K. 2014. mTOR pathway: A current, up-to-date mini-review (Review). Oncol Lett 8:2367-23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