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대학급식소 작업시설과 환경의 미생물 오염도 분석 및 작업환경 실태조사
Investiga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and Working Environment in University Foodservices 원문보기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v.23 no.2, 2017년, pp.180 - 191  

박순희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문혜경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ty the probability of cross-contamination from the environment. For this, we examined foodservices at 20 universities/colleges for microbiological analysis of their working facilities and environment as well as their preventive equipment against cross-contamin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학급식소 20개소를 대상으로 작업시설과 환경에 대한 미생물 검사와 이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교차오염 방지를 위한 시설 실태조사를 병행함으로써 교차오염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대학급식소 20개소를 대상으로 작업시설과 환경에 대한 미생물 검사와 이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교차오염 방지를 위한 시설 실태조사를 병행하여 작업시설과 환경에 의한 교차 오염 가능성을 추정해 보고자 하였다.
  • 따라서 청결구역과 일반구역으로 구분 관리되어야 하는 대학급식소 환경에 대해 미생물 검사를 실시하여 교차오염의 가능성을 살펴보는 것은 식중독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로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급식소의 작업시설과 환경에 대한 미생물 오염도 분석을 실시한 후 청결구역과 일반구역으로 구분해 미생물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 동시에 교차오염 방지를 위한 급식소 시설 구비실태를 조사함으로써 환경에 의한 교차오염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대상 대학급식소에서 작업시설의 경우 청결구역보다 일반구역에서 교차오염 가능성이 높았으며, 특히 냉장고 선반에 의한 교차오염이 우려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업시설 바닥 표면과 공중낙하 미생물에 대해서는 일반구역으로 관리되어야 하는 전처리구역 및 식기세정구역에 비해 청결구역으로 관리되어야 하는 조리구역에서 교차오염 가능성이 잠재적으로 존재하여 바닥의 철저한 세척ㆍ소독 및 마른 상태 유지, 온도와 습도 낮추기, 발판소독고의 배치와 소독액 농도 확인을 개선대책으로 제시하는 바이다. 더하여 환경 위생상태는 청결도 및 기능별 구획ㆍ구분과 그에 따른 작업의 분리, 적정 공간의 확보가 교차오염 방지를 위해 필수적이므로 이에 대한 인식과 과감한 시설투자가 요구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급식소가 일반적인 학교 급식과 다르게 운영되는 점은 무엇인가? 대학급식은 대학생과 구성원을 대상으로 충분한 영양과 양질의 급식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건강과 학업 능률을 증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McCool 등 1994; Jung 2013). 국내 단체급식 시장에서 대학급식은 산업체급식, 초ㆍ중ㆍ고등학교 급식, 병원급식에 이어 네 번째로 큰 규모를 차지하나(Park 등 2007), 초ㆍ 중ㆍ고등학교 급식이 국가 지원을 받아 운영되는 것과 달리 대부분의 대학급식소는 급식 판매를 통한 자체 수익에 의존하여 운영되는 실정이며, 성인기로 전환되는 대학생을 고려해 선택 또는 부분선택 식단을 제공하고, 식권을 판매하는 등 일반적인 학교급식과는 다르게 운영된다.
교차오염의 가장 흔한 사례는 무엇인가? 교차오염이란 미생물 오염이 없어야 하는 식품에 여러 원인으로부터 미생물이 전이되는 현상을 말한다. 가장 흔한 사례는 조리되지 않은 식재료로부터 조리된 식품으로 균이 전이되는 것으로 식품 간의 직접적인 접촉은 물론 조리원의 손, 기구 및 기기, 시설이 매개해서 일어나게 된다(Kwak 등 2014). 병원균의 교차오염을 일으키는 잘못된 식품 취급은 집단 식중독의 중요한 기여 요인으로 식중독 발생 감염의 39%를 차지한 경우도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Djuretic 등 1996; Scott 2000).
대학급식소의 작업구역 구분, 구획 실행에 대한 실정은 어떠한가? 1. 조사대상 20개 급식소의 30%만 작업구역을 벽을 통해 구획ㆍ구분하고 있었다. 급식소의 70%는 구역 지정만 되어 있거나 구획 없이 하나의 작업공간으로 통합되어 있어 청결이 유지되어야 하는 조리구역의 식품ㆍ기구ㆍ시설이 전처리나 식기세정 작업에 의해 오염될 가능성이 매우 높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ae HJ, Chun HJ (2003):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of cooking utensils and working areas of foodservice establishments and hygienic improvement by implementing HACCP system. Korean J Food Cook Sci 19(2):231-240 

  2. Djuretic T, Wall PG, Ryan MJ, Evans HS, Adak GK, Cowden JM (1996): General outbreaks of infectious intestinal disease in England and Wales 1992 to 1994. Commun Dis Rep CDR Rev 6(4):R57-R63 

  3. Forsythe SJ, Hayes PR (2000): Food hygiene, microbiology and HACCP. 3rd ed. Aspen Publication. Maryland. pp.156-158 

  4. Hambraeus A, Bengtsson S, Laurell G (1978): Bacterial contamination in a modern operating suite, 2. Effect of a zoning system on contamination of floors and other surfaces. J Hyg (Lond) 80(1):57-67 

  5. Heo YS, Lee BH (1999): Application of HACCP for hygiene control in university foodservice facility - focused on vegetable dishes (Sengchae and Namul) -. J Food Hyg Safety 14(3):293-304 

  6. Jeong DK, Lyu ES (2002): The microbiological evaluation of environments and facilities at food service operations in elementary schoo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2):216-220 

  7. Jung HY (2013): A study on utilization and perceived service quality of the university foodserv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4):633-643 

  8. Kim JG (2003): A survey on the sanitary condition of kitchens in school food-service programs. J Environ Health Sci 29(2):87-93 

  9. Kim JG, Lee KM (2003): A study on the sanitary condition of kitchens and facilities of school food-service programs in elementary schools-Part 2. temperature, humidity, noise and microbiological examination. J Korean Public Health Assoc 29(3):259-268 

  10. Kim KY, Nam MJ, Nam BR, Ryu HJ, Heo RW, Shim WB, Chung DH (2010): Microbiological safety assessment to secure safety of food service in university. J Food Hyg Saf 25(1):49-58 

  11. Kim SH (2007): Institutional foodservice management. Daewangsa. Paju. pp.275-276 

  12. Kim YT (2006): Application of HACCP system for food safety of school foodservice: focusing on facilities and working and constructional environments. Masters degree thesis. Korea University. pp.81-82 

  13.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0):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s. Avaliable from: http://www.haccphub.or.kr/info/info_04_02_view.jsp?seq8208. Accessed April 9, 2012 

  14.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5): The easy HACCP management (a revised edition). Avaliable from: http://www.mfds.go.kr/index.do?x25&searchkeytitle:contents&mid1161&searchDivision&searchClass&searchword알기쉬운 HACCP관리&y10&searchSubDivision&pageNo1&seq 11024&sitecode2016-08-16&cmdv. Accessed April 24, 2017 

  15. Kwak TK, Kang YJ, Ryu K, Moon HK, Jang HJ, Lee KE, Choi JW (2014): Food safety principle & practice. Gyomoon publishers. Paju. p.305 

  16. Lee BD, Kim DW, Kim JH, Kim JM, Rhee CO, Eun JB (2006): The microbiological safety evaluation of foodservice facilities and side dishes in elementary schools and universities in the Jeolla-do region. Food Sci Biotechnol 15(6):920-924 

  17. Lee JR (2011): A study on the space planing for restaurant kitchens to improve hygiene. J Korean Digit Archit Inter Assoc 11(1):5-13 

  18. McCool CA, Smith FA, Tucker DL (1994): Dimensions non-commercial foodservice management. 94th ed. Van Nostrand Reinhold. New York. pp.39-44 

  19. Ministry of Education (2004): Sanitation guideline book for school foodservices. 2nd ed. Ministry of Education. Seoul. pp.120-122 

  20. Ministry of Education (2010): Sanitation guideline book for school foodservices. 3rd ed. Ministry of Education. Seoul. pp.12-24 

  21. Ministry of Education (2015): Sanitation guideline book for school foodservices. 4th ed. Ministry of Education. Sejong. pp.13-18 

  22. Park MK, Kim CJ, Yang IS (2007): A case study on establishment of the authority for newly-formed foodservice and the marketing strategies for college union foodservice. J Korean Diet Assoc 13(1):15-29 

  23. Park SH, Moon HK (2012): Compliance with GMP and SSOP in college foodservices by comparison of elementary and middle & high school foodservices. J Korean Diet Assoc 18(3):248-265 

  24. Ryu K, Chae HS, Kim WJ (2006):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and preparation of standard recipe for bellflower roots with seasonings served in a university foodservice operation. J Korean Diet Assoc 12(2):157-171 

  25. Scott E (2000): Relationship between cross-contamination and the transmission of foodborne pathogens in the home. Pediatr Infect Dis J 19(10 Suppl):S111-S1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