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 암 생존자의 적응 경험과 사회적 지지망
Adaptation Experience and Social Support Network of Adolescent Cancer Survivors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3 no.2, 2017년, pp.238 - 248  

조은지 (듀크대학교 간호대학) ,  박은숙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adaptation experience of adolescent cancer survivors during and after cancer treatment, and their perceived social support networks. Methods: This study was a qualitative descriptive study using the in-depth interview. Eight adolescent canc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아청소년 암 방별률 추세는 어떠한가? 소아청소년 암은 19세 이하 아동 및 청소년의 가장 주된 사망원인인 질환으로 2000년대에도 그 발생률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있다[1]. 특히 국내 15세 이상 19세 이하의 청소년 군에서 암 발생률은 지속해서 증가하여 2010년 이후부터 2014년에 이르기까지 매년 평균 약 660명의 청소년이 암을 진단받고 있다[2]. 과거 소아청소년 암은 아동 및 청소년에게 사망을 유발하는 치명적인 질환으로 여겨져 왔으나 현대 의학 및 제약기술의 발달로 인해 그 생존율이 극적으로 증가했다[3].
남과 다르다는 인식이 청소년들에게 끼치는 영향은? 정기적인 치료 일정 및 그에 따른 다양한 부작용 등으로 병원 방문이 잦아지면서 정상적으로 학교생활을 이어가지 못하거나, 외적인 요소가 또래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시기에 급작스러운 외모 변화를 경험하면서 달라진 신체상 및 자존감 저하를 경험하기도 한다[7,8]. 남과 다르다는 인식은 또래 및 타인과의 비교를 통해 사회 내에서 자신의 정체성 및 역할을 탐색하는 청소년들에게 혼란스러움을 불러오기도 한다[9]. 복잡한 의료 시스템 및 치료과정 중 청소년들은 의사결정에서 배제되거나 부모 및 의료진에게 의존하게 되는 경우가 잦기 때문에 독립성 및 자기 통제감을 상실하고 더 나아가 자존감에 영향을 받기도 한다[6].
소아청소년 암이 치료 불가능한 질환이 아닌 장기적인 치료 및 관리가 필요한 또 하나의 만성질환에 가깝게 여겨질 수 있는 근거는? 특히 국내 15세 이상 19세 이하의 청소년 군에서 암 발생률은 지속해서 증가하여 2010년 이후부터 2014년에 이르기까지 매년 평균 약 660명의 청소년이 암을 진단받고 있다[2]. 과거 소아청소년 암은 아동 및 청소년에게 사망을 유발하는 치명적인 질환으로 여겨져 왔으나 현대 의학 및 제약기술의 발달로 인해 그 생존율이 극적으로 증가했다[3]. 따라서 소아청소년 암은 더 이상 치료 불가능한 질환이 아닌, 장기적인 치료 및 관리가 필요한 또 하나의 만성질환에 가깝게 여겨지고 있으며, 단순한 생존의 문제를 넘어 정기적 치료를 마친 생존자들의 장기적 삶의 질 및 후기 합병증을 관리하는 일이 또 하나의 중대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Statistics Korea. Cause of death statistics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6 [cited 2016 December 30].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34E07&conn_pathI2. 

  2. Statistics Korea. Cancer registration statistics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6 [cited 2016 December 30].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7&tblIdDT_117N_A0024&conn_pathI2. 

  3. Smith MA, Altekruse SF, Adamson PC, Reaman GH, Seibel NL. Declining childhood and adolescent cancer mortality. Cancer. 2014; 120(16):2497-2506. http://dx.doi.org/10.1002/cncr.28748. 

  4. Yeh JM, Hanmer J, Ward ZJ, Leisenring WM, Armstrong GT, Hudson MM, et al. Chronic conditions and utility-base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adult childhood cancer survivors. Journal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2016;108(9). http://dx.doi.org/10.1093/jnci/djw046. 

  5. Abrams AN, Hazen EP, Penson RT. Psychosocial issues in adolescents with cancer. Cancer Treatment Reviews. 2007;33(7):622-630. http://dx.doi.org/10.1016/j.ctrv.2006.12.006. 

  6. Wicks L, Mitchell A. The adolescent cancer experience: loss of control and benefit finding. European Journal of Cancer Care. 2010;19(6):778-785. http://dx.doi.org/10.1111/j.1365-2354.2009.01139.x. 

  7. Williamson H, Harcourt D, Halliwell E, Frith H, Wallace M. Adolescents' and parents' experiences of managing the psychosocial impact of appearance change during cancer treatment. Journal of Pediatric Oncology Nursing. 2010;27(3):168-175. http://dx.doi.org/10.1177/1043454209357923. 

  8. Barakat LP, Galtieri LR, Szalda D, Schwartz LA. Assessing the psychosocial needs and program preferences of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with cancer. Supportive Care in Cancer. 2016;24(2):823-832. http://dx.doi.org/10.1007/s00520-015-2849-8. 

  9. Choquette A, Rennick JE, Lee V. Back to school after cancer treatment: making sense of the adolescent experience. Cancer Nursing. 2016;39(5):393-401. http://dx.doi.org/10.1097/NCC.0000000000000301. 

  10. Zebrack B, Isaacson S. Psychosocial care of adolescent and young adult patients with cancer and survivors.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2012;30(11):1221-1226. http://dx.doi.org/10.1200/JCO.2011.39.5467. 

  11. Kim MA, Yi JH. Childhood cancer survivor's services needs for the better quality of lif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12;18(1):19. http://dx.doi.org/10.4094/jkachn.2012.18.1.19. 

  12. Ishibashi A, Okamura J, Ueda R, Sunami S, Kobayashi R, Ogawa J. Psychosocial strength enhancing resilience in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with cancer. Journal of Pediatric Oncology Nursing. 2015;33(1): 45-54. http://dx.doi.org/10.1177/1043454214563935. 

  13. Woodgate RL, West CH, Tailor K. Existential anxiety and growth: an exploration of computerized drawings and perspective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cancer. Cancer Nursing. 2014;37(2):146-159. http://dx.doi.org/10.1097/NCC.0b013e31829ded29. 

  14. Mattsson E, Ringner A, Ljungman G, von Essen L. Positive and negative consequences with regard to cancer during adolescence. Experiences two years after diagnosis. Psycho-Oncology. 2007;16(11):1003-1009. http://dx.doi.org/10.1002/pon.1162. 

  15. Park YO, Son Hong GR, Tak YR. Predictors of resilience in adolescents with cancer.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3;19(3):177-186. http://dx.doi.org/10.4094/chnr.2013.19.3.177. 

  16. Kemp SP, Whittaker JK, Tracey EM. Environmental Assessment. Person-environment practice: The social ecology of interpersonal helping. 1 ed. NY: Aldine De Gruyter; 1997. p.89-130. 

  17. Morse JM, Field PA.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r health professionals. CA: Sage; 1995. p.140-141, 217-218. 

  18. Fern LA, Taylor RM, Whelan J, Pearce S, Grew T, Brooman K, et al. The art of age-appropriate care: Reflecting on a conceptual model of the cancer experience for teenagers and young adults. Cancer Nursing. 2013;36(5):E27-38. http://dx.doi.org/10.1097/NCC.0b013e318288d3ce. 

  19. Wilkins KL, D'Agostino N, Penney AM, Barr RD, Nathan PC. Supporting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with cancer through transitions: Position statement from the Canadian Task Force on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with cancer. Journal of Pediatric Hematology/Oncology. 2014; 36(7):545-551. http://dx.doi.org/10.1097/MPH.0000000000000103. 

  20. Castellano-Tejedor C, Perez-Campdepadros M, Capdevila L, Blasco Blasco T. Surviving cancer: The psychosocial outcomes of childhood cancer survivors and its correlates. J Health Psychol. 2016;21(7):1491-1502. http://dx.doi.org/10.1177/1359105314557503. 

  21. Jacobsen SK, Emed J. Experiences of "being known" by the healthcare team of young adult patients with cancer. Oncology Nursing Forum. 2015;42(3):250-257. http://dx.doi.org/10.1188/15.ONF.250-256 

  22. Rogers A, Brooks H, Vassilev I, Kennedy A, Blickem C, Reeves D. Why less may be more: A mixed methods study of the work and relatedness of 'weak ties' in supporting long-term condition self-management. Implementation Science. 2014;9(19):1-11. http://dx.doi.org/10.1186/1748-5908-9-19. 

  23. Frankl VE. Man's search for meaning: An introduction to logotherapy. Boston: Beacon Press; 2006. p.97-111. 

  24. Haase JE, Kintner EK, Monahan PO, Robb SL. The Resilience in Illness Model (RIM), part 1: exploratory evaluation in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with caner. Cancer Nursing. 2014;37(3):E1-E12. http://dx.doi.org/10.1097/NCC.0b013e31828941bb. 

  25. Kang KA, Im JI, Kim HS, Kim SJ, Song MK, Sim S. The effect of logotherapy on the suffering, finding meaning, and spiritual well-being of adolescents with terminal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09;15(2):136-144. http://dx.doi.org/10.4094/jkachn.2009.15.2.136. 

  26. Kang KA, Kim SJ. Development and preliminary testing of a meaningcentered program for young adults with advanced-stage cancer. Journal of Hospice & Palliative Nursing. 2015;17(3):213-222. http://dx.doi.org/10.1097/njh.0000000000000146. 

  27. Kim SJ, Kang KA, Park SJ, Lee MN, Kim YH. The effects of logotherapy on meaning of life of early adolescents with cancer. Asian Oncology Nursing. 2013;13(1):49-57. http://dx.doi.org/10.5388/aon.2013.13.1.49. 

  28. Docherty SL, Kayle M, Maslow GR, Santacroce SJ. The adolescent and young adult with cancer: A developmental life course perspective. Seminars in Oncology Nursing. 2015;31(3):186-196. http://dx.doi.org/10.1016/j.soncn.2015.05.00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