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유방암 환자의 삶의 질에 대한 관련요인: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Factors Relating to Quality of Life in Korean Breast Cancer Patient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24 no.2, 2017년, pp.95 - 105  

박경연 (신라대학교 간호학과) ,  김민주 (동아대학교 간호학과) ,  양영옥 (가야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sis were conducted to synthesis research findings on relationships of quality of life with multi-dimensional correlates in Korean breast cancer patients. Methods: For the study purpose, 18 studies were selected through a systematic process of s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들의 삶의 질과 관련된 요인들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을 통해 인구사회학적 특성, 질병특성, 정신심리적 특성 및 특성별 요인들과 삶의 질과의 관련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검색된 총 871편의 문헌들 중에서 18편의 문헌이 최종 분석에 이용되었다.
  •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의 삶의 질과 관련된 요인들에 대한 국내 연구 결과들을 종합하기 위해 수행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을 통하여 유방암 환자들의 삶의 질과 관련된 요인들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여러 요인 중 우울이 삶의 질에 가장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었고 통증이 뒤를 이었다.
  • 본 연구에서는 분석 대상 논문의 선정을 위해 핵심질문(Participants, Intervention, Comparison, and Outcome, PICO)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특정 중재의 효과를 종합하고자 수행되는 연구가 아니므로 PICO 중 중재(I)와 비교군(C)을 제외한 대상자(P)와 결과(O)를 사전에 설정하여 문헌 탐색을 시작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P)는 유방암 여성 환자이며, 결과변수(O)는 삶의 질이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논문을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을 통해 유방암 환자들의 삶의 질과 관련된 요인들을 규명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한국 유방암 환자들의 특성이 반영될 수 있도록 인구사회학적 요인, 질병요인 및 정신심리적 요인과 삶의 질과의 관련성을 고찰한 국내 학회지 발표논문을 수집, 분석 및 종합하여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도출하기 위한 체계적 문헌고찰을 시도하였다. 유방암 환자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한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유방암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방암 환자의 삶의 질과 관련된 요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유방암 환자의 삶의 질과 관련된 요인을 고찰한 선행 연구를 보면, 크게 인구사회학적 요인[8,9], 신체건강 및 질병 관련 요인[4,9] 및 정신심리적 요인[4,5]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3]. 각 요인별 삶의 질에 대한 관계성을 살펴보면,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직업유무, 결혼상태, 연령, 경제적 수준, 교육수준 등은 유방암 환자들의 삶의 질에 차이를 보였지만[6,8,10,11] 일부 연구 등[3,7,9]에서는 삶의 질에 의미 있는 차이가 없다고 보고하였다.
유방암 환자 및 생존자들은 어떤 고통을 경험하는가 이와 같은 유방암 발생률 및 생존율의 향상은 암 치료 그 자체 뿐 아니라 삶의 질에 대한 관심과 요구 증가로 이어졌고, 암 치료효과의 주요 평가 지표에 삶의 질을 포함[2]하게 되었다. 유방암 환자 및 생존자들은 우울, 불안 등 심리적 고통을 경험하며 이는 질병 적응과 삶의 질 저하로 연결되었다[3-5]. 유방암 완치판정을 받아도 재발에 대한 공포와 불안을 가지고 있다는 보고[3]나 진단 후 5년 이상인 자들[6] 혹은 수술 후 5년 이상인 자들과 그 미만인 자들 간에 삶의 질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는 연구 결과[6,7]는 유방암 환자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해 보아야 함을 의미한다.
FACT-B가 유방암 환자들의 삶의 질을 평가하기에 적합한 도구인 이유는 무엇인가 유방암 환자들의 삶의 질 측정에는 한국어판 FACT-B가 가장 많이 이용되었다. 이 도구는 신체적 영역, 사회적 영역, 정서적 영역, 기능적 영역, 유방암 영역의 하부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유방암 환자의 삶의 질을 평가하기에 타당한 것으로 받아들여져 널리 활용되고 있다[8,10,11,13]. FACT-B 다음으로 유방암 환자의 삶의 질 평가에 널리 사용된[3,14] 것은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EORTC-QLQ) 유방암 모듈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National Cancer Center. Annual report of cancer statistics in Korea in 2013 [internet]. Seoul: National Cancer Center, 2015 [cited 2016 December 23]. Available from: http://ncc.re.kr/cancerStatsList.ncc?searchKeytotal&searchValue&pageNum1 

  2. Wildes KA, Miller AR, de Majors SS, Ramirez AG. The religiosity/spirituality of Latina breast cancer survivors and influence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Psycho-Oncology. 2009;18(8):831-840. https://doi.org/10.1002/pon.1475 

  3. Ha EH, Lee SH, Jeong J, Lee HD, Lee JE, Nam SJ, et al. Biopsychosocial predictors of the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patients. Journal of Breast Cancer. 2010;13(2):219-226. https://doi.org/10.4048/jbc.2010.13.2.219 

  4. So WK, Marsh G, Ling WM, Leung FY, Lo JC, Yeung M, et al. Anxiety,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among Chinese breast cancer patients during adjuvant therapy. European Journal of Oncology Nursing. 2010;14(1):17-22. https://doi.org/10.1016/j.ejon.2009.07.005 

  5. Andritsch E, Dietmaier G, Hofmann G, Zloklikovits S, Samonigg H. Global quality of life and its potential predictors in breast cancer patients: An exploratory study. Supportive Care in Cancer. 2007;15(1):21-30. 

  6. Ryu YM, Yi M. The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in women with breast cancer. Asian Oncology Nursing. 2013;13(3):121-127. https://doi.org/10.5388/aon.2013.13.3.121 

  7. Jo KH, Son BK. The relationship of uncertainty, hope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4;34(7):1184-1193. 

  8. Suh YO. Predictors of quality of life in women with breast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7;37(4):459-466. 

  9. Avis NE, Crawford S, Manuel J. Quality of life among younger women with breast cancer.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2005;23(15):3322-3330. 

  10. Park BW, Lee S, Lee AR, Lee KH, Hwang SY. Quality of life differences between younger and older breast cancer patients. Journal of Breast Cancer. 2011;14(2):112-118. https://doi.org/10.4048/jbc.2011.14.2.112 

  11. Kim RY, Park H. Fatigue, sleep disturbance, and quality of life among breast cancer patients receiving radiotherap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5;27(2):188-197. https://doi.org/10.7475/kjan.2015.27.2.188 

  12. Teo I, Fingeret MC, Liu J, Chang DW. Coping and quality of life of patients following microsurgical treatment for breast cancer-related lymphedema.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16;21(12):2983-2993. https://doi.org/10.1177/1359105315589801 

  13. Park BW, Hwang SY. Unmet need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quality of life among women with recurrent breast cancer. Journal of Breast Cancer. 2012;15(4):454-461. https://doi.org/10.4048/jbc.2012.15.4.454 

  14. Choi EN, Choi HR. The relationship between practice in lymphedema self-care management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patients with mastectomy.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2013;6(1):21-33. 

  15. Lee KS, Seok JH, Hong HJ, Hong NR, Kim LS, Jon DI. Correlations between depressive and anxiety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pati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Depressive and Bipolar Disorders. 2010;8:102-107. 

  16. Oh SS. In: Meta-analysis: Theory and practice. Seoul, Korea: Konkuk University Press; 2009. 

  17. Oliveira IS, da Cunha Menezes Costa L, Fagundes FR, Cabral CM. Evaluation of cross-cultural adaptation and measurement properties of breast cancer-specific quality-of-life questionnaires: A systematic review. Quality of Life Research. 2015;24(5):1179-1195. https://doi.org/10.1007/s11136-014-0840-3 

  18. Higgins JPT, Green S. editors. Cochrane handbook for systemic reviews of interventions version 5.1.0. London, UK: The Cochrane Collaboration; 2011. 

  19. PRISMA.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PRISMA) [Internet]. London, UK: Author; 2013 [cited 2017 January 18]. Available from: http://www.prisma-statement.org/. 

  20. Cummings G, Lee H, Macgregor T, Davey M, Wong C, Paul L, et al. Factors contributing to nursing leadership: A systemic review. Journal of Health Services Research & Policy. 2008;13 (4):240-248. https://doi.org/10.1258/jhsrp.2008.007154 

  21. Mo JA, Park JS, Oh HS. Correlates of cognitive impairment of rheumatic diseas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6;46(1):1-18. https://doi.org/10.4040/jkan.2016.46.1.1 

  22. Choi EN, Kim SY. Quality of life in female postmastectomy patients with lymphedema according to the dominant hand.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5;17(1):453-468. 

  23. Conde DM, Pinto-Neto AM, Cabello C, Santos-Sa D, Costa-Paiva L, Martinez EZ. Quality of life in Brazilian breast cancer survivors age 45-65 years: Associated factors. Breast Journal. 2005;11(6):425-432. 

  24. Coomert M, Guune? AE, Sahin F, Saydam G. Quality of life and supportive care in multiple myeloma. Turkish Journal of Hematology. 2013;30(3):234-246. https://doi.org/10.4274/Tjh.2012.0192 

  25. Augustson BM, Begum G, Dunn JA, Barth NJ, Davies F, Morgan G, et al. Early mortality after diagnosis of multiple myeloma: Analysis of patients entered onto the United Kingdom medical research council trials between 1980 and 2002-medical research council adult leukaemia working party.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2005;23(36):9219-9226. 

  26. Heutte N, Flechtner HH, Mounier N, Mellink WAM, Meerwaldt JH, Eghbali H, et al. Quality of life after successful treatment of early-stage Hodgkin's lymphoma: 10-year follow-up of the EORTC-GELA H8 randomized controlled trial. Lancet Oncology. 2009;10(12):1160-1170. https://doi.org/10.1016/S1470-2045(09)70258-X 

  27. Mols F, Aaronson NK, Vingerhoets AJ, Coebergh JW, Vreugdenhil G, Lybeert ML, et al. Quality of life among longterm non-Hodgkin lymphoma survivors: A population-based study. Cancer. 2007;109(8):1659-1667. 

  28. Pusic AL, Cemal Y, Albornoz C, Klassen A, Cano S, Sulimanoff I, et al. Quality of life among breast cancer patients with lymphedema: A systematic review of patient-reported outcome instruments and outcomes. Journal of Cancer Survivorship. 2013;7(1):83-92. https://doi.org/10.1007/s11764-012-0247-5 

  29. Park YM. A structural model for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patients [dissertation]. Seoul: Kyung Hee University; 2005. 

  30. Carver CS, Smith RG, Petronis VM, Antoni MH. Quality of life among long-term survivors of breast cancer: Different types of antecedents predict different classes of outcomes. Psycho-Oncology. 2006;15(9):749-758. https://doi.org/10.1002/pon.100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